-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1/05/20 13:46:49수정됨
Name   ikuk
Subject   허비행콕이 마일스 데이비스에게 배운 것



허비 행콕:
저는 마일스 데이비스에 대해서는 할 이야기가 참 많습니다만, 그 중에 제가 가장 좋아하는 이야기는 (아마도) 독일 공연 이야기입니다.
이건 1963년, 아니면 64년 초 이야기일텐데요... 아마 63년 일겁니다.

지금도 그렇듯 저는 당시에도 과학 기술에 굉장히 관심이 많았습니다.

지금은 컴퓨터나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최신형의 작은 가젯들이 많이 있습니다만, 당시에는 카세트 이전의 테이프 레코더가 있었죠.
당시 제가 구입한 테이프 레코더는 포터블한 reel to reel 방식의 가장 작은 기계였어요.

마일스에게 가장 크게 혼났던 건은,
제가 그 테이프 레코더를 공연장에 가지고 가서, 2개의 스테레오 마이크를 들고 피아노 밑으로 기어들어가 설치하던 중에 있었습니다.

그리고 하필 딱 그때, 마일스가 발로 템포를 재고 있었던 거죠. '원. 투. 원 투 쓰리 포'
저는 아직 피아노 밑에 있었습니다(웃음) 딱 피아노를 쳐야 할 타이밍에요.

마일스는 뒤를 돌아보고 (얼굴을 감싸쥐고) 탄식했습니다.
결국 다시 시작해야 했고, 그 다음에는 별 문제 없이 잘 진행됐습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기억나는 건 'So what'을 연주했을 때에요. 마일즈가 아마 50년대 후반에 작곡한 곡이었죠.
Tony Williams가 드럼을, Ron Carter가 베이스를,  Wayne Shorter가 색소폰을 연주했어요. 엄청난 밤이었어요.
그 곡은 파워가 있었고, 혁신적이었고, 연주하는 우리가 정말 재밌었어요. 대단한 음악이었어요.

그날 Tony Williams가 드럼을 연주하는 위에
마일스 데이비스가 엄청난 솔로 연주를 하고 있었는데 저는 그 와중에 잘못된 코드를 쳤습니다.
그 코드는 전혀 어울리지 않아 보였고, 완전 실수처럼 들렸기 때문에 바로 두 손으로 얼굴을 감싸쥐며 패닉에 빠졌습니다.

그리고 마일스는 1초 정도 연주를 멈췄다가, 다시 솔로를 불기 시작했는데,
제 코드를 옳은 코드처럼 들리게 만들었습니다.

저는 제가 들은 것을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마일스에게는 틀린 것을 옳게 만드는 힘과 필링이 있었습니다.
한 1분 동안 피아노를 건들 수가 없을 정도로 충격을 받았던 날이었죠.


이제서야 깨달은 것은: '마일스는 그것을 실수로 듣지 않았다'는 것입니다.
그는 '그 날, 그 순간, 그 곳에 그냥 일어난 일, 사건'이라고, 현실의 일부라고 받아들인거죠.
그리고 그는 그냥 나아갔습니다. (deal with it)

그는 그게 실수라고 생각하지 않았기때문에, 이 사건을 해결해야 하는, (이 코드에 맞는 음을 찾는) 것은 나의 책임이라고 받아들인거죠.
그리고 그는 그걸 해낸거죠.



그 것은 제게 음악적인 것 뿐만아니라 삶에 있어서 엄청난 가르침이 되었습니다.
우리는 '이 세상이 우리의 입맛에 맞게끔 되어주기를, 내게 쉬운 세상이기를' 바랄 순 있습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우리가 성장한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가 성장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현상을 그냥 현상으로 받아들일 수 있는' 열린 마음을 가지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현상을 '약으로' 바꿀 수 있는, '독'을 '약'으로 바꿀 수 있는,
자신에게 놓여진 어떤 상황을 건설적인 무언가로 바꿀 수 있는 사고방식(Mind) 말이예요.

그게 제가 마일스 데이비스에게서 배운 것입니다.



---

인성에 있어서만큼은 정말 말도 안되는 사건들도 많습니다만...
마일스 데이비스는 재즈계의 예수라고 해도 무방할 정도로 말도 안되는 업적을 세워두고 갔습니다.

무엇보다 음악가로써 후임을 양성하는 것 만큼은 누구보다 진지했습니다.
얼마전에 돌아가신 칙코리아, 그리고 아직 현역인 허비 행콕이 마일스의 아이들 중 한명이죠.



무대에서 아티스트에게 거친 욕을 하거나, 위에처럼 엄청난 얼굴로 흘기는 것을 통해 그의 리더십이 얼마나 권위적이었나 알 수 있을 것입니다.
허비 행콕이 피아노 밑에서 발견되었을 때를 허비 행콕은 웃으며 회상하지만, 그날 저녁엔 아마 주먹으로 얻어 터졌을 겁니다.

