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흘려보낼 짧은 글을 편하게 남기는 공간입니다.
- 가치가 있는 정보가 담긴 글은 티타임 게시판에 써주세요.
- 여러 회원들이 함께 사용하기 위해 각 회원당 하루 7개로 횟수제한이 있습니다.
- 링크: 구 탐라1, 2, 3, 4, 이전 분기
Stockinette 25.07.07 10:23
자동삭제: 10시 23분 (21시간 19분 후)

선물받은 초코잼… 유통기한 지나도록 손이 잘 안가서 방치되어 있었는데요.

어느날 무가당 땅콩버터 바른 빵에 초코잼 얹어 먹어봤는데 너무 맛있는 거에요..?

오늘은 바삭하게 구운 호밀빵에 땅콩버터+샹달프 사과잼+초코잼 얹었는데 엄청난 맛이네요. 사과잼이 뻑뻑한 맛을 부드럽게 하면서 시나몬 향이 살짝 납니다 ㅋㅋㅋㅋ

도대체 왜 호밀빵과 땅콩버터에 그런걸 올려 먹냐 하시면 할 말은 없지만…

원래 초코잼 버리려 했는데 먹어서 없앨 수 있을 듯… 꿀꿀
16
길을 잃다.. 25.07.07 10:08 수정됨
아마존에서 40달러짜리 책을 살까 말까 고민중입니다.
Acceptable이라...상태가 어떨지 감이 안오는 군요.
그래도 정가가 300불 가까이 하는거 생각하면 질러야 하나 싶기도 하고.
제 연구분야에서는 바이블 같은 책이긴 한데...워낙 오래전 책이고
원론적인 내용이라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책은 아니긴합니다만...
장식용으로 꼽아둘까...쩝
13
별똥별
장식용 오브제가 40불이면 괜찮은 것 같기도…..(?)
길을 잃다..
한번 더 고민하려고 눌러보니 35불로 내려와서 바로 주문했읍니다
1
https://www.youtube.com/watch?v=BIGKyUPoRKY&t=835s&ab_channel=EBSDocumentary%28EBS%EB%8B%A4%ED%81%90%29
날씨 상관 없이 전기세 0원, 냉난방 0원이라는 집 찾아가봤더니|에어컨도 없는데 바깥은 33℃ 집 안은 20℃?|온도가 유지되는 보온병 같은 집|건축탐구집|골라듄다큐


집 정말 멋지네요. 살아보고 싶다.....  ㅎㅎㅎ
9
cheerful
ㅎㅎ 저는 층고 높은 집에 살고 싶읍니다
나는 열심히 관리 하믄서 살 자신 있는디....
1
저도 적어도 거실천장은 높은 그런 집에 살아보고 싶습니다.
1
cheerful
넹 특히 거실 ㅎㅎ 옛날 미국에 있을때 갔던 친구네 집이 진짜 좋어보였는디 ㅎ
cheerful
근데 저 집은 통창이 너무 크네요 ㅋㅋㅋㅋ
네 평범한 집은 아니죠 ㅎㅎㅎ
맥주만땅
층고가 높으면 난방비가 문제인데, 지구 온난화로 해결될 듯...?
2
Darwin4078
집은 좋지만, 이런 프로그램에 나오는 집은 높은 확률로 매매를 위한 사전포석인 경우가 많았읍니다.
5
뭐 본업이 건축가니 나쁠건 없다고 봅니다. 매매해야 또 다른 철학을 가진 집을 만들수도 있겠고요. 물론 홍보를 공영방송에서 하는게 맞는건지는 차치하고요 ㅎㅎㅎ
1
이게 정설...
1
택시기사8212
살기 좋아보이는데 과연 사람만 살기 좋을지...?
1
이금기굴소스 25.07.07 10:00
자동삭제: 10시 00분 (20시간 56분 후)


지도교수 변경 수속이 끝났습니다
26
축하드립니다.

