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04/05 13:10:17수정됨
Name   Velma Kelly
Subject   화학 전공하면서 들은 위험했던 썰 몇가지
1.
다른 학교에서 세미나 하러 오신 교수님과 점심을 먹던 중 들은 썰입니다.

이 교수님이 교수 시작한 첫 해에 있었던 일입니다. 교수님이 없는 동안 대학원생이 실험을 하다가 헥세인을 약간 쏟았다고 합니다.
혹시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설명하자면 헥세인은 부탄이랑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고로 불 붙이면 잘 타고 가만 냅두면 그냥 기화합니다. 그러니까 이 학생은 그걸 쏟고 나서 그냥 아무것도 안하고 냅두기만 했어도 아무 일이 없었을 겁니다.

그 대신 기화를 돕는답시고 냅다 블로우토치를 가져다 지졌다고 합니다.

다행히 아무도 다치진 않았지만 (그 자체로 기적) 스프링클러 때문에 온갖 기기들이 망가졌고 학생은 그날로 잘렸다고 하네요


2.
전에 있던 회사에서 안전교육 받던 중 소방서 직원분한테서 들은 썰입니다

감자칩 만드는 공장에 대한 얘기였는데, 컨베이어벨트 위로 기름 범벅이 된 감자칩이 오븐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감자칩이 가끔씩 불이 붙는다고 합니다. 근데 감자칩이 큰 것도 아니고 그냥 냅두면 대부분 없어지는데, 어느날은 한 놈이 기름을 많이 먹었는지 가만 냅둬도 불이 꺼지질 않았답니다. 그래서 직원들이 '소화기까지 갈 필요는 없고 그냥 호스 가져와서 압축공기 불면 꺼지겠지' 하고 호스를 가져왔습니다.

문제는 그게 압축공기가 아니라 압축 산소였다는거.

마찬가지로 아무도 안 다쳤다고 합니다. (다쳤으면 웃기 미안하잖아요)


3.
썰이라기보단 제 전 직장이 그냥 썰 그 자체입니다.

무려 불산을 청소용으로 쓰는 직업이니 말 다했습니다. (설명충: 불산은 피부에 닿아도, 입으로 들어가도, 코로 들이마셔도 목숨에 지장이 생기는 미친 물건입니다. 무려 유리를 녹입니다.)

화학을 해보신 분들이라면 황이 들어간 물건들은 상당수가 정말 뭐같은 냄새를 자랑한다는 걸 아실텐데, 전 저기서 주기율표에서 황 아래에 있는 셀레늄도 건드려봤고 텔루륨 갖고도 실험해 봤습니다. 근데 셀레늄은 황이랑 비슷한 냄새인데 텔루륨은 냄새가 나쁘다기보단 그냥 본능적으로 '이거 직빵으로 맞으면 목숨이 위험하다' 싶은 괴상한 냄새가 납니다. 아무튼 아직도 살아서 이런 글을 쓰고 있는걸 보면 전 그래도 시키는대로 안전하게 했나 봅니다.


앞으로 제가 썰을 더 만들지만 않길 바랄 뿐입니다 :D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04-14 21:01)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8


    다시갑시다
    불산썰 추가합니다.
    웃기지 않아요.

    제가 아는 교수님의 전직장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합니다

    불산이 무서운 이유 +1이, 불산은 몸에 엄청 해로운데, 정작 피부에 닿았을때 그 고통이 황산이나 염산처럼 즉각적으로 오는게 아니라 시간이 꽤 지나서 피부에 다 스며들고 나서야 고통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불산을 사용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반적으로는 랩 코트를 잘 입고, 보호장갑을 끼고 사용해야한다고 생각하겟죠.

    보호장갑은 대체로 라텍스 재질입니다. 더 널리 사용되는 라텍스로 만든 장갑 그거 있죠? 그거 가끔 사... 더 보기
    불산썰 추가합니다.
    웃기지 않아요.

    제가 아는 교수님의 전직장에서 있었던 일이라고 합니다

    불산이 무서운 이유 +1이, 불산은 몸에 엄청 해로운데, 정작 피부에 닿았을때 그 고통이 황산이나 염산처럼 즉각적으로 오는게 아니라 시간이 꽤 지나서 피부에 다 스며들고 나서야 고통을 느끼기 시작합니다.

