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0/03/20 10:45:30수정됨
Name   호라타래
Subject   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만물자존감 설을 자주 보게 되요. 연애도 자존감, 취업도 자존감, 왜 나는 자존감 뿜뿜 뭘해도 뿜뿜 못할까 흑흑 역시 문제는 자존감이지 말입니다 등등. 가끔 보면 사람들이 자존감에 바라는 모습은 그 어떤 상황에도 무너지지 않는 안정이나 자아상이 아닌가 싶을 정도니까요. 역설적으로 이는 취약함이나 수치심을 둘러싼 공포를 보여주지 않나 싶고요. 

하지만 심리학계에서 바라보는 자존감self-esteem은 일상 속에서 혹은 온라인에서 거론되는 자존감과 다르더라고요. [허지원. (2019). 나도 아직 나를 모른다. 홍익출판사] 에서 뇌과학과 임상심리를 엮어서 설명한 내용을 약간 정리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물론 자존감은 중요하다

미국심리학회(APA) 정의를 찾아봤어요. 

self-esteem 
n. the degree to which the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contained in one’s self-concept are perceived to be positive. It reflects a person’s physical self-image, view of his or her accomplishments and capabilities, and values and perceived success in living up to them, as well as the ways in which others view and respond to that person. The more positive the cumulative perception of these qualities and characteristics, the higher one’s self-esteem. A reasonably high degree of self-esteem is considered an important ingredient of mental health, whereas low self-esteem and feelings of worthlessness are common depressive symptoms.

자존감

한 사람의 자기개념 속에 포함된 특징이나 성질이 긍정적으로 지각되는 정도. 자존감은 개인의 신체적인 자기 이미지, 성취나 역량을 바라보는 관점, 살아오면서 쌓아올린 가치나 지각한 성공, 타인이 그 개인을 바라보고 반응한 방식 등에 영향을 받는다. 자신의 특징이나 성질을 누적적으로 인식하는 방식이 더 긍정적일 수록, 개인의 자존감은 높다. 합리적으로 높은 수준의 자존감은 정신건강의 중요 구성요소이며, 반면에 낮은 자존감과 무가치감은 우울증상에서 일반적이다.

정의에서 보았듯이 자존감은 누적적이고, 살면서 겪어온 여러 사건들에 영향을 받아요. 우선적으로 꼽히는 건 주양육자의 영향이지요(가족 내 역동). 또한 저조한 대인관계 성취, 직업적 성취 수준 역시 영향을 끼칩니다. 

="">
회색질=회백질입니다

자존감에 영향을 주는 부정적인 경험들은 뇌의 회백질 부피에 영향을 미쳐요. 회백질은 신경세포가 모여 있고, 우리 정신의 다양한 기능에 관여한다고 하네요. 여러 정신건강 연구가 회백질의 부피 변화를 중요한 임상증상으로 제시한다고 하고요.

2. 자존감은 그 때 그 때 달라지는 상태이다.

"자존감이 유별나게 높은 사람을 알고 있나요? 실제로 그런 사람이 있을까요? 그럼 자존감이 낮은 사람을 알고 있나요? 음... 이게 우리죠. 저를 포함한 우리 모두이지요. 물론 자존감이 높은 '것처럼' 보이는 사람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 사람 역시 매일매일 위아래로 끊임없이 요동치는 자존감을 끌어안고 살아갑니다. 그들도 우리와 마찬가지로 어떤 날은 스스로가 괜찮아 보이고 (아마 이런 때 당신을 만났겠지요), 어떤 날은 기분이 바닥끝까지 가라앉는 경험을 하면서도 그저 버티며, 꾸준히 살아갈 뿐입니다." (pp. 22-23)

저자는 절대적 수준의 낮은 자존감은 존재하지 않으며, 높은 자존감은 허상이라고 말합니다. 다른 사람을 보고 있노라면  그 사람이 '자존감 뿜뿜 뭘해도 뿜뿜 나는야 사랑받기 위해 태어난 사람'처럼 보여서 부러울 수도 있겠지만, 다 똑같이 오르락 내리락 하는 마음을 끌어안고 살고 있어요. 

때문에 요새는 자존감 대신에 상태 자존감state self-esteem이라는 용어를 사용한다고 합니다. 삶의 맥락, 고비, 매 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자기가치감이지요.

