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6/18 01:28:18수정됨
Name   다시갑시다
Subject   과학적 연구의 동기부여는 시대를 어떻게 대변하는가?
요즘 좀 말이 많기는 하다만,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함유량이 큰 문제라는 것은 현대에는 꽤 널리 퍼진 상식입니다.
그렇기에 이 이산화탄소를 효율적으로 대기에서 빼내어서 저장하거나 사용하는 기술에 대한 관심도가 상당히 높죠.

이산화탄소의 변형은 과학적으로도 아주 흥미로운 문제입니다.
이산화탄소는 안정적인 기체거든요.
현재 상태에 굉장히 만족하기 때문에, 에너지(=돈)을 많이 쓰지 않으면 다른 형태로 변형시키기가 어렵습니다.
과학자들의 흥미를 달구기에 아주 적당한 문제죠.

이산화탄소를 변형 시키는데에는 여러가지 방법이 사용될수있습니다만,
제 전문분야가 전기화학이니 전기화학적 접근법만 고려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변형에 관한 제가 찾은 첫번째 논문은 오레곤 대학의 Truman Teeter과 Pierre Van Rysselberghe가 Journal of Chemical Physics에 기재한 논문입니다. 제목은: 이산화탄소를 수은을 사용해 변형시켰다는 얘기죠.

첫번째 문단과 두번째 문단을 살펴보겠습니다:
Several years ago one of us described a polarographic wave due to CO2 dissolved in aqueous solutions of...  However, several authors have presented arguments ... on the basis of the a priori assumptions that CO2 would not be electrochemically reducible.

In order to settle the matter, the problem of reduction of CO2 on mercury cathodes was...

간단히 정리를하자면
[몇년전에 (확인결과 1944, 1946년), 내가 실험을 해봤더니 이산화탄소로 전기가 만들수있다는거 발견함. 근데 몇몇 사람들이 날 믿지 않더라구. 이산화탄소는 전기화학적으로 바꾸기 너무 힘든거라고. 그래서 내가 반박불가 실험함, 자 보셈.]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변형의 첫 증명 논문에는 대기중의 이산화탄소, 지구온난화 같은 이야기는 1도 없이 그저 순수히 과학적인 탐구만의 동기입니다. 지금의 기준으로 생각해보면 꽤나 쇼킹할수있지만, 조금만 생각해보면 당연합니다. 지구온난화와 대기중의 이산화탄소의 문제와 인과관계는 70년대는 되서야 과학적으로 확인되기 시작했거든요. 40/50년대에는 고로 이산화탄소의 변형은 그저 흥미로운 과학적 실험이였을뿐입니다.

이산화탄소의 전기화학적 변형은 사실 힘든 실험이기에 (안되는거라 믿었던 이유가 다 이씀요), 꾸준히 연구는 되어왔지만 그렇게 큰관심을 불러 일으키지는 못했습니다. 이제 슬슬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문제가 퍼지기 시작했던 1980년대에도 논문에서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실험과 지구온난화를 연결시키지 않아요.

1981년 Amatore와 Saveant의 Journal of American Chemistry 논문 (Mechanism and Kinetic Characteristics of the Electrochemical Reduction of of CO2 in Media of Low Proton Availability), 또 1985년 Hori, Kikuchi, Suzuki의 이산화탄소의 변형에 구리가 특별히 적합하다는 최초의 논문 (The Chemical Society of Japan 기재)의 서론을 보아도 별말이 없습니다.

Hori는 그저 이거 다른 여러 금속에서 발견되었는데, 그 실험들에서 고려하지 않은 것들이 있음. 정도로 그저 과학적 동기부여만을 설명하고
Amatore는 그나마 이산화탄소는 싸고 풍부한 탄소원이 될 가능성이 있음, 정도의 이야기만을 합니다.


자 그러면 타임머신을 다시 또 돌려서 2010년대 초반으로 와보겠습니다.
2010년 Devin Whipple과 Paul Kenis가 Journal of Physical Chemistry Letters에 기재한 리뷰 의 첫부분입니다

"Significant reductions in carbon dioxide (CO2) emissions and the development of nonfossil fuel energy sources are critical to minimize the effects of CO2 as a greenhouse gas in the atmosphere and reduce our dependence on imported nonrenewable energy sources, most notably crude oil. Studies by the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 (IPCC) show that to stabilize the atmospheric concentration of CO2 at 350−400 ppm and limit the global mean temperature increase to 2.0−2.4 °C, global CO2 emissions in 2050 would have to be reduced by 50−80% of the emission levels in the year 2000."

