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3/01/12 02:25:03
Name   Mariage Frères
File #1   E51FFDE2_23E4_447A_9852_A62DF84CCC06.jpeg (370.8 KB), Download : 10
Subject   엄밀한 용어의 어려움에 대한 소고


{좌상단}승모근 (trapezius) {좌하단}승모판막 (mitral valve) {우}승모 (mitre)

위 그림을 보아주길 바란다. 우리 어깨에 통증을 유발하는, 항상 올라와 있는 승모근은 의학용어로는 trapezius라고 한다. 이 용어의 유래는 trapezium, 또는 trapezoid로 사다리꼴을 뜻하는 말이다 (헬라어 trapeze가 어원). 사실 승모근의 모양은 전혀 사다리꼴이 아니지만, 이를 상부승모근과 하부승모근으로 나누어서 인식했을 때 사다리꼴처럼 여겨졌던 모양이다. 그런데 승려의 모자라는 승모가 이 근육에 붙은 까닭은 무엇일까? 알려져 있기로는, 일본에서 란가쿠 번역서인 해체신서 (1774)에 이 근육의 설명을 실으면서 이루어진 의역 (또는 오역)이 그 원인이라고 한다. 그리고 실제로 가톨릭 수사의 모자 mitre를 닮은 모양의 승모판막 (mitral valve)도 존재하여, 이 승모라는 것이 도대체 무엇인지, 다양한 종류가 있어서 여기저기 붙어있는 건지, 아니면 내가 까막눈이라 승모판막과 승모근의 외양적 공통점을 찾지 못하는 것인가 하는 혼란에 빠지게 되고 만다.

어느 분야에 있어서든, 다양한 상황에서 그 상황과 대상에 적절한 용어를 선정하여 서술하는 것은 필요하다고 말할 수 있다.
독일어의 경우, 여러 다양한 상황과 조건에 맞추어 합성어를 만들어냄으로서 적절한 용어를 새로이 만들어내고, 이를 통해 하나의 현상에는 하나의 꼭 적절한 단어가 존재하도록 조정하는 것으로 들었다.
비단 독일의 예를 들 것 까지도 없이 우리 말은 어떠한가? 우리 말의 색을 표현하는 다양한 스펙트럼의 말, 의성어나 의태어들, 아무리 풀어서 설명해도 도저히 적절하게 설명해낼 수 없는 느낌에 대한 단어들은 우리를 언어의 세계에 매료되게도 하고, 동시에 혼란에 빠뜨리게도 한다.
나의 경우, 진료실에서 만나는 환자들은 그런 혼란을 가장 많이 선사해주는 존재라고 말할 수 있겠다. 가슴이 쎄하다거나, 우리하게 아프다거나, 쏙쏙쏙쏙 거린다거나 하는 말을 듣고 나면 도대체 눈 앞에 있는 사람이 나에게 정보를 제공할 마음이 있기나 한지, 혹시 퀴즈를 내기 위해 방문한 것은 아닌지 하는 착각 속에 빠지게 만드는 것이다. 그러나 그 말들은 다 그에 맞는 의미를 가지고 있기에, 나는 그 의미에 천착하여 숨은 뜻을 파헤치고 그 심정에 가까워지고자 노력할 밖에는 별 도리가 없는 것이다.

그러나 용어의 엄밀성이 지켜지지 않는 예 또한 나의 일상과 업무에 너무나도 밀접하게 위치해 있다. 이는 특히 영단어나 의학용어를 한글로 옮겨온 용어들에서 자주 발생한다. 자주 겪는 예를 살펴보자면, 항응고제라는 말이 있다. 말 그대로 응고하는 것을 방지하는, 응고과정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는 약이라고 해석할 수가 있다. 그렇다면 원래 용어는 무엇인가? 그것은 anticoagulant이다. 반대의, 길항작용을 하는 등의 뜻을 가진 접두사 anti- 와 응고를 뜻하는 coagulation의 활용형을 합친 합성어로서, 나름대로의 의미를 잘 살린 번역이라 하겠다.