3. 칭찬해주시고, 칭찬을 편하게 들어주세요



칭찬은 상어도, 악어도, 박우진도 춤추게 합니다.

칭찬은 쾌락적이에요. 기분 좋은 물리적 접촉에 반응하는 후측 뇌섬엽posterior insula는 기분 좋은 심리적 접촉에도 활성화 된대요.

확산자기공명영상diffusion magnetic resonance imaging으로 일정 기간 자존감이 높아진 사람들의 뇌를 들여다보면 

내측 전전두피질medial prefrontal ccortex: 자기개념, 사회적 기능 및 의사결정과 관련한 부분 
복측 선조체ventral striatum 간 백질회로whit matter pathway: 쾌락 및 보상적 경험과 관련한 부분

두 영역 사이의 연결성이 높아져 있대요. 반대로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이 연결성이 눈에 띄게 저하되어 있고요.

말인즉슨, 칭찬 -> 보상적 경험 -> 자기개념 사이의 연결은 태생적인 건데, 이 연결이 약화된 결과 악순환에 빠지는 상황이 오게 된다는 거지요. 

그러니 너무 고민말고 누가 칭찬하면 있는 그대로 즐거운 감정을 느끼는 것이 좋아요. 

서로서로 주접 떨어주는 것도 좋고요. 이 글도 추천과 댓글 부탁드립니다. 밑줄 쫙쫙.

4. 지나치게 낮은 자존감에서 벗어나기

자존감의 기저인 가족 내 역동은 사실 문명5 스타팅이에요. 운빨게임이지요. 천조국에서 스타팅하는 경우도 있지만, Korea에서 스타팅 하기도 합니다. 

부모도 부모가 되어가는 방법을 하나씩 배웁니다. 또한 그들은 현재의 우리보다 더욱 자신을 모르는 나이에 결혼을 해야했고요. 건강하지 못한 주양육자 아래에서 부적절한 태도에 노출된 경우, 우리는 자연스레 자기파괴적인 사고/감정을 익히게 됩니다.

우리는 거리를 두고 어린 시절을 건조하게 바라볼 필요가 있대요. 왜냐면 그때의 상황을 객관적으로 평가해야, 비로소 엉망으로 엉키고 오염된 지금의 감정을 조금이나마 처리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나는 그렇게 부당하게 취급받을 이유가 없었다. 하지만 그런 상황이 있었던 것만은 사실이고, 이것이 나의 잘못이나 결함에서 기인하지 않았던 것도 사실이다. 그들은 그 나이에 알맞게, 형편없이 미숙했다." (p. 29)

하지만 중요한 점은, 과거의 오랜 이야기들이 당신의 일부를 만들었을지라도 그것이 당신의 전부는 아니라는 겁니다. 우리는 우리 자신의 보호자이자 양육자니까요. 저자는 스스로를 돌보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합니다.

1) 잘못된 상대와는 물리적/심리적으로 분리되어야 하고, 성숙한 수준의 재양육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을 찾으라

가족들과 뒤엉켜 분노를 표출하는 일은 아무런 도움이 안 됩니다. 화는 표출될 수록 커지지요. 정리되지 못한 감정 표현은 불쾌감과 죄책감으로 돌아올 뿐이고요. 소득도, 방향도 없을 뿐입니다. 

성숙한 수준의 재양육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은, '나'라는 존재를 있는 그대로 긍정해주는 사람입니다. 이 사람은 심리치료자일 수도 있고, 사랑하는 사람일 수도 있고, 자기 자신이 될 수도 있대요. 

그리고 상대의 호의적인 태도에 자꾸 의도를 파악하려고 하거나 의심하거나 딴죽걸지 말라고 하고요. 

2) 자존감이 '높은 척' 하라. 정확하게는 내공 높은 자존감에서 나올 법한 행동을 연습하라

본문을 그대로 가져오면

- 자기의 삶에 충분히 집중하는 '척'하기
- 중립적인 이야기에도 과잉 방어하고 정색하는 패턴을 부디 억제하고 (설사 마음이 불편해졌더라도) 아무렇지 않은 '척'하기
- 불편한 상황에서 유머로 적절하게 받아치는 '척'하기
- 혼자 밥을 먹거나 홀로 있는 시간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척'하기
- 실패 및 성공의 가능성이나 주위의 평판에 초연한 '척'하기
- 마지막으로, 모든 일들을 일일이 페이스북이나 인스타그램에 드러내지 않기
(p. 31)

라고 합니다. 이를 통해서 우리가 가지게 되는 건 유용한 가면persona 중 하나고요.