요약하자면: [님들아 지구 온난화 엄청 심각함, 대기중 이산화탄소 양을 조절해야해. 전기화학으로 이거 할수있다면 꼭 해야함.] 정도가 되겠습니다.

전기화학적으로 보았을때, 이산화탄소의 변형법에 1980년에서 2010년 사이에 어마어마한 발전이 있었던건 아닙니다.
그만큼 쉽지 않은 화학반응이거든요.

하지만 과학자들이 사는 사회가 변하였고, 그에 맞추어 연구의 목적과 중요도도 자연스럽게 변하기 시작한것이죠.
1980년과 2010년 사이, 적어도 과학계에서 대기중 이산화탄소 함유량과 지구온난화/기후변화의 문제는 반박불가의 크디큰 난제가 된것이죠.

실제로 지구의 기후변화는 큰 문제이고, 여기에 집중하는 것은 올바른 방향입니다만 부작용이 전혀 없는 변화는 아닙니다.
현실적으로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변형은 갈길이 어마어마하게 멀고, 일각에서는 이상적인 시스템이 개발된다해도 근원적으로 이 접근법에는 한계가 분명하기에 대기중 이산화탄소의 함유량을 유의미하게 줄이는데 기여도가 매우매우 낮을것이라는 비판이 동시에 나왔습니다.

"이산화탄소를 전기화학적으로 변형 시키면 당연히 대기중 이상화탄소 줄이는건 맞는데, 솔직히 말해서 조건 다 맞춰도 쥐꼬리의 때만큼 바꿀수있으면서 이거 기후변화 문제의 근원적 해결책인것 처럼 광고하는거 너무 양심 없는거 아니냐?"라는 비판이였죠.

예찬론자들에겐 언제나 "기술의 발전이란 언제나 우리의 예측과 상상을 뛰어 넘는다"라는 전가보도의 실드가 있기는 하지만, 아예 무시할수는 없는 비판이기는 합니다.

그런데 이 패러다임이 지난 5년여간 다시한번 바뀝니다.
왜냐구요? 바깥 세상이 또 바뀌었거든요.
그리고 그 중요원인은 연구실 내부보다는 세계 에너지 대전의 영향이 큽니다.

https://www.latimes.com/business/la-fi-solar-batteries-renewable-energy-california-20190605-story.html
2017년 즈음부터 시작해서 자주 볼수있는 기사입니다.
캘리포니아가 태양광/풍력 에너지 발전이 너무 많아서 전기를 사용자들에게 사실상 돈 주고 퍼주고있다는 내용이죠.

캘리포니아와 같이 자연조건이 받춰주고, 공격적인 투자를 시행한곳에서는 태양광 에너지의 가격이 이제 사실상 화석연료 전기와 비빌만하여 양이 점점 늘어나고있는데 저장이 힘들다는 태양광 에너지의 특성상 낭비되는 전력이 점점 늘어나고있는거죠.

태양광 전기의 가격하락에는 여러가지 요인이있습니다
효율성을 늘리는 기술적 발전도 있고, 정부/지자체 단위에서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적극적으로 도와주는 것도 있지만
중국을 필두로한 반도체 업체의 치킨게임 때문에 태양광 패널의 가격이 수직하락하고있다는 것 또한 무시할수가 없습니다
이 마지막 요인은 사실상 이걸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뭐 영향력을 행사할수있는 부분이 전혀 아니죠.

하지만 어쨋든간에 세상은 변하였고, 이 변화에 반응하여 민감한 과학자들은 다시한번 동기부여를 조금 수정합니다.
이 변화는 사실상 뉘앙스의 변화이고 학계에서도 아직까지 전체적으로 퍼진것은 아닙니다.
그렇기에 논문에 직접적으로 쓰는것은 찾기 힘들지만, 학회장에서 특정 연구자들의 발표를 보면 이산화탄소 변형 연구의 동기부여 부분의 변화가있습니다.

