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1/02/20 18:08:38 |
Name | 샨르우르파 |
Subject | 요즘 국내외 사회 분위기를 보면 떠오르는 이야기 |
어떤 아버지로 보이는 중년 남성과 아이들이 지하철에 함께 탑승했습니다. 힘없이 우울한 표정을 짓는 남성은 자리에 앉으면서 고개를 숙이고 멍하게 있었습니다. 아버지가 안 보는 사이에 아이들은 열차 내부를 수다떨며 시끄럽게 뛰어다녔습니다. 화가 난 탑승객들이 남자에게 따졌습니다. "아이들이 저렇게 구는데 아버지란 인간은 대체 뭘 하는 겁니까?" 그러자 남자는 힘없이 고개를 들며 이렇게 이야기했습니다. "제 삶의 은인이자 동반자인 아내가 세상을 떠났습니다. 뭘 어떻게 해야 할지 도저히 모르겠습니다" 탑승객들은 무안해져서 아무 말도 할 수 없었습니다. =============================================================== 원래는 "남 사정 알지 못하면서 함부로 이야기하지 말라"는 교훈이 담긴 이야기입니다만, 저는 이 이야기에 깔린 등장인물들의 심리와 행동에 대해 말하고 싶습니다. 요즘 국내외를 막론하고 사회 분위기를 보면, 여기 나오는 등장인물들의 상태를 가진 사람들로 가득하거든요. 큰 슬픔에 빠져 무기력한 아버지. 아버지가 가만히 있는 사이 혼란스럽게 구는 아이들. 이로 인한 혼란함에 손쉽게 불편해하고 분노하는 탑승객들, 그리고 당사자의 이야기를 들고 할 말을 잃어버린 탑승객들. 큰 위기 속에서 뭘 어떻게 해야할지 모르겠다는 혼란스러움과 극단화, 분노와 무기력함의 정서가 사회 담론 곳곳에서 보입니다. 지금이 세계적으로 100년에 2-3번에 있을까 말까할 수준의 혼란기라 그런 걸까요? 하긴, 지금은 경제적으로는 소위 '신자유주의 정책'의 태동기이던 1980년대 이후 최악 국내외의 정치로는 1991년의 소련 붕괴 이후 최악 사회문화로는 1960년대 68혁명+민권 운동 이후 최악 [서구 기준입니다만] 보건으로는 1918년 스페인 독감 이후 최악의 혼란기죠. 과거의 혼란기들이 그랬듯 이 혼란기도 언젠간 끝나겠지만, 정확히 언제 끝날지 알 수 없고, 혼란기가 끝날 때까지 생길 일들이 두려워집니다. 사회가 안정화된 모습이 괜찮을 거라는 보장도 없고요. 나이가 많지 않은 사람이라, 과거의 혼란기를 버텨낸 노하우에 대해 국내외의 어르신들에게 들어보고 싶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샨르우르파님의 최근 게시물
|
인류 역사의 어떤 페이지를 펼쳐도 혼란기입니다.
제가 태어났을 때에도 혼란한 시대였고 청소년 기에도 혼란한 시대였습니다.
제가 막 스무살이 된 지금도 마찬가지로 혼란한 시대고요.
혼란하다 혼란해
......혼란을 받아들이고 승화시켜야 합니다. 피할 수 없고 피해서도 안 돼요. 혼란을 피하면 진보도 함께 피하게 되니까요.
그리고 무기력함의 정서가 지배적이라고 하기에는, 민중의 힘에 대한 효용감이 어느 때 못지 않게 높았던 시기를 보낸 것이 5년도 안 된 걸요. 크게 한 탕 하면 현타 오는 거죠. ㅎㅎ
제가 태어났을 때에도 혼란한 시대였고 청소년 기에도 혼란한 시대였습니다.
제가 막 스무살이 된 지금도 마찬가지로 혼란한 시대고요.
혼란하다 혼란해
......혼란을 받아들이고 승화시켜야 합니다. 피할 수 없고 피해서도 안 돼요. 혼란을 피하면 진보도 함께 피하게 되니까요.
그리고 무기력함의 정서가 지배적이라고 하기에는, 민중의 힘에 대한 효용감이 어느 때 못지 않게 높았던 시기를 보낸 것이 5년도 안 된 걸요. 크게 한 탕 하면 현타 오는 거죠. ㅎㅎ
피할수없으면 받아들이고 받아들이면서 이해를 하여서 그 경험을 능력으로 승화시키기나 삶의 동력원으로 삼지 못하면 혼란이 가중되죠
사회가 안정화 되는것을 기다리는것보다 자기자신을 안정화 시키는게 먼저 아닐까 싶네요.
저같은 경우에는 제 또래들 보다는 저보다 2,30살 많으신 인생 선배들하고 놀거나 대화 하면서 지금이라면 상상조차 못했던 2,30년 전 시절을 들으면 대낮에 사람 납치 당해도 주변에서는 그냥 바라보고만 있었던거나 버스에서 흡연이 가능했었다거나 등등 과거 상황들 들을때마다 지금은 혼란한것도 아니구나 하며 뉘우칩니다. 뭐 이건 제 나름대로의 저만의 자신을 안정화 시키는 방식이고 자신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들은 각자 알아서 스스로 찾아야겠죠
사회가 안정화 되는것을 기다리는것보다 자기자신을 안정화 시키는게 먼저 아닐까 싶네요.
저같은 경우에는 제 또래들 보다는 저보다 2,30살 많으신 인생 선배들하고 놀거나 대화 하면서 지금이라면 상상조차 못했던 2,30년 전 시절을 들으면 대낮에 사람 납치 당해도 주변에서는 그냥 바라보고만 있었던거나 버스에서 흡연이 가능했었다거나 등등 과거 상황들 들을때마다 지금은 혼란한것도 아니구나 하며 뉘우칩니다. 뭐 이건 제 나름대로의 저만의 자신을 안정화 시키는 방식이고 자신을 안정화 시키는 방법들은 각자 알아서 스스로 찾아야겠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