가면은 다양할 수록 좋대요. 한 가지 가면만 쓰고 세상을 살아가는 것만큼 어려운 일이 없잖아요.

저만 해도 진지 모드, 긍정에너지오조오억개 모드, 빡겜 모드, 노빠꾸 모드, 옴닉 모드 등 기본 한 5개로 사는 것 같네요. 그리고 새로운 페르소나를 찾아내고 적절하게 활용하는 게 그렇게 즐거울 수가 없더라고요. 아 여튼 이건 다른 이야기고...

몇몇 사람들은 다양한 페르소나를 지니는 걸 낮은 자존감과 연결하여 생각하기도 하는데, 이건 가식도 아니고 위선도 아니에요. 요는 그 다양한 페르소나를 어떻게 사용하느냐지요.

5. 외현적 자존감 vs 내현적 자존감

심화학습으로 넘어가봅시다. 자존감은 한 가지가 아니에요. 크게 외현적 자존감explicit self-esteem과 내현적 자존감implicit self-esteem으로 나뉘어요.

외현적 자존감은 자기선호, 자기수용, 자기가치감 등 겉으로 드러나는 자존감이에요. 타인의 눈에 보이는 자기 모습을 나름대로의 합리적이고 의식적인 수준에서 평가한 결과이고요. 의도적이며 통제 가능한 명시적인 자존감입니다.

내현적 자존감은 비의식적이고 자동적이며 암묵적 수준에 있어요. 좀 더 복잡한 양상을 띱니다. 저자의 정리에 따르면, (pp. 41-42)

첫째, 내현적 자존감은 전의식적preconscious인 특성을 보입니다. 전의식은 프로이트가 제안한 개념으로, 평소엔 잊고 있지만 무의식 수준으로 억압된 건 아니어서 질문이나 단서가 있으면 회상을 통해 의식의 수면 위로 떠올릴 수 있는 것들입니다.
둘째, 자동적이며 연합된 형태를 보입니다. 이것은 굳이 노력을 기울이지 않아도 처리가 되는 자존감으로 몸과 마음에 너무나 익숙해져 통제할 필요나 통제할 기회도 없이 자동적인 수준에서 작동하는 자판기 같은 자존감입니다.
셋째, 내현적 자존감은 빠르게 비언어적 모습을 드러냅니다. 분명하게 말로 설명하기는 어렵지만 자기 자신에 대한 '왠지 모르게 그냥 그런' 생각과 이미지로 나타납니다.
넷째, 내현적 자존감은 본인의 정서와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부분은 자부심, 죄책감, 모멸감, 수치심, 시기심 등 살명서 문득문득 치받쳐 올라오는 자의식 정서self-conscious emotion와 관련되어 있습니다.

개념적인 수준에서의 뚜렷한 구분과 달리, 현재까지의 뇌영상 연구에서 자존감 전반은 외현과 내현에 상관없이 공통된 뇌 영역에서 처리되는 것처럼 보인대요. 심리적 문제가 없는 정상군을 대상으로 할 때는요.

하지만 자존감 저하를 보이는 임상군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들에서는 조금 다른 양상이 관찰된다고 해요. 내현적 자존감이라는 개념의 특성상 자기공명영상을 통해 파악하기에는 방법적인 어려움이 남아있지만, 앞으로 관련 연구가 진행되면 더 잡아낼 수 있겠지요.

그럼 뇌영상 연구가 아니라 임상 연구에서는 어떨까요?

자존감의 종류를 둘로 나누었으니 각각이 높고 낮은 경우에 대해서 도표를 그려볼 수 있어요.

1) 손상된 자존감damaged self-esteem: 외현적 자존감(낮음) + 내현적 자존감(높음) 

집단 따돌림이나, 입시 혹은 입사 실패 등과 같은 특정한 이유로 자기치감에 흠집이 생겨 주눅 들어 있는 경우래요.

자살 충동이 있는 우울증 환자나 신경성 폭식증 환자들 중에 오히려 이런 케이스가 좀 있다네요.

이상적인 자신의 모습을 충족시키지 못하는 절망적인 현실이나 반복되는 실패 앞에서 스스로를 살리기 위한 방어책이자 자구책으로 내현적 자존감을 높인 것으로 보인다 하고요.