아직도 모두가 가장 먼저 언급하는 것은 지구 온난화, 기후변화, 이산화탄소 함유량 등등의 흔한 레퍼토리입니다.
그런데 간혹 말을 조금 더 더하는 연구자들이 존재합니다.

이 사람들의 주장을 잘 들어보면...
"우리는 현재 깨끗한 전기가 절대적으로 부족했던 시대에서, 깨끗한 전기의 공급과다를 신경 써야하는 시대로의 변환점에 서있습니다. 이는 초과공급되는 이 깨끗한 전기의 새로운 활용법과 저장법의 개발이 필요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런 의미에서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변형은 매력적인 후보입니다."

끝에 이렇게 더하는 이 말은, 2000년대 초반에 받았던 비판에 대한 반응입니다.
"어차피 별로 효용성도 없는거 전기/에너지(=돈) 낭비하지마!"라는 비판에 대해서
["아니 우리 이제 전기가 남아돌기 시작하는데, 좀 비효율적이라도 버리지 말고 여기에 쓰면 누이 좋고 매부 좋고 아니겠어? 아직 상용화는 못해도 연구할 가치는 충분하자나"]라 답하는거죠.

그리고 이 변화를 모두가 체화하지는 못했어도, 충분한 숫자의 오피니언 리더들이 인지하고있기 때문에 현재 제 전공분야에서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변형 연구는 다시한번 호황기를 누리고있습니다.


1950년대부터 2020년이 다가오는 현재까지 이산화탄소 변형 기술에 유의미한 발전이 없었던것은 아닙니다.
80년대에 구리의 사용법 발견은 굉장히 중요한 발견이였고,
지난 5년여간 구리의 활용법과 이 기술을 평가할 유의미한 기준이 무엇인가 등 매우 중추적인 연구들이 진행되었으니까요.

하지만 이 연구주제의 발전 과정은 단순히 연구원들과 우리의 과학적 사고 능력의 향상만이 이끌어 온것은 아닙니다.
연구실 바깥에서는 더 크고 강한 자원들은 언제나 움직이고있으며, 그들의 흐름이 연구실을 집어 삼키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는거죠.
바람직한 선순환이라면 이 흐름을 잘 탄 연구결과들은 또 다시 연구실 바깥의 힘들이 어떤 방향으로 움직여야할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일겁니다.
물론 세상의 일이란게 그렇게 단순하게 1차원적인것 같지는 않아 보입니다.

전기화학계에서 이산화탄소 코인에 존버했던 사람들은 지금 전성기를 맞이하고있지만
이 흐름이 언제까지 계속 될지는 아무도 모른다는 것이죠
이번 싸이클에 진짜 유의미한 발전이 이루어져서 이게 다음 50년을 정의할 주류기술이 될수도있고
아니면 다음 싸이클이 올때 더 큰 도움이 되기 위한 점진적 발전의 시기일수도있습니다

비단 과학적 연구에만 적용되는 현상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우리 같은 개미들은 이 거대한 흐름을 타기는 커녕 떠있을라고 발버둥 치느라 바쁜게 현실이지만
그래도 이 파도가 어느 방향으로 왜 치는지 정도는 알아야 개헤엄 치는데 조금이라도 의욕이 생기더라구요
오늘도 거대한 파도 속에서 발버둥 치는 우리 모두를 위하며 글을 끝맞춥니다, 감사합니다.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7-01 14:19)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37
  • 잘 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 재미있게 잘 보았습니다.
  • 너무 빠른 변화와 흥망성쇠에 따라잡기가 너무 힘들때가 있는데, 그럴때 저는 그냥 다 내려놓고 마음 편히 있고 싶다는 생각이 듭니다.
  • 과학적 연구에 대한 설명도, 그 과학적 연구가 사회에 영향을 어떻게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설명도 간결하고 이해 가기가 쉬우며, 재미있었습니다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재밌게 읽었습니다.
다시갑시다
길고 이미지도 없는 글 재밌게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호라타래
잘 읽었습니다 ㅎㅎㅎ
1
저도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연구를 하고 있어서 반갑네요 ㅎㅎ 연구 주제 트렌드가 10년 주기로 돈다고 보고, 개인적으로는 연구 주제의 성숙기에 다다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기초 연구는 2010년 초반부터 빠르게 진행되어왔고, 지금은 소재하는 사람들이 너도나도 활성 확인하는 수준까지 도달했으니깐요.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이후에는 온실가스 저감을 주로 얘기하기는 힘들거고, 수소나 암모니아처럼 잉여 전기에너지원을 화학에너지 형태의 저장체로써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 더 보기
저도 전기화학적 이산화탄소 전환 연구를 하고 있어서 반갑네요 ㅎㅎ 연구 주제 트렌드가 10년 주기로 돈다고 보고, 개인적으로는 연구 주제의 성숙기에 다다르지 않았나 생각합니다. 대부분의 기초 연구는 2010년 초반부터 빠르게 진행되어왔고, 지금은 소재하는 사람들이 너도나도 활성 확인하는 수준까지 도달했으니깐요.