저도 지도교수 바꿔서 살아났습니다.
김치찌개 25.07.07 09:51

7월 4일 기준 한국 프로야구 순위입니다
한화가 1위라니 와우..
1992년이후 33년만에 전반기 1위라고 합니다
올시즌 정말 기대되네요!
3
카르스 25.07.07 09:43
자동삭제: 09시 43분 (20시간 39분 후)


이건 낮에 숙소 정상(무려 57층!) 수영장에서
13
카르스 25.07.07 09:40
자동삭제: 09시 40분 (20시간 36분 후)


숙소 33층의 대합실? 에서 찍어본 쿠알라룸푸르 야경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KL 타워, 메르데카 118 타워의 삼원적 구도

숙소 방이 반대편이었으면 방 안에서도 보는건데 아쉽습니다.
14
https://youtu.be/c6184UqERRE?si=nBEHXSbAHgqx_VWc
(19화) 부동산은 재테크 아닙니다 남의 돈 뺏는 겁니다

댓글 많은 최근 언더스탠딩 영상.
부동산 투자는 재테크가 아니고 청년약탈이다. 그래서 저출산한다.
한국 경제 망한다.등등.
---
실제 통계치 찾아봄... 더 보기
https://youtu.be/c6184UqERRE?si=nBEHXSbAHgqx_VWc
(19화) 부동산은 재테크 아닙니다 남의 돈 뺏는 겁니다

댓글 많은 최근 언더스탠딩 영상.
부동산 투자는 재테크가 아니고 청년약탈이다. 그래서 저출산한다.
한국 경제 망한다.등등.
---
실제 통계치 찾아봄.
2005년부터 2024년까지
20년간 GDP 256%상승,
코스피 273% 상승,
최저임금 347% 상승,
물가 153% 상승,
수도권아파트 183% 상승

수도권 아파트 GDP와 임금보다 적게 올랐는데 출산률 왜 떨어짐?
출산률이 집값 하나에 좌우되는 게 아니라는 걸 모르지 않을텐데...

자본소득이 약탈이라고 하는데 나이가 들면 노동을 못한다구요.
노후대비를 위해 자본소득을 만들어두는 게 맞는 것 아닌가요?
열심히 소득을 만들어내기 위해 일부러 자극적인 발언 하시는 건가요?
6
달지않고맛있어요수정됨
저분 시리즈 앞에 두어개 듣고 뭔가 어… 싶어서 안보고 있습니다. 나중에 끝나면 한번 다시 시도해볼까 싶긴 한데…
1
cheerful
ㅋㅋㅋㅋㅋㅋ슬슬 또 부동산 악마화를 ㅋㅋㅋㅋ
부동산이란 게 참 신기하죠.
다른 사람이 비트코인이나 엔비디아 가졌다고 박탈감 느끼는 사람은 거의 없을텐데 집은...
주택보급률은 100% 넘잖아요. 다들 더 좋은 집이 갖고 싶을 뿐.
1
솔직히 말하자면 부동산에 과하게 몰려있는 시장 자체가 결코 좋은 방향성이라고 볼수는 없습니다만 저걸 저렇게 연관 지어서 만악의 근원인양 표현하면 설득력이...
위에 통계치 드렸지만 주택이 부족한 것도 아니고, 다른 것에 비해 많이 오른 것도 아니에요. 일부 부동산이 넘사벽으로 비싸지만 어느 상품에나 하이엔드급은 10배이상 비싸잖아요.
저는 부동산이 주거가 아닌 투자목적으로 활용되는거 자체가 다른쪽으로도 돈이 돌아야하지 않냐 라고 생각하는 주의라서
어디까지나 '방향성'의 문제 라는 점에서는 잘못된게 맞다고 생각합니다.
즉, 비율의 문제입니다.