당시 그를 싫어하는 아티스트들도 많았습니다. 셀로니우스 몽크는 아예 수분간 피아노에서 손을 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리스너 중에, 그리고 그의 음악을 듣고 자란 아티스트들 중 그의 음악을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1명도 없을 겁니다.

마일스 데이비스의 일화는 수도 없이 많습니다만,
20세기 초중반, '심각한 인종차별을 다 들이 받던 락스타의 원조 히스테리' 정도로 이야기 됩니다.
이제 그를 향한 날카로운 칼날들은 다 바스라들고, 그의 음악만 영원히 남았습니다.



대체 마일스의 그런 힘과 필링은 어디에서 올까...
다들 그것만을 궁금해 합니다.

그 것을 허비 행콕이 이 영상으로 저희에게 전해줬다고 생각합니다.

남에게 보여지는 무엇은 죽고 10년, 20년이 지나면 바스라듭니다.
현실을 관철할 수 있는 마음가짐이, 그리고 그 마음가짐이 남긴 위대한 유산이야말로 이름을 남기는 것 같습니다.



5


    Erzenico
    몽크가 손을 뗀건 마일스의 독선에 대한 반발보다는 몽크의 기행이라고 보는 편이 더 정확할 것입니다.
    맞습니다.
    중요한 것은 마일스가 몰랐다는 거죠.
    오렌지플래닛
    다른 분도 아니라 마일스는 짜증을 내고 무대위에서 독선적으로 행동해도 될것 같은 느낌...다른 사람도 아니라 마일스니까요 유일무이. 글 재밌게 잘 봤습니다 ㅎㅎ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2895 7
    15402 도서/문학사학처럼 문학하기: 『눈물을 마시는 새』 시점 보론 meson 25/04/23 178 2
    15401 일상/생각아이는 부모를 어른으로 만듭니다. 3 + 큐리스 25/04/23 327 9
    15400 꿀팁/강좌4. 좀 더 그림의 기초를 쌓아볼까? 6 + 흑마법사 25/04/22 294 17
    15399 일상/생각처음으로 챗GPT를 인정했습니다 2 Merrlen 25/04/22 682 2
    15398 일상/생각초6 딸과의 3년 약속, 닌텐도 OLED로 보답했습니다. 13 큐리스 25/04/21 777 28
    15397 일상/생각시간이 지나 생각이 달라지는것 2 3 닭장군 25/04/20 719 6
    15396 IT/컴퓨터AI 코딩 어시스트를 통한 IDE의 새로운 단계 14 kaestro 25/04/20 594 1
    15395 게임이게 이 시대의 캐쥬얼게임 상술인가.... 4 당근매니아 25/04/19 585 0
    15394 꿀팁/강좌소개해주신 AI 툴로 본 "불안세대" 비디오 정리 2 풀잎 25/04/19 574 3
    15393 IT/컴퓨터요즘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AI툴들 12 kaestro 25/04/19 733 18
    15392 도서/문학명청시대의 수호전 매니아는 현대의 일베충이 아닐까? 구밀복검 25/04/18 453 8
    15391 정치세대에 대한 냉소 21 닭장군 25/04/18 1151 15
    15389 게임두 문법의 경계에서 싸우다 - 퍼스트 버서커 카잔의 전투 kaestro 25/04/17 358 2
    15388 일상/생각AI한테 위로를 받을 줄이야.ㅠㅠㅠ 4 큐리스 25/04/16 657 2
    15387 기타스피커를 만들어보자 - 번외. 챗가를 활용한 스피커 설계 Beemo 25/04/16 265 1
    15386 일상/생각일 헤는 밤 2 SCV 25/04/16 366 9
    15385 게임퍼스트 버서커 카잔에는 기연이 없다 - 던파의 시선에서 본 소울라이크(1) 5 kaestro 25/04/16 289 2
    15384 일상/생각코로나세대의 심리특성>>을 개인연구햇읍니다 16 흑마법사 25/04/15 679 10
    15383 일상/생각평범하지 않은 평범한 사람들 1 큐리스 25/04/15 598 8
    15382 음악[팝송] 테이트 맥레이 새 앨범 "So Close To What" 김치찌개 25/04/14 161 0
    15381 IT/컴퓨터링크드인 스캠과 놀기 T.Robin 25/04/13 553 1
    15380 역사한국사 구조론 9 meson 25/04/12 872 4
    15379 오프모임날이 좋아서... 날이 좋지 않아서... 5/4 난지도벙 15 치킨마요 25/04/11 994 3
    15378 스포츠90년대 연세대 농구 선수들이 회고한 그 시절 이야기. 16 joel 25/04/11 1166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