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21/04/17 12:52:30
Name   세상의빛
Subject   COVID-19 백신 접종
제가 근무하는 병원에 COVID-19 직원 백신 접종을 준비하라고 연락이 온 것이 올해 초입니다. 저는 감염내과 전공은 아닙니다만 감염내과 선생님이 실제 COVID-19 환자들을 케어하느라 예방접종 업무를 주관하기 힘들다고 하셔서 제가 그 일을 맡게 되었습니다.ㅜㅜ 2월부터 준비를 시작하여 3월 중순에 실제 접종을 시작하였고 그리고 지난 주말 직원 접종을 마쳤습니다. 그리고 가까운 시일 내에 시민 분들께 실시할 예방 접종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직원 접종을 준비하고 실시하며 겪었던 일들을 몇 자 적어볼까 합니다.

1. 어떤 회사 백신이 들어온대?
병원에 근무하는 사람들도 관심사는 비슷합니다. 아스트라제네카냐 Pfizer냐 접종이 끝난 지금은 두 놈이 거기서 거기다라는 공감대가 생겼지만 처음에는 어떤 회사의 백신이 들어올지 알 수 없었기에 많은 직원들이 Pfizer의 백신이 들어오길 바랬습니다. 먼저 접종을 시작한 병원에서 아스트라제네카로 접종을 받은 분들이 발열, 심한 근육통 등을 호소한 것을 보고 들어서인지 Pfizer가 더 낫지 않을까? 하는 순진한 생각을 했죠.

2. 접종 일정
결국 두 회사 모두 들어오는 것으로 되었고 환자와 접촉율이 높은 직종은 Pfizer, 낮은 직종은 아스트라제네카로 맞으라는 지침도 같이 하달이 되었습니다. 그 때까지 나온 데이터로는 두 회사 백신이 효과나 부작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웠기에 걍 랜덤하게 배정해도 상관없다는 생각으로 건의했으나... ㅠㅠ 괜히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을 맞게된 직원들이 불안감이나 불만을 가질까 걱정이 들더군요.

3. 강렬한 선빵의 AZ, 후속타가 매운 Pfizer
두 회사 모두 2회 접종을 합니다. 일반적인 백신들과는 다르게 COVID-19 백신은 접종 후 불편함이 큰 편이기에 접종 후 발열이나 근육통에 대처하기 위해 타이레놀 4T를 같이 주기로 결정했습니다. 먼저 접종을 실시했던 타 병원과 얼마나 유사한 결과가 나올지 궁금하긴 했습니다. 아스트라제네카는 1차 접종 실시 후 결근율 30% 정도 나왔습니다. 발열, 근육통이 주된 부작용이었고 다행이 아나필락시스나, 중증 두드러기 등 심한 백신 접종 후 부작용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문제는 발열과 근육통이 심했다는 거지요. 체온이 보통 38도 이상... 심했던 분들은 39도 이상도 상승하였습니다. 근육통은 팔이 올라가지 않으면 진료를 보러오라고 했었는데 팔이 올라가지 않을 정도로 심한 근육통을 호소하신 분들도 꽤 있었습니다. 일부는 연조직염이 생겨서 항생제 치료를 했던 분들도 있었죠. Pfizer 접종의 경우는 1차는 스무스했습니다. 한 분이 접종 후 혈압이 상승하는 부작용이  있어서 입원까지 했던 것을 제외하면요. 2차 때는 결근율이 30% 정도 되었습니다. 당장 저부터 결근... 접종 후 2일간 심한 발열로 고생했습니다. 39.2도까지 체온이 오르긴했는데 몇 시간 지나면 좋아진다는 것을 알고 있어도 힘들긴 하더군요. 동료 의사는 근육통이 매우 심했었는데 대상포진 걸렸을 때보다 더 아프다고 했습니다. 지금이 판데믹 상황이라 이 백신 접종이 이루어지는 것이지 만약 인플루엔자 접종 후 이런 반응이라면 맞을 사람이 많이 줄겠구나 싶었습니다.

4. 신기술의 체험.
의약품 중 백신은 가장 보수적(?)입니다.  환자가 아닌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임상시험기간도 길고 부작용에 대해서도 엄격한 편입니다. 하지만 COVID-19 판데믹 상황에서는 기존의 방법대로 할 수가 없었죠. 백신을 개발하는 기술도 백신을 평가하는 임상시험도 백신의 부작용을 평가하는 방법도 새로운 것들이 많이 도입되었습니다.  접종 후 이상반응도 기존의 백신과는 전혀 다르다는 것도 몸으로 느꼈... 흑흑