이 경우 완벽주의나 정신승리가 자주 나타난대요. ex) '내가 이 정도는 달성해야지', '내가 이 정도 체중은 유지해야지!', '세상의 비난은 내가 더 잘 되기 위한 밑거름이야!'

하지만 과장된 기준은 언제나 넘기 힘든 경우가 대부분이고, 다시 바닥으로 곤두박치는 악순환으로 들어서게 된다 하지요.

2) 취약한 자존감fragile or defensive self-esteem: 외현적 자존감(높음) + 내현적 자존감(낮음)

외상적 경험들이 티가 나지 않도록 그럭저럭 잘 덮고 살아왔으나 오랜 기간 형성된 자동적이고 부정적인 자존감을 어찌할 줄 몰라 사소한 일에도 휘청거리는 경우래요.

어린 시절 주 양육자의 변덕스럽고 일관성 없는 양육 방식 같은 부정적인 인간관계에서 기인하는 경우가 많다 하고요.

특징은 외부의 갑작스러운 위협에 직면하게 되면 자신을 지켜내기 위해 타인을 마구 경멸하고 무시하며 비난하는 겁니다. 이러면서 세상이 자신의 태도에 반응하는 걸 확인하면 외현적 자기애가 다시 높아지고요. 

미국의 정신분석학자 오토 컨버그Otto Kernberg는 이렇게 과대한 자기애를 '굶주리고 분노하고 비어있는 자아a hungry, enraged, empty self'에서 벗어나려는 학습된 방어태세라고 설명했대요.

6. 자존감이 높은 것만이 좋은가요

높은 자존감과 낮은 자존감은 제각기 장단점을 지녀요.

자존감이 높으면 타인에게 좋은 첫인상을 주는 것은 맞대요. 하지만 이들의 사회적 관계의 질은 유난히 높지도 않고, 대인관계를 특별히 오래 유지하는 경향성이 있는 것도 아니라 합니다. 지나치게 자기중심적 태도 때문에 고립되기 일쑤이고, 세상에 대한 자신의 통제력을 과신하여 위험한 행동을 실행한 후 그 여파를 경시하고요.

자존감이 낮으면 세상의 변화와 피드백에 예민하기에 큰 실수가 적습니다. 또한 자존감이 높은 사람에 비해 스스로가 '인지'하는 부족함을 채우기 위해 부단히, 부산하게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요. 

물론 앞서 언급했듯이 낮은 자존감이 일으키는 여러 문제가 있어요. 하지만 다른 사람의 시선을 적당히 의식하는 것을 낮은 자존감의 발로라 괴로워하고, 다른 사람의 시선을 전혀 의식하지 않는 것을 높은 자존감의 발로라 자신만만해 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람이 아무일도 하지 않고 가만히 쉬고 있을 때 뇌의 기능적인 상태를 자기공명영상MRI 스캐너로 살핀 후 뇌가 어떤 식으로 연결되어 있는지(뇌의 휴지기 기능적 연결성resting-state functional connectivity)를 확인했을 때, 대부분 뇌 내에서는 다양한 연결성 패턴이 관찰되었대요. 뇌는 한시도 쉬지 않고 작동한다는 뜻이에요.

그 중 특별히 '깨어 있으면서도 아무 일 없이 쉬고 있음'과 관련된 네트워크를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default mode network; DMN'이라고 하네요. 

근데 이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는 자의식이나 자기 개념 같은 자기참조적self-referential 정보 처리 영역과 겹치고,
타인의 마음이 이럴 것이라고 짐작하는mentalisation / theory of mind 사회적 상호작용 처리 영역과도 겹친대요.

결론적으로 우리는 가만히 누워있을 때도, 자기와 타인에 대한 정보를 처리하는 뇌 영역만큼은 좀처럼 쉬게 하질 못한다는 거예요. 나를 의식하고, 타인을 의식하는 이거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나요? 그래요 우리가 낮은 자존감의 발로라 생각하는 모습들이 사실은 모두가 공유하는 자연스러운 모습이라는 것이지요. 이불킥은 패시브입니다. 아닌 척하며 사는 거지유


이불킥도 잘 팔면 돈이 됩니다. 

그래서 어떤 학자들은 이 디폴트 모드 네트워크를 프로이트적 관점의 에고(ego)라 해석하기도 합니다. 에고는 환경적인 압력과 실제 여건을 고려한 현실 원칙reality principle에 바탕을 두고 합리적 선택을 하려는 자아이지요. 

