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주말 캠핑 먹부림 컨셉은 꼬치로 정했읍니다.
양꼬치, 닭꼬치, 모듬꼬치, 어묵꼬치가 메뉴입니다.
황구 삼겹살은 좀 먹어야 하니 삼겹살도 꼬치에 꿰서 갈까 싶읍니다.
양꼬치, 닭꼬치, 모듬꼬치, 어묵꼬치가 메뉴입니다.
황구 삼겹살은 좀 먹어야 하니 삼겹살도 꼬치에 꿰서 갈까 싶읍니다.
2
살을 좀 빼보자.. 라고 하면 제일 힘든 건 역시 식단입니다 ㅡ.ㅡ 특히 탄수화물에 대한 부분은 하루의 기분과 머리 굴러감, 즉 회사에서 업무의 포포몬쓰와도 관련이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쉽게 포기하기가 쉽지가 않더라구요... 당장 포포몬쓰 떨어지는 게 느껴지는 데 뭐라도 해야 욕 안 먹지요.. 크흑 ㅠ
하지만 하루에 필요한 탄수화물은 점심 때 먹는 밥 한그릇으로 충분한걸.. 크흑.. 또륵.. ㅜㅠ
하지만 하루에 필요한 탄수화물은 점심 때 먹는 밥 한그릇으로 충분한걸.. 크흑.. 또륵.. ㅜㅠ
4
한번에 확 해놔야 다음번에 좀 늘어도 죄책감이 덜합니.. ;ㅅ; 요새 간식을 너무 처묵처묵한것도 있고요.. 크흑 ㅠㅜ
지금 좀 어질어질한 느낌이 들어서 이런 글 올리는 것도 있습니다.. ;ㅅ; 블루베리 쨈과 크림치즈 바른 빠바 베이글이 먹고 싶다.. 크흑; ㅠ
지금 좀 어질어질한 느낌이 들어서 이런 글 올리는 것도 있습니다.. ;ㅅ; 블루베리 쨈과 크림치즈 바른 빠바 베이글이 먹고 싶다.. 크흑; ㅠ
자동삭제: 10시 23분 (23시간 44분 후)
선물받은 초코잼… 유통기한 지나도록 손이 잘 안가서 방치되어 있었는데요.
어느날 무가당 땅콩버터 바른 빵에 초코잼 얹어 먹어봤는데 너무 맛있는 거에요..?
오늘은 바삭하게 구운 호밀빵에 땅콩버터+샹달프 사과잼+초코잼 얹었는데 엄청난 맛이네요. 사과잼이 뻑뻑한 맛을 부드럽게 하면서 시나몬 향이 살짝 납니다 ㅋㅋㅋㅋ
도대체 왜 호밀빵과 땅콩버터에 그런걸 올려 먹냐 하시면 할 말은 없지만…
원래 초코잼 버리려 했는데 먹어서 없앨 수 있을 듯… 꿀꿀
어느날 무가당 땅콩버터 바른 빵에 초코잼 얹어 먹어봤는데 너무 맛있는 거에요..?
오늘은 바삭하게 구운 호밀빵에 땅콩버터+샹달프 사과잼+초코잼 얹었는데 엄청난 맛이네요. 사과잼이 뻑뻑한 맛을 부드럽게 하면서 시나몬 향이 살짝 납니다 ㅋㅋㅋㅋ
도대체 왜 호밀빵과 땅콩버터에 그런걸 올려 먹냐 하시면 할 말은 없지만…
원래 초코잼 버리려 했는데 먹어서 없앨 수 있을 듯… 꿀꿀
7
아마존에서 40달러짜리 책을 살까 말까 고민중입니다.
Acceptable이라...상태가 어떨지 감이 안오는 군요.
그래도 정가가 300불 가까이 하는거 생각하면 질러야 하나 싶기도 하고.
제 연구분야에서는 바이블 같은 책이긴 한데...워낙 오래전 책이고
원론적인 내용이라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책은 아니긴합니다만...
장식용으로 꼽아둘까...쩝
Acceptable이라...상태가 어떨지 감이 안오는 군요.
그래도 정가가 300불 가까이 하는거 생각하면 질러야 하나 싶기도 하고.
제 연구분야에서는 바이블 같은 책이긴 한데...워낙 오래전 책이고
원론적인 내용이라 직접적으로 도움이 될 책은 아니긴합니다만...