다만 말씀하신 것처럼 이후에는 온실가스 저감을 주로 얘기하기는 힘들거고, 수소나 암모니아처럼 잉여 전기에너지원을 화학에너지 형태의 저장체로써 활용할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적어도 [귀한 전기에너지 가지고 애먼데 쓰냐]는 비판은 어느정도 피할 수 있어졌으니깐요. 근 10년 이내에 이 트렌드가 지나가지 않을까 생각했는데, 다행히 어느정도는 꾸준히 연구가 이어질 것 같아서 반갑습니다.

괜히 아는 주제 나와서 주절주절 얘기했네요. 저도 다시갑시다님도 연구뽕 잘 맞으면서 지치지 말고 오래 연구했으면 좋겠습니다.
2
다시갑시다
어떻게 이렇게 고기를 많이 구우시나 했더니 그 이산화탄소 다 연구를 위해 쓰시는거였군요!
응원 감사합니다.
오래오래 맛있는거 드시면서 연구하시길 바랍니다 ㅎㅎ
제가 주워들은 바에 의하면 캘리포니아에서 제시되는 남는 주간 전력량 활용 방안 중 하나가 배터리에 저장이라고 들었읍니다...
저기 쓸 줄은 몰랐네요 ㅎ
다시갑시다
네 맞아요, 근데 이건 현재 에너지 저장법중에 그나마 상용화 이야기가 가능한 수준인 기술은 배터리를 빼고는 딱히 언급할만한게 없어서 그런게 가장 큽니다.

학계에서의 정론은 그리드 수준의 잉여전력 저장에는 현재 제대로된 해결책이 없다입니다.
현재 대형 생산 가능하고 안전성이 검증된게 배터리니까 그거 위주로 단기적인 정책을 짜고는있지만요.

그 다음 주자가 위에 양양꼬치님이 언급하신 수소로의 전력저장이 있습니다만...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저장법은 아직 상용화 되려면 굉장히 멀었습니다.
지금으로서는 거의 순수하게 학계... 더 보기
네 맞아요, 근데 이건 현재 에너지 저장법중에 그나마 상용화 이야기가 가능한 수준인 기술은 배터리를 빼고는 딱히 언급할만한게 없어서 그런게 가장 큽니다.

학계에서의 정론은 그리드 수준의 잉여전력 저장에는 현재 제대로된 해결책이 없다입니다.
현재 대형 생산 가능하고 안전성이 검증된게 배터리니까 그거 위주로 단기적인 정책을 짜고는있지만요.

그 다음 주자가 위에 양양꼬치님이 언급하신 수소로의 전력저장이 있습니다만...

이산화탄소를 사용하는 저장법은 아직 상용화 되려면 굉장히 멀었습니다.
지금으로서는 거의 순수하게 학계/연구계의 관심이라고 생각하셔도 무난하다고 생각합니다.

행여나 자본이 많으신분들은 그리드 스케일 에너지 저장법 해결책에 투자하는게 장기적으로는 분명히 이득을 보게될것이라 생각합니다.
그게 얼마나 오래 걸릴지, 개중에 어떤게 이길지는 전 모르지만요 ㅋㅋ
CONTAXND
저희 신규로 짓는 공장에 대형 플라이휠을 돌리는 장치 (상용화된 장치가 있다는군요!)를 UPS 배터리 대용으로 써보려다가 괜히 엄한짓 하지 말라고 (석유화학분야라 워낙 신뢰성있는 장비만 들어올 수 있습니다 ㅎㅎㅎ) 까였습니다.