그럼 어느 정도가 되면 자신과 타인을 의식하는 행태가 문제가 되냐 하면, 저자는 "우리를 괴롭히는 생각과 불필요한 신념들을 인정받기 위해 타인을 자꾸만 시험에 들게 하는"(p. 67) 지점에서는 멈추라고 하네요. 자신의 존재감, 중요성, 진심에 과도한 의미를 부여하면서 자의식에 매몰될 필요는 없다고요.

그 정도가 아니라면 외부의 시선을 의식하고 자신이 타인에게 어떻게 보이는지에 관심을 기울이는 건 자연스러운 마음으로 받아들이라는 겁니다.

왜냐면 이런 마음들이 "우리가 현실을 넘어서서 함부로 달려나가지 못하게끔 단단히 붙잡아"(p. 69) 주고, "환경과 나와 타인 그리고 나의 의식과 전의식과 무의식이, 그럭저럭 만족하며 지낼 수 있도록 살펴주는 안전망"(p. 69) 이니까요.

//

더 재미있는 이야기들이 많지만 나머지는 책을 구매해서 보시기를 추천합니다.

점심 맛있게 드시고 달달구리 + 향 좋은 차로 스스로를 행복하게 해주시기를!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0-04-02 16:0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45
  • 추추추추추추추추천천천천천
  • 이런 글 너무 좋아요! 추천추천추천추천처누천춘천주접추넟누천!
  • 항상 재밌게 보고 있읍니다 ㅎㅎ
  • 칭찬해요
  • 책한권공짜로다읽었네요 감사
  • 항상 재밌는 주제 좋은글 감사합니다~~~
  • 책 사러 갑니다.
  • 좋은 글 읽었습니다! 추천추첨추천


알료사
원초적 관종
호라타래
그러니 관심을 원하는 마음을 너무 부끄러워 할 필요가 음슴당. 문제는 방식이죠잉
자공진
호라타래님 늘 좋은 글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멋진 분! (이렇게 쓰면 되는 거죠? 추천도 눌렀어요)
1
호라타래
본문에 삽입한 짤방 같은 주접도 좋습니다 (엄근진)
에피타
어휴 밑줄 친 글의 요지를 너무 잘 숨겨놓으셔서 못 볼 뻔 했어요. 하지만 전 떡떡한 학생이라 간파했습니다!
호라타래
축하합니다. 선생님은 레번클로입니다 ^_^/
좋은 글 감사합니다 ㅎㅎ 항상 잘 읽고 있어요.
저는 관련 전공 쪼금 들은 수준이고, 일도 전혀 다른 일을 하는데 호기심으로 관련 도서나 논문 읽으면서 느끼는 건 인생 운빨게임이라는 거... 근데 또 동시에 드는 생각은 평범한 사람들 사이에선 의식적으로 노력하면 치고 나갈만큼의 엣지를 만드는 건 가능하겠단 생각이 들더라구요. 사람들의 수준도 점점 상향평준화 되어가고 콤퓨타가 할 수 있는 것도 많아지니 이것도 막차일수도 있겠다는 생각도 들지만요.
호라타래
동시에 그 운빨에서 대부분은 하나씩 결여를 지니고 살아간다는 것이기도 하고요. 안나 카레리나의 서문처럼... 의식적으로 노력하여 만들 수 있는 엣지도 중요하고, 저는 사람들의 결여를 잘 조화하여 어떤 시너지를 만들 수 있을지에도 관심이 많아요 ㅎㅎ
호라타래님 감사해요~~ 좋은 글들 최고에요~~ 짱짱짱!!
1
호라타래
감사합니다. 기회 되면 꼭 책을 찾아서 읽어보셔요! 뉴얏님께서 무척 좋아하실 듯해요.
1
celestine
좋은 글 감사합니다. 생각이 많아지면 칭찬도 곱게 못듣고 흑역사 적립한 기억이 떠오르네욤. 남들도 다 그러려니 즐겁게 단순하게 살렵니다. 호라타래님 최고 >_<b
1
호라타래
네네, 우리 뇌도 마음도 부정적 영향을 쉽게 받지만, 어느 정도는 마음의 노력을 통해 즐겁게 돌릴 수 있는 부분이 있으니까요. 감사합니다 >_<
켈로그김
흐..흥.. 난 이런 글을 봐도 아무렇지 않은걸..
1
호라타래
츤츤츤츤. 칭찬 어디 갔죠 어디 갔냐구요
귀차니스트
'잘못된 상대와는 물리적/심리적으로 분리되어야 하고, 성숙한 수준의 재양육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을 찾으라'