그러나 비극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혈액이 응고되는 과정은 비단 coagulation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Coagulation은 응고 인자 (coagulation factor)의 연쇄 작용으로 응고 연쇄반응 (coagulation cascade)가 형성되어 fibrin이 엉겨붙는 과정을 통해 굳는 과정이다. 그러나 혈소판 (platelet)의 활성화에 따른 혈전 형성과정이 별개로 존재하며, 이는 혈소판 응집(platelet aggregation)이라는 용어를 통해 설명하고, 이를 저해하는 약물을 통칭 항혈소판제 (antiplatelet)라고 부른다. 말 그대로, 혈소판의 작용을 저해한다는 뜻이다. 이 두 과정을 포함하여, 혈액이 굳어서 혈전을 형성하는 과정을 혈전증 (thrombosis)로 명명하며 이에 저항하는 작용을 하는 약물의 통칭을 항혈전제 (antithrombotics)라고 부른다. 이것은 일종의 약속이라고 할 수 있다. 어떠한 특정 현상이나 대상을 지칭하기 위해 그 말을 정해둔 것이다. 그런데 유독 이 번역어들 사이에는 ‘그거 다 비슷한 거 아니야?’ 라는 뭉개기가 작용한다. 단순히 이를 게으르다고 얘기할 수도 있으나, 이는 신의성실의 위배임과 동시에 환자와의 소통에도 큰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는 큰 오류이다. 여기에다가 혈전용해제 (fibrinolytics)까지 더한다면 분명 혼란은 가중될 것이므로, 이 용어들의 홍수는 이 정도로 얘기하겠다. 요는, 항혈소판제를 항응고제로 [퉁쳐서] 부르는 누군가의 게으름으로 인해 다른 누군가는 혼란과 피해를 겪는다는 것이다.

이는 간혹 환자들에 대한 ‘쉬운’ 설명의 결과에서도 유발된다. 고지혈증 환자에게 피가 끈적끈적해진다고 설명하면, 끈적한 기름기 피가 혈관을 막는 이미지를 떠올리게 된다. 심부전 환자에게 당신이 숨이 찬 이유가 심장이 부어서라고 설명하면, 환자는 폐부종으로 인해 숨이 차다는 것을 알 기회를 영영 잃게될 수 있다. 운동을 해서 심장이 커지고 튼튼해졌다고 이야기를 들은 사람에게는, 심비대는 좋은 것으로 인식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설명을 하는 사람들은 자신의 처한 환경에서 자신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고 생각할 수도 있다. 의학적인 상세한 이야기를 아무리 해도 환자나 보호자들은 쉬운 이야기로 치환해서 기억하는 것을 더 선호하기 때문에, 애초부터 쉬운 말로 설명하는 전략을 선택했다고 생각해볼 수도 있겠다.

그러나 용어는 의사소통의 근간이다. 아무리 스스로가 명의라고 자부한다고 해도 환자는 여러가지 사정으로 다른 의사에게 또 진료를 받게 마련이다. 그리고 21세기는 정보가 넘쳐나고 어디서나 누구나 일정 수준의 정보를 접근할 수 있는 정보 대중화의 시대이다. 이런 세상에서 우리는 나만의 언어를 사용하며 고립되어 있기 보다는, 누구나 납득할 수 있는 용어의 선택과 그 적절한 조합을 통해 원활한 의사소통을 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3-01-23 19:2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9
  • 고민하는 이 시대의 참의사추
  • 전문가는 추천!
  • 커뮤니케이션추


의사 소통하려면 의사소통을 잘해야겠네얌
2
Mariage Frères
의사(疑辭) 소통은 곤란하죠 ㅎㅎㅎ
메존일각
아 완벽히 이해했어! (이해 못했음)
3
Mariage Frères
이해해주십시오
켈로그김
약사양반 오늘 약에 혈액순환제 들었어?
(동공지진)
2
Mariage Frères
아하 제가 혈액순환 개선제를 빼먹었군요!
글이 너무 길어질까봐...
Tr....로 시작해서 대충 3인가보다. 라고 생각했....쿨럭
Mariage Frères
수학 교수님이 꾸짖을 갈을 외치실듯…
모양도 오해하기 좋게 삼각형이잖습니까--;;
아 그러기엔 트라페조이드가 있구나-,-
1
Mariage Frères
ㅋㅋ 그러게요
등세모근이라는 말이 더 맞다는 말도 있더라구요
글 읽어 보니 옆동네서 핍진성이라는 학술 용어(?) 가지고 주고 받던거 생각나네요 개인적으로 태클 거는 사람 쪽들의 의견이 맞는거 아닌가 했었는데
네 맞네요 단어가 어떻게 쓰이는지 대충 느낌적인 느낌적으로 알고 있다가 댓글 보면서 조금 알았는데 흥미롭더라고요 다투는 지점이 ㅋㅋ
Mariage Frères
결국은 PC 싫어 징징징으로 귀결 ㅋㅋㅋㅋ
1
헬리제의우울
이 글 제목은 핍진성인데
실상 핍진성 이야기는 이해도 안되게 어렵고 엉망으로 써놓고
후반에 본색드러내서 pc까기할때는 직설 그자체
2
세상의빛
요즘은 덜 한 것 같은데 예전에 이상지질혈증을 설명할 때 피가 혼탁해져서 동맥경화(이것도 죽상경화가 정식 용어입니다. ㅠ)가 생긴다고 설명해서 스타틴계 약물을 피가 맑아지는 약으로 아시는 분들이 아직도 있죠... 그리고 그 놈의 혈액 순환 ㅠㅠ
1
Mariage Frères
혼탁한 이 세상 ㅎㅎㅎ
의학용어 보면 한자어 없애고 순수 한글용어 만들려다가 실패해서 결국 한자어와 국시에 나오는 한글용어까지 다 알아야하는 참사가 발생해서 아쉽슴니다 ㅜㅜ
1
Mariage Frères
그러게요 ㅎㅎ 배우는 사람들이 그 필요성을 크게 느끼지 못한다는 게 참 아쉬운 점입니다
아, 재밌다. 근데 올려주신 사진의 승모근과 승모는 비슷하네요? 각도를 달리하면 기울어진 사다리꼴로 보이기도 하고요? 일찌기 별자리를 보며 큰곰자리와 곰의 형태적 유사성을 찾으려고 지나치게 노력한 탓인가!
1
Mariage Frères