5. 향후 할일들
접종 후 이상반응이 다양하지만, 백신의 효능은 의심할 여지가 없습니다. 저는 접종 전후로 항체 검사를 실시했는데 1차 접종 후 10일 뒤에 검사를 받으니 항체 양성 판정을 받았습니다. 물론 항체 양성이 되었다고 해서 100% 감염을 예방할 수는 없지만, 현재 지지부진한 접종률을 더 빨리 끌어올려야 합니다. 백신의 확보를 적극적으로 더 많이 해야하고 접종을 실시할 수 있는 의료기관을 더 늘려야 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정부를 질책하기도 했지만 응원도 강하게 하고 있습니다. 부디 많은 분들이 접종을 받으셔서 코로나 바이러스에게 가운데 손가락을 들 수 있는 날이 빨리 왔으면 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21-04-26 17:46)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2
  • 누구나 궁금한 내용. 깔끔한 내용. 유려한 필력
  • 백신 접종 후기를 들려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게시판에 등록된 세상의빛님의 최근 게시물


아침커피
저도 화이자 맞았는데 1차때도 38.5도까지 열이 오르고 2차때는 죽다 살아났습니다 =_= 타이레놀 먹어도 열이 잘 안 내리더라고요. 1차, 2차 모두 몸상태 괜찮아지는 데 까지 48시간 정도 걸렸어요. 백신 맞아도 이런데 코로나 실제로 걸리면 얼마나 아플까 하고 생각을 해 보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세상의빛
저랑 비슷한 경과를 보이셨군요. 일단 39도만 안 넘으면 지켜보는 것이 질본의 이상반응 대응지침이라서 그대로 했는데 저도 무척 힘들었습니다.
떡라면
접종 후 결근을 할 수가 있다니!
훌륭한 곳입니다.
3
세상의빛
선생님...
jnote0504
선생님! 좋은 후기 남겨주셔서 감사합니다 ㅎ 저희는 AZ 단독으로 1차 마무리했고 곧 2차 진행 하려고 합니다 ㅎ 그래서 그런데.. 혈전증에 대해서 걱정인 분들이 많은데 혹시 국소 부작용 외 다른 상황 발생시 대처 방안에 대해서는 어떻게 정하셨는지 궁금합니당 ㅎ 예를 들면 접종 이후 두통, 어지러움증이 있으면 어떻게 하셨는지 등등이용~
세상의빛
네 선생님 저희도 아직 뇌정맥동 혈전증에 대한 문의는 많은데 아직 대처 프로토콜이 만들어지지는 않았습니다. 접종 후 일주에서 이주까지 관찰을 하며 두통이나 어지러움이 악화되는지 살피고 있습니다 초기 두통을 호소하셨던 분들은 대개이주 이상 지속되는 경우는 적었습니다. 신경학적 이상소견 이 있었던 분도 없었고, MR 등 검사를 진행한 경우도 없었습니다. 다행이도...
jnote0504
네 그렇군요 자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방사능홍차
AZ 맞은지 5일째인데 아직도 주사 맞은 자리 손으로 꾹꾹하면 아픕니다.. 이젠 통증은 없으나 뭔가 몸이 축늘어지는 것 같가도 하구요.

저는 병가내도 된다고 공문이 내려왔었는데, 저 빼면 다른 사람이 대신 일을 하게 되어서 그냥 맞고 조퇴 안내고 쭉 버텼습니다. 그래서 금요일이랑 오늘 몸이 축 늘어지는건가...
세상의빛
통증만 있으면 결국 좋아지긴 할 겁니다. 힘드시겠지만 조금만 더 기운내십시오. 만약 주사 부위의 통증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열감 및 발적이 있으면 꼭 감염 전문의 진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
어제 AZ 맞았는데... 맞고 조금 뒤 맞은 팔의 근육통이 시작되었습니다. 몇 시간 뒤 몸이 으슬으슬 추워지더군요.
올게 왔구나 싶어서 타이레놀 한갑/파워에이드 세통/왕소금을 두고 잤습니다: 먹거나 쓰진 않고 두기만 했습니다.
그런데 일어나니 팔이 조금 아픈 것 말고는 멀쩡합니다.

결론: 타이레놀/파워에이드/왕소금을 곁에 두고 자면 괜찮습니다.

웃자고 한 소리고, 들쭉날쭉 한 것 같습니다.
- 정년퇴임 2년 남긴 저희 과장님은 아무렇지 않습니다.
- 칸막이 건너에서 일하는 40대 후반 아저씨 하나는 근육통 말고... 더 보기
어제 AZ 맞았는데... 맞고 조금 뒤 맞은 팔의 근육통이 시작되었습니다. 몇 시간 뒤 몸이 으슬으슬 추워지더군요.
올게 왔구나 싶어서 타이레놀 한갑/파워에이드 세통/왕소금을 두고 잤습니다: 먹거나 쓰진 않고 두기만 했습니다.
그런데 일어나니 팔이 조금 아픈 것 말고는 멀쩡합니다.

결론: 타이레놀/파워에이드/왕소금을 곁에 두고 자면 괜찮습니다.