물리적/심리적 분리를 어떻게 해야할까 생각중입니다.
호라타래
그게 정말 어려운 지점 중 하나에요. 물리적/심리적인 분리가 가능하다는 점에서 이미 많은 걸 이룩한 셈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처한 상황과 조건이 다르니 어떻게 말씀드리기가 힘드네요.

저는 한 사람이 물리적/심리적으로 원가족에서 분화하는 걸 1년 반 동안 지지한 경험이 있어요. 끝없이 지지하고 혼내기도 하고 상담에 데려가기도 하고요. 상대가 저를 신뢰하는 경우에도 그 정도가 걸리더라고요 ㅎㅎ
오쇼 라즈니쉬
특히 그 잘못된 상대가 '가족'인 경우 상처가 커지는 듯합니다.
호라타래
네네, 저야 좋은 가족을 만나서 자란 운 좋은 케이스지만 세상에는 안 좋은 가족이 더 많은 것 같더라고요... 벗어나지 못할 정도로 무너진 사람들도 있고요ㅠ 그럴 때는 주변에서 애정을 가지고 오래도록 도와줘야 하는 듯해요.
귀차니스트
천천히 준비하려고 합니다. 그 시작이 추천해주신 책을 구입한 거일지도 모르겠네요.
1
용어의 결이 다르다는 지점을 떠나서 '자존감'이라는 요소는 현대 사회에서 과대평가를 받고 있다 생각합니다. 물론 적절한 정도는 필요하지만, 자존감으로 인해 되려 본연의 모습들을 명료하게 보고있나? 묻게 되더군요. SNS를 통해 자존감을 높이기도 하지만, 한 편으로는 SNS상의 모습이 자신의 모습인가 싶기도하고... 혼자 되뇌어봅니다.
언제나 깊은 내공과 재밌는 글들에서 많은 울림을 받습니다. 감사합니다 : )
호라타래
SNS는 적~당히만 써야 정신건강에 좋은 듯합니다 ㅎㅎ 거기에 비춰지는 모습에 너무 일희일비할 필요도 없고요. 다른 분들의 이야기를 끌어다가 적당히 가공한 것이에요. 물론 가공한 저의 노력은 있지만! 감사합니다 :)
1
절름발이이리
저는 자존감이 낮아진 순간이 성인 이후로는 거의 없습니다. 기본적으로 별로 오르락 내리락 하지 않고 늘 만족스러운 수준을 유지하는 편인데.. 이런 경우가 상당히 드문 것 같기는 합니다. 근데 어쨌거나 저는 그렇게 살고 있는게 맞아서 허상이라고 하면 좀.
ㅠㅠ 말법시대만 아니었어도 이름 높은 고승대덕이 되셨을 분...
호라타래
상당히 드무니 허상인거지요 ㅎㅎ 어디까지나 온라인에 표상되는 '높은 자존감'이 허상이라는 뜻일 뿐이니까요. 또한 사람들이 걱정하는 것만큼 '높은 자존감'을 부러워 할 필요도 없다는 거구요. 그럼에도 불구하고 항상 보여주시는 태도는 이리님 스스로의 정신건강을 위해 긍정적인 요소여요. 저는 80%는 안정적이고, 20%는 오락가락하는 느낌이네요.
https://redtea.kr/?b=31&n=202241

말씀하신대로 벌써 몇 년동안 자존감을 떠들어제끼는지 모르겠어요. 근데 정작 그 많고 많은 글들 중에서 그럴듯한 말은 윗링크의 글 하나뿐이네요. "남과 자신을 굳이 비교하지 않을 만치 자존감이 있으려면 자기 자신이 남과 굳이 비교되지 않을만한 무언가가 있어야된다..." 참 유쾌한 통찰 아닐지요 ㅎㅎ

[예컨대 '나는 Ronaldo입니다'만으로도 충분한 포르투기스는 대체로 자존감의 위기를 겪을 일이 없겠죠. 난 축구 선수입니다 난 연 수입이 1000억이 넘습니다 난 인스타 팔로워가 세계에서 제일 많습니다 같은 군더더기 없이도 그냥 Ronaldo만으로 충분하죠. 그의 이름 자체가 브랜드니까요.]
2
호라타래
인문학하는 분들이 좋아하실 만한 통찰 ㅎㅎㅎㅎㅎ 이기는 한데 고유성을 짚은 건 타당하다 생각합니다. 다만 고유성이라는 것이 관계 속에서 유효하다는 걸 생각해야겠지유. 자기 자신과의 관계이든, 타인과의 관계든지 간에요.