    그러면 불산을 사용할때 어떻게 해야할까요? 일반적으로는 랩 코트를 잘 입고, 보호장갑을 끼고 사용해야한다고 생각하겟죠.

    보호장갑은 대체로 라텍스 재질입니다. 더 널리 사용되는 라텍스로 만든 장갑 그거 있죠? 그거 가끔 사고 날때 있자나요?
    보호장갑도 비슷한 문제가 있습니다.
    아무리 잘 만들고, 아무리 잘 사용해도 눈에 잘 안보이게 찢어져있거나 구멍이 나있을때가 있어요.

    근데 하필이면 이분이 불산을 사용하는데 그런 장갑을 끼고 있었던겁니다.
    본인도 모르는 사이에 장갑속으로 불산으 스며들고 있었고, 고통이 느껴져서 황급히 손을 빼고 장갑을 벗었을때는 이미 늦었던거죠.

    불산을 만졌을때 유일한 해법은 불산을 중화 시키는겁니다.
    바로 응급실로 이송해서 중화시킬 약품을 계속 투여하는데, 환자는 이미 극심한 고통을 견디지를 못했다고해요
    그래서 응급실에 동행한 이 교수가 모르핀이든 뭐든 진통제 좀 주면 안되냐고했더니

    의사가 "정말 미안한데 그럴수가 없다. 몸속의 불산을 다 중화 시켰는지 알수있는 유일한 방법이 고통이 사그러드는 것 뿐이다. 너무 미안하다."라고 대답을 했다고 합니다.

    다행히 그분은 치료가 성공적으로 잘 되어서 좀 쉬고서는 별일 없이 회복하셨다고 합니다만, 불산의 위험성에 대해서는 모두가 트라우마가 생길법한 얘기죠.

    이 일 이후에 이 교수님은 불산을 사용할때 오히려 보호장갑을 끼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리고 조금이라도 물기가 손에 닿으면 그냥 모든일을 중지하고 바로 수돗가로 가서 다 씻어낸다고 해요.
    그리고서는 손을 완벽하게 말린 다음에 다시 일하러 가는거죠.
    물론 학생들한테 권할수있는 방법은 아니라고...

    여러분 화학자들이 이렇게 제 정신이 아닙니다
    3
    Velma Kelly
    음 그 교수님 방법도 좀 많이 위험하네요...

    제가 말한 회사에서는 불산 갖고 일할때는 방독면 쓰고 랩 코트 입고 그 위에 앞치마 입고 두꺼운 장갑 끼고 하는데, 그러기 전에 장갑이 새는지 확인을 꼭 했더랬죠. 솔직히 웬만하면 그냥 안 건드리는게 답이죠
    다시갑시다
    이분이 70 후반 80년대에 불산갖고 일하시던 분이라 아마 그러지 않았을까...

    전 안건드립니다 ㅋㅋㅋ
    1
    Velma Kelly
    아앗 그렇다면 이해가 되는군요

    그 때 일하던 양반들은 도대체 어떻게 살아있는 건지가 궁금합니다 ㅋㅋㅋㅋㅋㅋ
    다시갑시다

    이거죠 뭐 ㅋㅋㅋㅋㅋ
    12
    하우두유두
    비행기는 엔진이 단단하군요!
    웃으면 안 되는데 갑자기 디씨의 부산의 운전썰 중에 남바쓰리 택시기사가 생각나네요
    2
    불산은 답이 없읍니다
    칼슘 등을 혈관에 주입하는 방법을 써보기는 합니다만, 그 주입하는 방법이 예사롭지 않아서 전공자가 아니면 어렵기도 하고 그걸로 중화된다는 보장이 없읍니다...
    운이 없으면 피부이식이나 절단까지 필요합니다
    1
    Velma Kelly
    피부 노출의 경우 재수가 좋으면 그냥 문지르는 약이 있긴 합니다. 정도에 따라 다르겠지만
    Cascade
    그렇게 위험한 걸 치약에?

    라고 쓰려다가 생각해보니 불소...
    2
    학부 시절에 그리 위험한 케미칼은 다뤄본 기억이 거의 없긴한데 브롬 시약병을 열면 보라색 기체가 스멀스멀 올라왔던 기억이 있기는 하네요. 후드아래에서 시약을체취하긴 했지만 그렇게 음험해보이는 보라색은 정녕 처음이었는데, 아마 조교가 위험하다고 엄청나게 주의를 많이 주었던 탓이었던 듯도 싶고요.