웃자고 한 소리고, 들쭉날쭉 한 것 같습니다.
- 정년퇴임 2년 남긴 저희 과장님은 아무렇지 않습니다.
- 칸막이 건너에서 일하는 40대 후반 아저씨 하나는 근육통 말고는 없고, 30대 후반 아저씨도 몸살기운 조금 있다가 말았습니다.
- 50대 초반 아저씨 하나는 처음에 괜찮다가 밤에 죽다살아났답니다.
3
빨리 백신맞고싶네요
세상의빛
빨리 맞으실 그 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화이자 2차는 정말 장난이 아닙니다.....
어 근데 항체 검사는 왜 하셨읍니까?
세상의빛
연구 목적으로 했습니다
Aㅏ........
켈로그김
이제 곧 예약해야 하는데
대신 근무해줄 사람이 없읍니다.

...그냥 조제실에 라꾸라꾸 깔고 누워야하나 ㅠ0ㅠ
세상의빛
선생님을 대체할 약사님이 없을 것 같습니다. 조심스럽게 말씀드리자면 접종 후 많이 힘드시다면 2일 정도 휴업을 고민하시는 것도...
지지지지
https://n.news.naver.com/article/119/0002485685
[단독] 40대 여성 간호조무사, 아스트라제네카 접종 후 사지 마비

과연 백신 이거 믿을만 한건지 모르겠습니다..
아스트레제네카는 물론이고 상대적으로 낫다고들 하는 다른회사것도 다 못믿겠네요.
1
cummings
백신을 못믿겠다는게 백신 자체의 효과를 못믿겠다는게 아니라 백신 부작용에 대한 우려를 말씀하시는것이겠죠?

모든 의학적 처치는 "risk < benefit" 하에서 이루어지는거라...

"백신부작용 < 코로나감염으로 인한 위험" 인 현실에서는 어느정도 감수할수밖에 없는 부분입니다ㅠㅠ
(코로나 환자가 제로인 상황이라면 백신 맞을 필요가 없겠죠.)

ps : 사실 백신이라는게 나 빼고 모두가 다 맞으면 제일 이득인 괴랄한 문제라 -_-a
어느정도 사회에서 암묵적인 압박을 줄 수 밖에 없고, 개개인의 이득을 위해서도 모두가 맞는것이 낫습니다.
1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53 의료/건강환자의 자기결정권(autonomy)은 어디까지 일까? 7 경계인 24/01/06 2507 22
1290 의료/건강70일 아가 코로나 감염기 9 Beemo 23/04/05 2794 6
1266 의료/건강엄밀한 용어의 어려움에 대한 소고 37 Mariage Frères 23/01/12 4436 29
1228 의료/건강아산병원사건 서울대 교수 실명글과 개인적인 견해 20 cummings 22/08/04 5024 23
1203 의료/건강자살에 대한 의학적 고찰 - NEJM Review를 중심으로 17 Mariage Frères 22/05/24 4152 14
1176 의료/건강오미크론 유행과 방역 '정책'에 관한 짧은 이야기 12 Ye 22/03/08 4109 26
1169 의료/건강코로나19 입원-격리자 생활지원 안내 6 dolmusa 22/02/23 3902 5
1081 의료/건강COVID-19 백신 접종 19 세상의빛 21/04/17 5399 22
1034 의료/건강심리 부검, 자살사망자의 발자취를 따라간 5년간의 기록 4 다군 20/11/28 5178 5
970 의료/건강조혈모세포 기증 후기 6 아목 20/06/14 5756 37
935 의료/건강자존감은 꼭 높아야 하나요? 42 호라타래 20/03/20 8378 45
927 의료/건강세계 각국의 중국과의 인적교류 통제 상황판 (업데이트끝. 나머지는 댓글로) 8 기아트윈스 20/02/28 6154 17
926 의료/건강지금 부터 중요한 것- 코로나환자의 병상은 어떻게 배분하여야 하나 6 Zel 20/02/27 5831 43
921 의료/건강'코로나19'라는 이름이 구린 이유 29 Zel 20/02/14 7834 14
915 의료/건강BBC의 코로나바이러스 Q&A 14 Zel 20/01/27 7208 31
894 의료/건강꽃보다 의사, 존스홉킨스의 F4(Founding Four Physicians) 11 OSDRYD 19/12/06 5648 21
887 의료/건강의사는 어떻게 사고하는가 - 3. 치료 13 세란마구리 19/11/12 6408 18
882 의료/건강마음의 병에도 골든 타임이 있습니다. 12 김독자 19/10/31 7208 47
845 의료/건강세상에서 가장 이기적인 환자 11 Jace.WoM 19/08/15 7005 34
831 의료/건강문득 생각난 파스 고르는 팁 20 켈로그김 19/07/11 7366 21
810 의료/건강저희는 언제 새로운 시작을 할 수 있을까요.. 20 Zel 19/05/30 7928 73
795 의료/건강오늘 받은 정관수술 후기 21 미스터주 19/04/17 14197 37
794 의료/건강마약은 무엇을 가져가는가? 헤로인 17 월화수목김사왈아 19/04/15 9554 26
793 의료/건강마약은 무엇을 가져가는가? 코카인, 히로뽕 6 월화수목김사왈아 19/04/15 9284 18
787 의료/건강어떻게 의사는 사고하는가 - 2. 진단=사후확률Up & 진단의 두 축 3 세란마구리 19/04/03 6099 1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