장식용으로 꼽아둘까...쩝
8
https://www.youtube.com/watch?v=BIGKyUPoRKY&t=835s&ab_channel=EBSDocumentary%28EBS%EB%8B%A4%ED%81%90%29
집 정말 멋지네요. 살아보고 싶다..... ㅎㅎㅎ
날씨 상관 없이 전기세 0원, 냉난방 0원이라는 집 찾아가봤더니|에어컨도 없는데 바깥은 33℃ 집 안은 20℃?|온도가 유지되는 보온병 같은 집|건축탐구집|골라듄다큐
집 정말 멋지네요. 살아보고 싶다..... ㅎㅎㅎ
4
자동삭제: 09시 40분 (23시간 0분 후)
숙소 33층의 대합실? 에서 찍어본 쿠알라룸푸르 야경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KL 타워, 메르데카 118 타워의 삼원적 구도
숙소 방이 반대편이었으면 방 안에서도 보는건데 아쉽습니다.
페트로나스 트윈 타워, KL 타워, 메르데카 118 타워의 삼원적 구도
숙소 방이 반대편이었으면 방 안에서도 보는건데 아쉽습니다.
9
https://youtu.be/c6184UqERRE?si=nBEHXSbAHgqx_VWc
댓글 많은 최근 언더스탠딩 영상.
부동산 투자는 재테크가 아니고 청년약탈이다. 그래서 저출산한다.
한국 경제 망한다.등등.
---
실제 통계치 찾아봄... 더 보기
(19화) 부동산은 재테크 아닙니다 남의 돈 뺏는 겁니다
댓글 많은 최근 언더스탠딩 영상.
부동산 투자는 재테크가 아니고 청년약탈이다. 그래서 저출산한다.
한국 경제 망한다.등등.
---
실제 통계치 찾아봄... 더 보기
https://youtu.be/c6184UqERRE?si=nBEHXSbAHgqx_VWc
댓글 많은 최근 언더스탠딩 영상.
부동산 투자는 재테크가 아니고 청년약탈이다. 그래서 저출산한다.
한국 경제 망한다.등등.
---
실제 통계치 찾아봄.
2005년부터 2024년까지
20년간 GDP 256%상승,
코스피 273% 상승,
최저임금 347% 상승,
물가 153% 상승,
수도권아파트 183% 상승
수도권 아파트 GDP와 임금보다 적게 올랐는데 출산률 왜 떨어짐?
출산률이 집값 하나에 좌우되는 게 아니라는 걸 모르지 않을텐데...
자본소득이 약탈이라고 하는데 나이가 들면 노동을 못한다구요.
노후대비를 위해 자본소득을 만들어두는 게 맞는 것 아닌가요?
열심히 소득을 만들어내기 위해 일부러 자극적인 발언 하시는 건가요?
(19화) 부동산은 재테크 아닙니다 남의 돈 뺏는 겁니다
댓글 많은 최근 언더스탠딩 영상.
부동산 투자는 재테크가 아니고 청년약탈이다. 그래서 저출산한다.
한국 경제 망한다.등등.
---
실제 통계치 찾아봄.
2005년부터 2024년까지
20년간 GDP 256%상승,
코스피 273% 상승,
최저임금 347% 상승,
물가 153% 상승,
수도권아파트 183% 상승
수도권 아파트 GDP와 임금보다 적게 올랐는데 출산률 왜 떨어짐?
출산률이 집값 하나에 좌우되는 게 아니라는 걸 모르지 않을텐데...
자본소득이 약탈이라고 하는데 나이가 들면 노동을 못한다구요.
노후대비를 위해 자본소득을 만들어두는 게 맞는 것 아닌가요?
열심히 소득을 만들어내기 위해 일부러 자극적인 발언 하시는 건가요?
5
부동산이란 게 참 신기하죠.
다른 사람이 비트코인이나 엔비디아 가졌다고 박탈감 느끼는 사람은 거의 없을텐데 집은...
주택보급률은 100% 넘잖아요. 다들 더 좋은 집이 갖고 싶을 뿐.
다른 사람이 비트코인이나 엔비디아 가졌다고 박탈감 느끼는 사람은 거의 없을텐데 집은...
주택보급률은 100% 넘잖아요. 다들 더 좋은 집이 갖고 싶을 뿐.
