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7/28 04:12:51
Name   아침커피
Link #1   https://crmn.tistory.com/116
Subject   사랑하는 법
고등학생 때 국어 선생님이 그 달의 필독 도서였던 에리히 프롬의 사랑의 기술에 대해 설명하시면서 여기서의 기술은 아트(art)이지 절대로 테크닉이 아니라고 강조하셨던 적이 있었습니다. The Art of Loving이라는 원제에서 영단어 art가 의미하는 바를 정확히 표현하는 한국어 단어가 없어서 어쩔 수 없이 기술로 번역되었다는 설명과 함께였습니다. 그 때부터 지금까지 제 머릿속 한 구석에는 art를 정확히 표현해주는 한국어 단어를 찾고자 하는 욕구가 항상 자리잡고 있게 되었습니다.

첫 후보 단어를 찾아낸 것은 그로부터 약 십 년 정도 후였습니다. 장자에 나오는 포정이 문혜군 앞에서 소를 잡는 이야기가 실마리가 되었습니다. 짧은 이야기 중에서도 앞 부분만 간단히 옮기면 다음과 같습니다.

포정이 문혜군(文惠君)을 위해 소를 잡은 일이 있었다. 그가 소에 손을 대고 어깨를 기울이고, 발로 짓누르고, 무릎을 구부려 칼을 움직이는 동작이 모두 음률에 맞았다. 문혜군은 그 모습을 보고 감탄하여 "어찌하면 기술이 이런 경지에 이를 수가 있느냐?"라고 물었다. 포정은 칼을 놓고 다음과 같이 말했다.

"제가 반기는 것은 '도(道)'입니다. 손끝의 재주 따위보다야 우월합니다. 제가 처음 소를 잡을 때는 소만 보여 손을 댈 수 없었으나, 3년이 지나자 어느새 소의 온 모습은 눈에 띄지 않게 되었습니다. 요즘 저는 정신으로 소를 대하지 눈으로 보지는 않습니다. 눈의 작용이 멎으니 정신의 자연스런 작용만 남습니다. (후략)"

이 이야기를 읽으며 기술이 기술 자체로 궁극의 경지에 다다르는 순간 예술의 문턱을 넘게 되는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게 예술의 경지에 오른 기술이 art이지 않을까, 그러면 기술이 예술을 만나는 지점이니 기예(技藝)라고 번역하면 되지 않을까 싶었습니다. 그렇게 한동안 The Art of Loving을 저 혼자서는 '기예(技藝)로서의 사랑' 정도로 번역하며 몇 년을 보냈습니다.

그러던 중 얼마 전에 갑자기 번뜩 한 생각이 들었습니다. Art를 어떻게 번역할지를 고민할 것이 아니라 영어권 화자들이 동아시아의 어떤 단어를 art로 번역해갔는지를 보면 확실하겠다는 생각이었습니다. 이건 정말 제대로다 하는 생각이 들어서 흥분된 마음으로 동아시아 문학 중 영어로 번역된 제목에 art가 들어간 글을 찾기 시작했고, 의외로 매우 쉽게 그런 책을 찾았습니다. 손자병법, The Art of War.

손자병법은 단순히 전쟁 잘 하는 기술을 적어놓은 책이 아니라 전쟁과 평화를 바라보는 관점과 사상을 전달함으로써 독자의 정신을 고양하는 책입니다. 이러한 부류의 글을 한자 문화권에서는 간단하게 법(法)이라고 불렀던 것이고, 손자(孫子)가 쓴 전쟁(兵)에 대한 법(法)을 영어권에서는 The Art of War로 옮겨갔던 것입니다.

그러니 에리히 프롬의 The Art of Loving은 사랑의 기술이니 기예로서의 사랑이니 할 필요 없이 간단명료하게 '사랑하는 법', 아니면 더 줄여서 '사랑법' 이라고 하면 될 일이었습니다. 이렇게 거의 20년에 걸친 고민이 드디어 끝이 났습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8-11 18:32)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6
  • 방향과 목적에 다르는 서사가 명확한 고민.
  • 오오오..저도 명쾌해졌습니다.