일자리도 없이 망해가는 도시에 돈의 흐름은 죄다 아파트로만 향하고 있는 점을 지적하는거라, 비싸다 안비싸다의 문제는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경제가 발전하고 화폐가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오르는 건 어쩔 수 없잖아요. 다른 건 다 오르는데 아파트만 20년 전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을까요?
저는 그래서 GDP와 임금을 비교 대상으로 가져왔고, 그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가격상승, 지난 20년 디플레 시대의 물가상승과 비슷한 정도의 상승은 양호한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주거목적과 투기목적은 구분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실수요와 가수요는 구분이 안되요. 하락장이라 생각하면 실수요자들도 안삽니다.
반대로 투자자가 없으면 임대 공급이 부족하잖아요.
나라에서 공급을 다 못해서 대부분 민간임대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GDP 수치는 서민경제를 대변할수 없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GDP가 200% 튀겼다고 해서 일반 시민들의 급여가 3배로 는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샐러리 들은 현실적으로 절대, 본인의 급여로 주택의 상승 가격을 따라잡을수 없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빚지는게 당연한건 사회 현상 자체가 현실이니 그걸 부정할순 없는데, 이게 맞냐? 더 개선할점은 없냐? 돈이 왜 부동산에 이렇게 많이 쏠려있냐? 투자? 그래 그건 긍정하자.
그렇다면 부동산에만 투자의 흐름이 몰려있는게 맞나?
다른쪽으로... 더 보기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GDP 수치는 서민경제를 대변할수 없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GDP가 200% 튀겼다고 해서 일반 시민들의 급여가 3배로 는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샐러리 들은 현실적으로 절대, 본인의 급여로 주택의 상승 가격을 따라잡을수 없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빚지는게 당연한건 사회 현상 자체가 현실이니 그걸 부정할순 없는데, 이게 맞냐? 더 개선할점은 없냐? 돈이 왜 부동산에 이렇게 많이 쏠려있냐? 투자? 그래 그건 긍정하자.
그렇다면 부동산에만 투자의 흐름이 몰려있는게 맞나?
다른쪽으로도 좀 못돌리나?
이런 고민들을 하자는 게 제 주장입니다;
저는 부동산 투자 자체를 악마화 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긍정도 하고요.
부동산에 대출이 많이 끼면 안된다는 것에 저도 동의합니다. 다만 원 영상에서 부동산을 영 안좋게 이야기한 부분이 있어 반대쪽 이야기를 하게되었네요.
탐라에서도 몇 번 얘기했지만 나라에선 지속적인 수출 산업개발에 힘쓰는게 맞지 않나 그리 생각합니다.
네네, 저도 말씀주신 그 원 영상의 주장에는 동의할수 없읍니다.

단지 방향성에 대한 부분만 말씀드린거고
사실 방향성 보다 중요한건 '방법론' 이라고 생각하는데
이게 참 어려운 일입니다. ㅠㅠ
하우두유두
아직 안봤는데 이프로가 뭐라고 말할지가 제일궁금하네요 ㅋㅋ
저도 그게 궁금했는데 그렇게 대립각을 세우거나 하진 않습니다. 댓글에선 이프로 잘패서 좋다고 신나하는 사람들 많지만요.
부동산 비판하니 신나서 댓글다시는 분들도 많음. 하지만 걔중 90%는 10년전으로 회귀하면 다 집살거라는 거에 500원 걸어봅니다.
광기잇
기업이 생산활동을 해서 배당받는 것과는 달리 부동산은 가치창출이 거의 없으니까요

그래서 부동산 관련된 세금이 가장 정당한 세금이라고도 하고...
재테크라는 것 자체가 “자산을 효율적으로 운용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것”이라면 싸게 사서 비싸게 팔거나, 안정적인 현금흐름을 만드는 행위 잖아요.
전자라면 시세차익 목적으로 주식, 금 매수이고, 후자라면 배당주, 채권을 사는 거겠죠. 원리자체는 부동산의 매매가 다른 자산의 매매와 다른 건 아니잖아요. 부동산만 가치창출이 없다고 비난받을 일은 아닌 것 같습니다. 위에도 적었지만 부동산 투자자는 민간임대공급 역할을 하기도 하구요.
광기잇
지대추구에 대한 논의 자체가 오래된 얘기라... 주거공급만으로는 수익을 내는 걸 정당화하기엔 부족하니 비난의 대상이 되는 거겠죠.