더 공부해야 하기는 하다만, 작년 겨울에 메를로퐁티의 환상통 분석 이야기를 듣고 육체에 새겨진 기억, 감각, 자아 사이의 관계를 종종 생각해 보고는 해요. 과거, 현재, 미래가 어떻게 하나로 얽혀있는가를 다른 관점에서 생각해보는 건 흥미롭더라고요.

본문에서 자존감이라는 임상적 개념과 뇌의 패턴 변화를 연결했다만, 결국 이 또한 다른 이론적 관점 앞에서 (뇌과학에서 다시 프로이트를 끄집어 내듯이) 새롭게 해석될 수도 있지 않나 싶읍니당
오쇼 라즈니쉬
자존감을 위한 자존감이랄까...
호라타래
최소한의 지지대는 필요하지요. 그래서 스타팅 포인트가 중요하지만, 스타팅이 나쁘더라도 일정 이상이 되면 자율적으로 행동할 수 있으니까유
오쇼 라즈니쉬
자존감이 수단이 아닌 목적이 된듯한 느낌입니다 흐흐
야슈얼리티 시리즈도 얼른 부탁해요~
호라타래
야스야스 예스예스
화이트카페모카
암만 인간이 생존경쟁을 덜 하게 되거나 자유로워 졌다고는 해도 그 시기는 수십년 밖에 안되었죠. 자존감이 부족하면 도태되는 수순을 밟게 되니까 허세라도 좋으니 지니고는 있어야 한다고 봅니다. 좋은 글 정말 잘봤습니다~
호라타래
진화론적 기제까지는 잘 모르겠어요 ;ㅅ; 허세라도 스스로를 귀히 여길 필요가 있다는 데에는 동감합니다.
토끼모자를쓴펭귄
내 개인사적으로 이 글이 폐부를 콕콕 찌르는 게 있어서 차마 읽기가 힘들지만.. 많이 공감합니다..
호라타래
여유 되신다면 책 사서 꼭 읽어보셔요. 쉽게 잘 써주셨어요 ㅎㅎ
Darwin4078
좋은 글 감사합니다.
그래서 다음 섹슈얼리티 시리즈는 언제 나오ㄴ...아..아닙니다.
호라타래
오늘 나올 듯합니다 ㅋ_ㅋ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심리학과 교수님께서 자존감이 낮다는 건 자기 가치도 낮고 능력도 달리며 통제력도 거의 없는 상태라고 하셨어요. 이 상황에선 [난 존중받을 존재야]라고 생각하기가 어렵대요. 넘어진 몸을 짚고 일어설 막대기도 없는 상태같은 거라.

이런 상태에서 높이는 가장 널리 합의된 방법이 평가 영역에서 도망치기(그래도 평균점수 문과보단 점수낮은 이과가 낫지)랑 하향비교(내가 쟤보다는 낫지)라고 말씀하신 걸 보고 물음표가 구름처럼 떠다니던 때가 기억이 나요.

그거 방어기... 더 보기
좋은 글 잘 읽었습니다.

심리학과 교수님께서 자존감이 낮다는 건 자기 가치도 낮고 능력도 달리며 통제력도 거의 없는 상태라고 하셨어요. 이 상황에선 [난 존중받을 존재야]라고 생각하기가 어렵대요. 넘어진 몸을 짚고 일어설 막대기도 없는 상태같은 거라.

이런 상태에서 높이는 가장 널리 합의된 방법이 평가 영역에서 도망치기(그래도 평균점수 문과보단 점수낮은 이과가 낫지)랑 하향비교(내가 쟤보다는 낫지)라고 말씀하신 걸 보고 물음표가 구름처럼 떠다니던 때가 기억이 나요.