경제가 발전하고 화폐가 늘어나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오르는 건 어쩔 수 없잖아요. 다른 건 다 오르는데 아파트만 20년 전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을까요?
저는 그래서 GDP와 임금을 비교 대상으로 가져왔고, 그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가격상승, 지난 20년 디플레 시대의 물가상승과 비슷한 정도의 상승은 양호한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주거목적과 투기목적은 구분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실수요와 가수요는 구분이 안되요. 하락장이라 생각하면 실수요자들도 안삽니다.
반대로 투자자가 없으면 임대 공급이 부족하잖아요.
나라에서 공급을 다 못해서 대부분 민간임대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저는 그래서 GDP와 임금을 비교 대상으로 가져왔고, 그에 비해 현저히 낮은 가격상승, 지난 20년 디플레 시대의 물가상승과 비슷한 정도의 상승은 양호한 수준이라 생각합니다.
아 그리고 주거목적과 투기목적은 구분할 수 없다 생각합니다.
실수요와 가수요는 구분이 안되요. 하락장이라 생각하면 실수요자들도 안삽니다.
반대로 투자자가 없으면 임대 공급이 부족하잖아요.
나라에서 공급을 다 못해서 대부분 민간임대상품을 이용하고 있는 현실에서.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GDP 수치는 서민경제를 대변할수 없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GDP가 200% 튀겼다고 해서 일반 시민들의 급여가 3배로 는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샐러리 들은 현실적으로 절대, 본인의 급여로 주택의 상승 가격을 따라잡을수 없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빚지는게 당연한건 사회 현상 자체가 현실이니 그걸 부정할순 없는데, 이게 맞냐? 더 개선할점은 없냐? 돈이 왜 부동산에 이렇게 많이 쏠려있냐? 투자? 그래 그건 긍정하자.
그렇다면 부동산에만 투자의 흐름이 몰려있는게 맞나?
다른쪽으로... 더 보기
GDP 수치는 서민경제를 대변할수 없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GDP가 200% 튀겼다고 해서 일반 시민들의 급여가 3배로 는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샐러리 들은 현실적으로 절대, 본인의 급여로 주택의 상승 가격을 따라잡을수 없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빚지는게 당연한건 사회 현상 자체가 현실이니 그걸 부정할순 없는데, 이게 맞냐? 더 개선할점은 없냐? 돈이 왜 부동산에 이렇게 많이 쏠려있냐? 투자? 그래 그건 긍정하자.
그렇다면 부동산에만 투자의 흐름이 몰려있는게 맞나?
다른쪽으로... 더 보기
조금 다른 이야기지만
GDP 수치는 서민경제를 대변할수 없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GDP가 200% 튀겼다고 해서 일반 시민들의 급여가 3배로 는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샐러리 들은 현실적으로 절대, 본인의 급여로 주택의 상승 가격을 따라잡을수 없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빚지는게 당연한건 사회 현상 자체가 현실이니 그걸 부정할순 없는데, 이게 맞냐? 더 개선할점은 없냐? 돈이 왜 부동산에 이렇게 많이 쏠려있냐? 투자? 그래 그건 긍정하자.
그렇다면 부동산에만 투자의 흐름이 몰려있는게 맞나?
다른쪽으로도 좀 못돌리나?
이런 고민들을 하자는 게 제 주장입니다;
저는 부동산 투자 자체를 악마화 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긍정도 하고요.
GDP 수치는 서민경제를 대변할수 없는 수치라고 생각합니다
GDP가 200% 튀겼다고 해서 일반 시민들의 급여가 3배로 는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대부분의 샐러리 들은 현실적으로 절대, 본인의 급여로 주택의 상승 가격을 따라잡을수 없습니다.
다시 원점으로 돌아와서
빚지는게 당연한건 사회 현상 자체가 현실이니 그걸 부정할순 없는데, 이게 맞냐? 더 개선할점은 없냐? 돈이 왜 부동산에 이렇게 많이 쏠려있냐? 투자? 그래 그건 긍정하자.
그렇다면 부동산에만 투자의 흐름이 몰려있는게 맞나?
다른쪽으로도 좀 못돌리나?
이런 고민들을 하자는 게 제 주장입니다;
저는 부동산 투자 자체를 악마화 할 생각은 전혀 없습니다.
오히려 긍정도 하고요.
레티
Sponsor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