부동산 말고도 다양한 지대추구가 존재하는데 부동산만 욕 먹는 건 억울할 순 있다고 생각합니다만, 부동산이 압도적으로 크니까 어쩔 수 없죠.
매뉴물있뉴수정됨
선생님... 그... 혹시 영상을 직접 보셨...는지요...;;;
영상 내용이랑 선생님이 본문에 적으신 비판 내용은 서로 그냥 아예 다른내용같아 보입니다.
영상을 보는 대신 썸네일만 보신거 같은...
영상 봤습니다만? 중간에 잠깐씩 넘기긴 했지만 100분 중 80분 이상은 봤습니다. 어떤 점에서 포인트가 안맞는다고 생각하시는지요?
제가 아무리 편견이 있는 사람이라해도 썸넬만 갖고 비판하진 않습니다. 그럴거면 통계치도 찾아볼 필요가 없죠.
앞에 선진국, 후진국, 자본축적, 산업자본, 금융자본 이런 설명 많지만 그건 다 빌드업이고 결국 저 분이 가장 강하게 가치판단을 하는 부분은 부동산 투자가 약탈이라는 거 아닐까요?
매뉴물있뉴
보셨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그러면 영상을 보셨다고 하니 보신줄 알고 댓글을 달겠읍니다.

제가 조금 선생님의 본문 탐라 내용을 성급하게 판단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이 영상은 애초에 시리즈물이고, 시리즈물로써 19화까지 온겁니다.
이 영상은 뒤의 자본축적, 산업자본, 금융자본, 관광산업, 부동산이 다 빌드업이고
초점은 앞의 선진국 후진국 입니다.
애초에 이 영상 시리즈의 모든 초점이 선진국 후진국에 맞아있고
우리는 어떻게 높은 성장률을 유지했으며
왜 지금은 성장률이 낮으며
어떻게 해야 국가 성장률을 더 올릴수 있... 더 보기
보셨다고 하니 다행입니다.
그러면 영상을 보셨다고 하니 보신줄 알고 댓글을 달겠읍니다.

제가 조금 선생님의 본문 탐라 내용을 성급하게 판단했습니다. 죄송합니다.

이 영상은 애초에 시리즈물이고, 시리즈물로써 19화까지 온겁니다.
이 영상은 뒤의 자본축적, 산업자본, 금융자본, 관광산업, 부동산이 다 빌드업이고
초점은 앞의 선진국 후진국 입니다.
애초에 이 영상 시리즈의 모든 초점이 선진국 후진국에 맞아있고
우리는 어떻게 높은 성장률을 유지했으며
왜 지금은 성장률이 낮으며
어떻게 해야 국가 성장률을 더 올릴수 있는지에 초점이 맞아있고
나머지는 다 곁가지라고 보시면 됩니다.

이 양반은 그래서 '질문을 어떻게 던져야 하느냐'를
바꿔야한다는 시리즈물을 하고 있는 것입니다.
질문을 바꿔야 하는데 질문을 잘못하고 있다. 는게 이 사람의 핵심 주제입니다.
따라서 답을 찾는것은 이 양반의 주된 관심사가 아닙니다.

물론, 말씀하신 부동산 이야기에 대해 이 사람의 답은 '부동산을 축소해야한다'는 것이긴 합니다.
하지만 이 사람은 자기가 답을 맞췄는지 못맞췄는지에 대해서는 관심이 없읍니다.
질문을 똑바로 해야 한다. 가 이 사람의 관심이에요.
그러면 이 사람이 제시하는 질문은 무엇이냐
'어느 국가의 어느 산업이든
그 산업이 차지해야하는 적당한 사이즈가 있으며
그 사이즈보다 산업이 커도 국가경제에 부담이 되고
그 사이즈보다 산업이 너무 작아도 국가경제에 부담이 된다.
그러므로 항상 질문을 할때는 '이 산업이 현재 키워야할 산업인가 억제해야할 산업인가'라고 질문해야한다'
쪽이 이 영상의 본질입니다.
매뉴물있뉴
그러니까 그 질문을 부동산 영역에 적용했을때
1 ['부동산 산업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너무 팽창해있는가 혹은 너무 축소되어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야지
2 ['부동산이 과열되어 FOMO를 유발하고 있으므로 부동산을 억제해야한다. 부동산을 어떻게 억제할것인가']
하는 식으로 질문을 던지지는 말아야 한다는 겁니다.