맞아요 비슷합니다 ㅋㅋ 영어 용어랑 관련이 없다는 것이 논지였는데 헷갈렸어요 ㅋ 애초에 승모근이라고 이름 붙인 사람은 일본식 승모를 생각하지 않았을까 하긴 한데…아니었네요 ㅋ
Mariage Frères

이건 승모판 ㅋㅋ
오오. 이해쏙쏙! 다채로운 승모근의 세계(x) 다채로운 승모의 세계(O)
토오끼코오끼리

소고는 아주 훌륭한 악기입니다.
2
Mariage Frères
후두루루룹 두둥짝
레카미에
다리가 드근드근 저린다고 했을 때 의사 선생님께서 ????? 표정으로 저를 보시던…
1
Mariage Frères
이게 자기가 느끼는 대로 말할 수 밖에 없다는 건 알지만 그래도 한두번이라도 들어본 말로 나오지 않으면…저희가 이제 그 칼라로 이어져있지 않아갖고…
Darwin4078
척추협심증, 족저결막염, 족저건망증, 근막족저증... 제가 들어본 케이스는 여기까지만 하겠읍니다.
1
Mariage Frères
오 노…!
근데 그렇게 확 틀리는 건 웃고 넘어갑니다 ㅋ
여우아빠
"요는, 항혈소판제를 항응고제로 퉁쳐서 부르는 누군가의 게으름으로 인해 다른 누군가는 혼란과 피해를 겪는다는 것이다." 에 동감되는게 많네요. 응급실로 온 환자 중에 수술이 필요해서 어레인지 해야 하는데, 피 묽게 해주는 약을 먹었다고 해서, 무슨 약인지 확인하려고 했는데 본인도 무슨 약을 왜 먹는지 기억을 못하는 분이 있었어요. 결국 알고보니 뇌졸중 걱정된다고 은행엽 액기스를 먹는게 전부였던... ㅎㅎ 현실적으로 꽤 제한된 시간 안에 설명을 해야 하는데, 정보전달을 어떻게 어디까지 하느냐는 참 고민되는 문제네요 항상. 글 잘 읽었습니다 :D
1
Mariage Frères
감사합니다 ㅎㅎ 간단하게 하는 것이 좋으냐 자세하게 하는 것이 좋으냐 하는 데 있어서, 단순히 1:1의 정보 전달 뿐 아니라 다양한 관계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에서 말의 의미가 희석되지 않고 연속적으로 전달될 수 있는가? 라는 본질적인 의문은 있습니다. 다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말이라는 수단을 포기할 수는 없겠네요 ㅎㅎ
천하대장군(전문가)
선생님 취미로 농약계에도한번 발을 담가보시는게 어떨까요..
근사미(상품명칭) = 제초제 , 고로 제초제 = 근사미 원 툴인지라 힘드읍니다
1
Mariage Frères
앗…
뭔가 제가 실제로 체감을 해봐야 알 것 같읍니다
퓨질리어
제가 문과 출신 똥멍충이라 쓸데 없는 넋두리라는 전제로요...