    위험은 뜻밖에도 다른데서 찾아왔는데 알콜램프 쓰다가 심지 안쪽으로 불이 옮겨붙어서 폭발한 일이 한번 있었네요. 아수라장이 따로 없었죠. ㅎㅎㅎ

    하지만 학부생들이 격는 가장 큰 위험은 메틀러저울을 망가뜨려서 조교한테 까이는 순간이 아니었을지...ㅋ

    재미있게 읽었습니다.
    1
    Velma Kelly
    "위험한 기체를 전부 볼 수 있는 건 아니지만 볼 수 있는 기체는 무조건 위험하다"라는 대략적인 규칙이 있죠 ㅎㅎ
    5
    아케르나르
    저도 화학과였는데, 브롬 다루는 실험할 때는 남자들은 다 나가게 하고 여자들만 실험했어요. 남자는 잘못하면 불임될 수 있다 그래서.
    또 기억나는 게, 저울은 아니고 백금 링을 실험에 쓸 일이 있어서 조교 선배가 말해주더라고요. 이거 끊어지면 다시 사야 되는데, 금보다 비싼 물건이니 조심하라고.
    그런데
    모대학 화학과의 전설이라는 예전 이야기가 있습니다.

    실험 중에 유기수은인가를 쏟았다고 합니다.
    아주 위험한 상황이어서 실험실 내지 연구동 전체를 폐쇄해야 하는데
    그렇게 했다가는 화학과 및 다른 자연대과가 통째로 나 앉을 판이라서
    대신 바닥에다 황산을 부어놓고 퇴각했다고 합니다.
    나중에 덩어리진 황화수은? 황산수은?을 빗자루로 쓸어 담아 버렸다고 하더군요.

    저도 수십년 전 (아마도) 술자리에서 들었던 이야기라 정확히 전달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네요.
    (고교화학1 이후로 화학에서 손뗌)
    Velma Kelly
    ;;;;;;;

    아무 생각없이 메틸수은 100그램을 산 것만으로 쫓겨난 대학원생의 전설이 있습니다
    뜯지도 않았는데 환불 안되냐니까 판 곳에서 절대 안받아준다고 ㅋㅋㅋㅋㅋㅋ
    그거 쏟으면 도대체 뭘 어떻게 해야되는지 감도 안오네요
    2
    판다뫙난
    메틸수은 100그람이 엄청 많은건가요? 화알못이라 뭐가 문제인지 감도 안옵니다
    아케르나르
    찾아보니 생물 농축이 잘 되는 수은이고, 미나마타병의 원인이기도 했다네요.
    The xian
    가열한 질산은이 손에 튀어서 화상을 입은 적이 있습니다. 흉터가 한 20년 지나니까 없어지더군요.
    #1. 중학생 떄 염화적정(그러니까 비커인지 플라스크인지 안에 HCl 수용액이 있고, 약 NaOH수용액을 뷰렛을 통해 입으로 조절해서 떨어뜨리면서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HCl 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을 하다가... 옆자리 누가 갑자가 웃기는 소리를 했죠. 푸흡.... 하면서 웃다가 NaOH(물론 희석한 것이지만) 수용액에 제 혀를 녹인 적이 있습니다. 혀 표면이 미끈미끈 하더니 마구 쓰라리더군요.

    ... 더 보기
    #1. 중학생 떄 염화적정(그러니까 비커인지 플라스크인지 안에 HCl 수용액이 있고, 약 NaOH수용액을 뷰렛을 통해 입으로 조절해서 떨어뜨리면서 중화시키는 방법으로 HCl 용액의 농도를 구하는) 실험을 하다가... 옆자리 누가 갑자가 웃기는 소리를 했죠. 푸흡.... 하면서 웃다가 NaOH(물론 희석한 것이지만) 수용액에 제 혀를 녹인 적이 있습니다. 혀 표면이 미끈미끈 하더니 마구 쓰라리더군요.

    뭐, 열심히 물로 씻어냈었고... 한 동안 맛을 못 느꼈습니다. 지금이야 맛을 느끼는 데에는 지장이 없긴 합니다만...