물론 이 사람의 답은 '부동산 산업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너무 팽창해있으므로 억제해야한다'는 것이긴 합니다만
애초에 이 영상과 이 시리즈... 더 보기
그러니까 그 질문을 부동산 영역에 적용했을때
1 ['부동산 산업은 우리나라에서 현재 너무 팽창해있는가 혹은 너무 축소되어있는가']라는 질문을 던져야지
2 ['부동산이 과열되어 FOMO를 유발하고 있으므로 부동산을 억제해야한다. 부동산을 어떻게 억제할것인가']
하는 식으로 질문을 던지지는 말아야 한다는 겁니다.

물론 이 사람의 답은 '부동산 산업이 현재 우리나라에서 너무 팽창해있으므로 억제해야한다'는 것이긴 합니다만
애초에 이 영상과 이 시리즈의 핵심은 답이 무엇인가가 아닙니다.
질문이 무엇인가에 초점이 가있읍니다.
1의 질문을 던져야지
2의 질문을 던지면 안된다.가 이 시리즈의 핵심입니다.
1의 질문을 던진 결과 부동산이 현재 너무 팽창해있다는 답이 나오는지
너무 축소되어있다는 답이 나오는지.
하는 부분은 사실 핵심이 아닙니다.

이 양반은 답을 맞추느냐 못맞추느냐에 관심이 있는 양반이 아니고
질문을 어떻게 던지느냐에 관심이 있는 양반인데
선생님의 탐라는 이 사람이 답을 맞췄느냐 못맞췄느냐
이 사람의 답이 왜 틀렸느냐.에 초점이 있었읍니다.

그래서 혹시 영상을 보셨냐는 질문을 드리지 않으면
왜 영상을 보고도 그런 말씀을 하시는지에 대한 답을 제가 먼저 얻지 않고는
제가 아무 설명도 달수가 없어서
다소..그.. 조금 기분이 나쁠수도 있는 질문을 던졌읍니다.
제 원 댓글이 무례했음을 용서해주십시오.
시리즈 전체의 관점과 본 영상에서 이야기하는 ‘자본소득 약탈이 창출보다 크면 사회는 지속 불가능하다’는 구조적 문제를 중점으로 보자면 제 반박은 지엽적인 사안이라 생각하실 수 있겠네요.
근데 그렇게 건조하게 다루는 내용이라 하기에는 도발적인 언어를 사용했고, 실제로 한국 부동산 상승률의 통계치와 맞지도 않고, 한국의 자본소득 약탈이 경기침체의 원인인지도 확실하지 않기에 비판받아 마땅한 내용이 아닌가 합니다.
카르스 25.07.07 09:39
자동삭제: 09시 39분 (20시간 35분 후)


말라카, 쿠알라룸푸르 일정을 끝내고 기차로 북쪽으로 갑니다.

이포와 페낭만 남았군요
9
김치찌개 25.07.07 09:37

워터밤은 역시 권은비!
5
은비는 오히려 키가 작아서 더 매력인 것 같아요
1
바하밥집 Sponsored
🚐 바하밥집 차량 교체 모금 시작!
10년간 달려온 밥스타,
이제는 새 친구가 필요합니다.
여러분의 후원이
바하밥집의 새로운 발걸음이 됩니다.
💛 함께해 주세요!
📌 국민은행
093401-04-198010 (나들목바하밥집)
093401-04-198317 (한빛누리바하밥집)
입금자명은 이름+차량으로 해 주세요
ex) 홍길동 차량
문의: 02-6494-1274
#바하밥집 #차량모금 #후원해주세요 #무료급식

후원하기
https://www.bahameal.net/donation
김치찌개 25.07.07 09:36

오징어게임3 7월 5일 기준 전세게 넷플릭스 7일째 1위입니다 대단하네요!
오징어게임1만 봐서 2보고 3볼 예정입니다^^
4
문샤넬남편 25.07.07 09:34
아...이제 빈속에 아아에 샷추가해서 먹으면 속이 아픈 지경까지 이르렀구나...ㅜ.ㅜ
7
이제서야..요?
오디너리안
도넛이라도 하나 먹고 드십시오ㅠ
dolmusa 25.07.07 09:31
홍크랩 잘됩니다. 굳굳굳
8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