개인적으로 이물질 흡입(入)과 이물질 흡인(引)을 왜 흡인(aspiration, suction)으로 퉁칠까라는 궁금증을 안고 있어요.
물론 몸 밖으로 빨아당기는 것이나, 몸 안으로 빨아당겨지는 것이나 같은 흡인이라 쓸 수 있기도 하겠지만,
치료적 행위와 병리적 원인이 같은 용어로 혼용되니 뭔가 느낌적인 느낌으로 괴이하더라구요.
문돌이라 혼자 불-편한 것일 수도 있구요...
Mariage Frères
이물질을 흡입해서 기도 흡인 된 것을 이물질 흡인을 통해 끄집어 낸다...라고 문장을 구성하면, 말은 맞긴 한데 이게 뭘 의미하는 지 잘 모르게되는 문장이 되긴 하네요. 흡입과 흡인 어느 쪽이든, 앞에 오는 명사를 중심으로 설명하는 단어이긴 하니 이 점에 주안점을 두고 생각해보아야 할 문제입니다. 다만 이는 상황을 하나의 명사구로 축약해서 발생하는 어려움으로 보이는데요, 풀어서 설명하는 문장으로 고쳐서 적어보면 이렇게 되지 않을까요? '이물질을 구강 또는 비강으로 흡입하여 이 이물질이 기도로 흡인되면서 기도 폐색이 발생하였고, 이 이물질을 흡인기로 흡인하는 처치를 하였다.'
1
퓨질리어
사실 문장의 앞뒤 문맥이나 뉘앙스로 별 불편 없이 구별이 가능하긴 해요.

그냥 [기도 흡인]이라는 단어 하나 달랑 보면 이게 aspiration되서 lung infection의 우려가 있는 상태인지, 아니면 aspiration된 상태를 해결하게 위해 tracheal suction을 하는 건지, 문돌이 입장에서는 묘하게 거슬리더라구요.

좋은 글에 뻘 댓글을 단 것 같아 민망하네요. 헤헤
Mariage Frères
ㅎㅎ 우리 나라가 단어 조합으로 구의 형태로 의미를 축약하는데 익숙지 않은 탓 아닐까 싶은 생각이 듭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3 의료/건강환자의 자기결정권(autonomy)은 어디까지 일까? 7 경계인 24/01/06 2507 22
1290 의료/건강70일 아가 코로나 감염기 9 Beemo 23/04/05 2793 6
1266 의료/건강엄밀한 용어의 어려움에 대한 소고 37 Mariage Frères 23/01/12 4435 29
1228 의료/건강아산병원사건 서울대 교수 실명글과 개인적인 견해 20 cummings 22/08/04 5022 23
1203 의료/건강자살에 대한 의학적 고찰 - NEJM Review를 중심으로 17 Mariage Frères 22/05/24 4152 14
1176 의료/건강오미크론 유행과 방역 '정책'에 관한 짧은 이야기 12 Ye 22/03/08 4108 26
1169 의료/건강코로나19 입원-격리자 생활지원 안내 6 dolmusa 22/02/23 3901 5
1081 의료/건강COVID-19 백신 접종 19 세상의빛 21/04/17 5399 22
1034 의료/건강심리 부검, 자살사망자의 발자취를 따라간 5년간의 기록 4 다군 20/11/28 5178 5
970 의료/건강조혈모세포 기증 후기 6 아목 20/06/14 5755 37
935 의료/건강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42 호라타래 20/03/20 8377 45
927 의료/건강세계 각국의 중국과의 인적교류 통제 상황판 (업데이트끝. 나머지는 댓글로) 8 기아트윈스 20/02/28 6154 17
926 의료/건강지금 부터 중요한 것- 코로나환자의 병상은 어떻게 배분하여야 하나 6 Zel 20/02/27 5830 43
921 의료/건강'코로나19'라는 이름이 구린 이유 29 Zel 20/02/14 7833 14
915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7208 31
894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5648 21
887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3. 치료 13 세란마구리 19/11/12 6408 18
882 의료/건강마음의 병에도 골든 타임이 있습니다. 12 김독자 19/10/31 7207 47
845 의료/건강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환자 11 Jace.WoM 19/08/15 7004 34
831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파스 고르는 팁 20 켈로그김 19/07/11 7365 21
810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20 Zel 19/05/30 7928 73
795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21 미스터주 19/04/17 14195 37
794 의료/건강마약은 무엇을 가져가는가? 헤로인 17 월화수목김사왈아 19/04/15 9552 26
793 의료/건강마약은 무엇을 가져가는가? 코카인, 히로뽕 6 월화수목김사왈아 19/04/15 9284 18
787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3 세란마구리 19/04/03 6099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