만약 그랬으면 물리적 ESS를 처음 볼 수 있었는데! ㅠ
1
다시갑시다
플라이휠 효율성이랑 라이프타임이 쓸만한가요? 실제 공장에서 쓴다는 얘기 잘 듣지 못했는데 신기하네요
CONTAXND
구매 직전까지 갔다가 말았어요. 공장 전체가 아니라 control panel용이었는데, 어차피 설치하면 이건 반영구적이라 (UPS 배터리 수명이 길지 않아가지고) 좀 검토했던 것 같아요.

구매 스펙도 나왔었는데 암튼 제껴졌습니다. ㅎㅎ
1
조선일보최고야
꺼라위키 보니까 기계식 ups 쩔어보이던데 아쉽네요
CONTAXND
심장은 태양광을 향하지만 지갑은 LNG를 향하고 있는 사람으로서
제가 싸질러놓은 (놓을) 숱한 이산화탄소들을 언젠간 과학자들이 해결해줄거라고 굳게 믿고 있습니다.

박사님! 지구를 구해주세요! :D
2
다시갑시다
석탄 아닌거에 감사하는 마음으로 삽니다 ㅋㅋㅋㅋㅋ
펀딩이라는 것이 원래 메타를 잘타야 하는거 아니겠습니까~
게임을 하더라도 자기가 하고 싶은 전략을 하지만 이 전략이 현 메타에 맞다는 약을 팔듯이요.
다시갑시다
메타를 따르니 메데타시 메데타시
기아트윈스
과학은 정치중립적일지라도 과학'하기'는 정치 그 자체ㅋㅋㅋㅋㅋ
재밌게 잘 봤습니다.
다시갑시다
어차피 둘을 때놓는건 단어일때나 가능한거라서 언제나 정치적이라고 보는게 편한것 같습니다 ㅎㅎ
지구는 이제 걍 망한 줄 알았는데 뜻밖에도(?) 과학계에서는 해결방법을 모색하고 있었군요. 과학자들은 방법을 찾아낼 것이다. 늘 그랬듯이.
다시갑시다
의사나 변호사와 마찬가지로 과학자/공학자들도
세상이 적당히 망하고 있어야 직업이 보장된답니다 ㅋㅋㅋ
2
步いても步いても
나무를 많이 심으면 되는 간단한 문제가 아니었군요. 넘나 복잡한 것.
다시갑시다
그래도 나무 많이 심어서 나쁠건 없죠 ㅎㅎ
이산화탄소 재활용 말고도 나무는 도움이 많이되니까요
이노우에나오야
와 글을 잘 쓰시네요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다시갑시다
어휴 이런 과찬을
즐겨주셔서 감사합니다
Blackmore
과학철학/과학사 공부할 때 생각 나네요.
과학이라는 것이 합리의 상징으로서 쉽게 받아들여지지만 실제 과학의 발전방향에는 정치사회적 후원이 큰 역할을 하더라는...
후원을 못받는 분야는 연구비 얻기가 힘들고 연구비를 못얻으면 장비도 못사고 대학원생도 안모이니 현재와 미래가 다 어두워지니...
그래서 과학자로서 성공하려면 연구능력 뿐만 아니라 자기에게 연구비 던져줄 사람을 설득시킬 수 있는 커뮤니케이션 능력도 엄청 중요하다고 느낍니다.
다시갑시다
이건 비단 과학자-지원자 뿐만 아니라
과학자 to 과학자의 관계에서도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뭐 말이 객관적이고 만인공용의 언어지, 수학도 데이터도 아 다르고 어 다른건 사람사는 다른 모든일과 같아서요
동일한 그래프를 갖고서도 동료 과학자들에게 이 결과가 왜 중요하고 더 연구할 가치가있는지 설득 시킬수있는 사람이 있고, 그렇지 못한 사람이있는데, 누가 업계내에서의 평판이 더 좋을지는 깊게 생각해보지 않아도 자명하죠
재미있어요