seonnyseo
저는 비슷하게 알랭드 보통의 책 '여행의 기술'을 읽고 비슷한 생각을 했었어요. 원제목이 'The art of travel'이거든요. 그제야 Art라는 단어가 두가지 뜻을 갖는다는 걸 알게되었고 한참 이거에 꽂혀서 회사 면접에서 '기술이 어느 경지에 오르면 예술로 보이게 되고 그래서 Art가 두가지의 뜻을 갖고 있는 것 같다' 라는 말을 했었습니다. 써주신 글을 읽고서 '여행의 기술'을 '여행하는 법'으로 바꿔 읽어도, 제목으로서 흥미는 조금 떨어져보이지만 :) 어색함은 없는 것 같고 더 와닿는 것 같습니다.
4
아침커피
감사합니다 ^^ 실제로 주위를 둘러보면 어느 경지에 다다름으로써 예술이 된 기술을 볼 수 있더라고요. 개인적으로는 퓰리처 상을 받은 특종 사진들이 언론 보도라는 기술에서 시작해서 예술에 도달한 좋은 예가 아닐가 생각합니다.
알료사
와우.. 춫천
아침커피
홍차넷 가입 전에 눈팅 하면서 알료사님 글 많이 읽었습니다 ^^ 이렇게 인사드리게 되어 좋네요 ㅋ 감사합니다.
맥주만땅
좋은 글 감사합니다.
아침커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alchemist*
오. 저는 집에서 '여행의 기술' 책 보면서 저게 'art'인데 저게 번역어가 좀 애매하다.. 이런 생각 많이 했었는데..
와우~!
아침커피
The Art of ... 형태의 책 제목들을 주욱 모아보면 재미있겠다는 생각이 드네요 ㅋ 사랑의 기술, 여행의 기술, 또 뭐가 있을까요 ㅎ
별바라기
좋은 글 고맙습니다!
아침커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피아노치는소년
번역은 "아름다우면 신실하지 못하고, 신실하면 아름답지 못한" 것이라서... art를 기술로 번역한 역자들도 아마 둘 사이를 많이 고민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ㅎㅎ
3
아침커피
오 멋진 표현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 사족이지만 한때 '~~의 기술'의 기술이 혹시 기술(記述)인가? 하고 생각했던 일이 갑자기 생각나네요 ㅋㅋ
에피타
'사랑하는 법'이 가장 좋은거 같아요. '사랑법'은 성문법 같은 느낌이라 좀...
2
아침커피
윗 댓글에서 다른 분들이 말씀해주신 The art of travel도 여행법이라고 하면 민법, 상법 친구 같네요 ㅋㅋㅋ 말씀해주신 대로 '~~하는 법'이 더 자연스러워 보여요 ㅎ
켈로그김
https://youtu.be/IfBzYgVhM5c
룰라 - 사랑법 (1996)


사랑법!
아침커피
우왓 이런 노래가! 감사합니다 ㅋ
글쓰는 법
아침커피
감사합니다! ㅋㅋㅋ
배바지
용호의 권은 Art of Fighting 입니다만?
아침커피
이제부터 The art of loving은 '사랑의 권'으로!
한달살이
자, 이제 사랑하는 법을 알려주셔요.
아침커피
저도 하루하루 배워나가는 중입니다 ㅎ 평생 배워도 모자랄 것 같아요 ㅋ
메존일각
훌륭하십니다.
아침커피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1
저도 요즘 영어 배우는데.
접두사 접미사 달달 외우다보면 한 단어가
여러 뜻으로 파생되는게 많더라구요
그런거 알아가는게 참 재미있는것 같습니다.
인생의 지침서 같은 책인데, 가끔 책 소개할 때 한국어 제목이 애매하긴 하더라구요 ㅎㅎ
비슷하게 느끼시는 분들이 계셨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011 문화/예술여백이 없는 나라 13 아침커피 20/09/29 6558 36
991 문학사랑하는 법 26 아침커피 20/07/28 5838 36
812 일상/생각이방인 노숙자 7 멍청똑똑이 19/06/02 6350 36
582 과학국뽕론 44 기아트윈스 18/01/25 8125 36
539 일상/생각아주 작은 할아버지 20 소라게 17/11/03 6983 36
465 정치/사회홍차넷 20000플 업적달성 전기 89 파란아게하 17/07/04 8331 36
401 기타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는 나라 15 烏鳳 17/03/28 7262 36
1405 일상/생각머리에 새똥을 맞아가지고. 12 집에 가는 제로스 24/08/02 2084 35
1400 정치/사회한국 언론은 어쩌다 이렇게 망가지게 되었나?(3) 26 삼유인생 24/06/19 3354 35
1234 일상/생각우리는 조금씩 성장한다. 4 whenyouinRome... 22/09/05 4175 35
1144 일상/생각어느 유서깊은 양반가문 이야기. 18 Regenbogen 21/11/16 5856 35
1119 일상/생각족보 4 私律 21/08/20 4295 35
1094 일상/생각엄마는 내 찢어진 츄리닝을 보고 우셨다 3 염깨비 21/06/04 5098 35
1087 일상/생각어느 개발자의 현타 26 거소 21/05/04 8100 35
1085 기타발달장애 아이들을 위한 키즈카페 추천 2 쉬군 21/05/04 6187 35
1046 정치/사회만국의 척척석사여 기운내라 15 아침커피 20/12/29 6370 35
928 역사역사학 강연에서 의용대를 자처하는 이들을 만난 이야기 13 Chere 20/02/29 5773 35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808 35
735 정치/사회형벌의 목적, 책임주의, 그리고 음주운전 28 烏鳳 18/11/20 6709 35
715 여행이별 후 홀로 여행 6 곰돌이두유 18/10/14 7215 35
595 일상/생각따듯한 난제 10 Homo_Skeptic 18/02/23 6123 35
441 기타사람은 아픈만큼 성숙해지지 않는다 11 소맥술사 17/06/01 6754 35
378 일상/생각내 잘못이 늘어갈수록 20 매일이수수께끼상자 17/03/02 6211 35
1429 정치/사회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437 34
1388 기타잡담)중국집 앞의 오토바이들은 왜 사라졌을까? 27 joel 24/04/20 4035 34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