그거 방어기제 아닌가요? 하고 물었는데 사람들은 그렇게라도 자존감을 유지하면서 살아간다고 하셨어요. 그 후로는 인터넷에서 누구 찝어서 비교하는 걸 보면 저게 자힐이구나 하는 생각도 합니당.
1
자힐 ㅋㅋㅋ 동네 어르신이 '알 걸 다 알면 살면서 기분 나쁠 일이 적다'고 하는데 그게 생각나네요.

저는 자존감이 바닥에 떨어진 상태인 사람들에게 스스로를 탓하기 보다 주변을 일단 탓하라고 하는 경우가 왕왕 있어요. 극약처방 비스무레 하기는 한데, 귀인을 내부로 돌리면 에너지가 더 바닥으로 떨어지니까요ㅠ

본문에서 가져온 책에서 말씀하신 바를 추가로 설명하고 있기는 한데, 너무 가져오면 저작권도 그렇고 곤란해질 듯해서 일부만 끌어왔습니다 ㅎㅎ
라이너혼
자존감이 높았을 때의 장점만 생각했었고 그를 위해 노력했었는데 낮았을 때의 장점도 있다는 걸 글을 통해 알았어요! 갑자기 제 자신을 부둥부둥 해주고 싶네요..! 좋은 글 나누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호라타래님! 넘 멋져요 따봉????
호라타래
^^/ 스스로를 부둥부둥, 그리고 주변 사람들도 부둥부둥 해주세요. 랜선 너머로 부둥부둥 드립니닷
1
후안무치
잘 읽었습니다. 책도 꼭 봐야겠어요. 많은 생각이 드는 글이네요. 자존감과 관련돼 보이는 몇몇 특성만으로 타인을 정신분석 하려드는 혹자들에게 추천해주고 싶은 글입니다. 저도 돌아볼 점이 많네요. 감사합니다.
호라타래
그쵸 저도 관련 공부를 겉핥기로 하면서 사람 분석하려는 성향이 생겼는데 버리려고 노력 중이에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닷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3 의료/건강환자의 자기결정권(autonomy)은 어디까지 일까? 7 경계인 24/01/06 2507 22
1290 의료/건강70일 아가 코로나 감염기 9 Beemo 23/04/05 2793 6
1266 의료/건강엄밀한 용어의 어려움에 대한 소고 37 Mariage Frères 23/01/12 4436 29
1228 의료/건강아산병원사건 서울대 교수 실명글과 개인적인 견해 20 cummings 22/08/04 5023 23
1203 의료/건강자살에 대한 의학적 고찰 - NEJM Review를 중심으로 17 Mariage Frères 22/05/24 4152 14
1176 의료/건강오미크론 유행과 방역 '정책'에 관한 짧은 이야기 12 Ye 22/03/08 4109 26
1169 의료/건강코로나19 입원-격리자 생활지원 안내 6 dolmusa 22/02/23 3901 5
1081 의료/건강COVID-19 백신 접종 19 세상의빛 21/04/17 5399 22
1034 의료/건강심리 부검, 자살사망자의 발자취를 따라간 5년간의 기록 4 다군 20/11/28 5178 5
970 의료/건강조혈모세포 기증 후기 6 아목 20/06/14 5755 37
935 의료/건강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42 호라타래 20/03/20 8377 45
927 의료/건강세계 각국의 중국과의 인적교류 통제 상황판 (업데이트끝. 나머지는 댓글로) 8 기아트윈스 20/02/28 6154 17
926 의료/건강지금 부터 중요한 것- 코로나환자의 병상은 어떻게 배분하여야 하나 6 Zel 20/02/27 5830 43
921 의료/건강'코로나19'라는 이름이 구린 이유 29 Zel 20/02/14 7833 14
915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7208 31
894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5648 21
887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3. 치료 13 세란마구리 19/11/12 6408 18
882 의료/건강마음의 병에도 골든 타임이 있습니다. 12 김독자 19/10/31 7208 47
845 의료/건강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환자 11 Jace.WoM 19/08/15 7005 34
831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파스 고르는 팁 20 켈로그김 19/07/11 7366 21
810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20 Zel 19/05/30 7928 73
795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21 미스터주 19/04/17 14196 37
794 의료/건강마약은 무엇을 가져가는가? 헤로인 17 월화수목김사왈아 19/04/15 9552 26
793 의료/건강마약은 무엇을 가져가는가? 코카인, 히로뽕 6 월화수목김사왈아 19/04/15 9284 18
787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3 세란마구리 19/04/03 6099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