주제 선정도 내용도 설명도 전부

잘읽고 가요 ㅋㅋㅋ
다시갑시다
감사합니다!
근데 이런게 재밌으시다니, 혹시... 이과세요??!
정작 전공은 러시아어인 문과생인데요
개발이나 과학기술에 관심이 많아요
개발자가 장래희망이구요 ㅋㅋ

정치 철학 사회학 등등 정신적 변화도 멋지지만
저한텐 세상을 물질적으로 바꾸는게 전더 멋지더라구요

엔지니어들 파이팅!
1
이러사우호
대용량 에너지 저장으로써 가장 가능성 있는건,
그리드스케일로 ESS 배터리 때려짓는걸로 귀결될 것 같습니다.
지금은 불나서 난리지만, 조만간 발전소 짓는것 보다 더 싸지는 시기가 도래할 예정입니다. 땅값은 훨씬 덜들구요.
다시갑시다
배터리는 파워 문제, 장기관리 문제 두가지가 그리드 스케일 에너지 저장을 상상했을시 발목을 잡는 요인으로 꼽힙니다.

근데 뭐 어느 정도 문제는 또 그냥 엔지니어링으로 최적화 시키면 되는거고, 그 부분에서 배터리가 경쟁자들에 비해 많이 앞서있긴는하죠. 일단은 배터리로 갈수밖에 없을텐데 장기적으로 봐도 배터리에 정착할지에 대해서는 확신하지 못하겠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8 과학체계화된 통빡의 기술 - 메타 휴리스틱 13 서포트벡터 23/09/14 3359 26
1310 과학(아마도)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한 이유 25 매뉴물있뉴 23/07/09 3385 13
1307 과학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441 31
1246 과학이번 카카오 사태에 가려진 찐 흑막.jpg 코멘터리 18 그저그런 22/10/25 5426 24
1243 과학"수업이 너무 어려워서 해고당한" 뉴욕대 화학 교수에 관하여 64 Velma Kelly 22/10/06 6601 27
1235 과학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30 몸맘 22/09/05 6141 28
1110 과학예측모델의 난해함에 관하여, .feat 맨날 욕먹는 기상청 47 매뉴물있뉴 21/07/25 6990 42
977 과학사칙연산 아니죠, 이칙연산 맞습니다. (부제: 홍차넷 수학강의 시즌2 프롤로그) 36 캡틴아메리카 20/07/02 6538 5
961 과학고등학교 수학만으로 수학 중수에서 수학 고수 되기 11 에텔레로사 20/05/22 6497 7
937 과학[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6997 12
912 과학기업의 품질보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Fate 20/01/22 6379 19
837 과학[번역] 인종 평등을 위한 과학적 기초 上 17 구밀복검 19/07/27 7401 10
827 과학블록체인의 미래 - 2018 기술영향평가 보고서 2 호라타래 19/07/03 7458 24
819 과학과학적 연구의 동기부여는 시대를 어떻게 대변하는가? 30 다시갑시다 19/06/18 6873 37
817 과학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7083 19
789 과학화학 전공하면서 들은 위험했던 썰 몇가지 36 Velma Kelly 19/04/05 9276 18
775 과학수학적 엄밀함에 대한 잡설 29 주문파괴자 19/03/05 9784 18
674 과학지구 온난화와 원전. 56 키시야스 18/08/01 7845 17
631 과학인공위성이 지구를 도는 방법과 추락하는 이유 19 곰곰이 18/05/13 11485 19
582 과학국뽕론 44 기아트윈스 18/01/25 8089 36
533 과학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아이러니, 말도 안 돼 25 다시갑시다 17/10/24 9500 18
528 과학How to 목성이 지구를 지키는 방법 28 곰곰이 17/10/11 8818 16
485 과학알쓸신잡과 미토콘드리아 7 모모스 17/08/02 9339 10
470 과학뫼비우스의 띠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20 유리소년 17/07/11 7132 14
422 과학[사진]광학렌즈의 제조와 비구면렌즈(부제 : 렌즈는 왜 비싼가) 9 사슴도치 17/05/01 8602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