    #2. 썰처럼 전해져오는 이야기라서, 그냥 궁금한데... 정말 기체 Br을 흡입한 남성은 고..... 고.......... 가 되는 건가요?
    아케르나르
    위에 댓글에도 썼지만, 브롬 사용한 실험 할 때는 남자는 나가고 여자만 실험했었어요. 진위는 모르겠지만, 그렇게 할 정도면 영향이 있지 않을까요?
    1
    덕후나이트
    이런 거 볼때마다 느끼는건데 과학의 발전은 인간 생활을 편리하게 만들었지만

    그만큼 더욱 위험하게 만든 것 같네요...
    천연물약품화학
    윗분들에 비하면 장난수준이지만 (많이 희석했지만..) 강염기 손으로 그냥 만지다가 손가락에 지문이 없어질뻔했던 기억이 나네요.. ㅠㅠ
    켈로그김
    나트륨 휴지에 싸서 갖고있다가
    수업시간에 책상속에서 자연발화한 적이 있습니다.

    물에 닿아야 터지는 줄 알았는데
    기름피막 벗겨지니 공기랑 바로 반응하더라고요 ㅡㅡ;;
    매일이수수께끼상자
    헐.. 첫 학생 얘기보고 제 이야긴줄...
    전과하기 전에 화공학과에 있었는데, 화학 실험 때마다 화학물을 쏟고 실험기구를 부수고 옆에 아이들에까지 민폐를 끼치는 바람에 교수님이랑 상담도 여러 번하고...하... 그래서 한 학기하고 자의 반 타의 반으로 어문계열로 이동했습죠...
    제가 아무도 안 다치게 한 게 지금 생각하면 얼마나 다행인지..
    세리엔즈
    닉삶일치이십니.....?
    Darwin4078
    주기율표도 안외우고 고등학교 졸업하고, 대학교 가서 일반화학 D 맞은 저로서는 이해할 수 없는 말들이군요.
    2032.03.26
    코카인 만든썰 없나여
    브레이킹배드
    1
    Velma Kelly
    썰은 없지만 학부 수준 유기화학 두 학기를 들은 사람이면 메스암페타민은 비교적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ㅋㅋ물론 해봤다는건 아니고요;;
    와일드볼트
    고등학교때 열심히 외월던 산황셀텔폴의 셀과 텔이군요.
    고등학교 졸업한지 엄청 오래되었는데 화학 선생님의 악랄한 고문법에 아직도 전이금속 제외한 주기율표가 술술 나옵니다.. ㅠㅠ

    것보다 텔루륨은 이름만 들어봤지 이걸 실제로 다루시는분이 있군요... 어디에 쓰는건가요?
    Velma Kelly
    저도 솔직히 잘은 모르겠습니다;; 무기화학 전공이 아니라서요
    와일드볼트
    잘 모르지만 아무튼 실험 하신건가요 ㄷㄷ
    뭔지 몰라도 위험한것 같은데 무사하신거 봐서 다행이군요 ㄷㄷ
    양양꼬치
    이래저래 화학쟁이들은 온갖 케미컬에 노출되서 오래살기 쉽지 않죠 (눈물)

    화학 안전사고야 워낙 다양하지만 요즘 제일 무서운건 고압가스봄베 폭발사고입니다. 예전에 사고난 현장을 한번 본적이 있었는데 진짜 실험실이 전쟁통 초토화.. CCTV 영상으로 보니 그 고철덩어리가 미사일마냥 튕기면서 돌아다니는데 아 저거는 맞으면 한번에 골로 가겠구나 싶더라구요.
    미카엘
    화학 관련 종사자들은 진짜 힘들죠.. 저도 연구실 있다가 나오자마자 건강이 급격히 회복되고 좋아지는 걸 느꼈어요.
    친구는 아니지만, 수업 한번 같이 들었던 얼굴만 아는 사람, 화학관련 전공이였던걸로 기억하는데,

    신종마약 제조로 감방간거 신문으로 봤네요
    브레이킹 배드 현실판....
    공도리도리
    화학쪽은 아니지만, 요즘 3D 프린터가 난리라 연구실에 두 대나 도입됐습니다. 두 개중 하나는 액체를 적층하여 광경화 시키는 원리인데, 이 액체 냄새가 굉장히 불쾌합니다. 진짜 계속 맡으면 큰일나겠구나(?)하는 직감이 드는데, 어쩔수 없이 실험실에 계속 있네요.

    잠시 이렇게 있는 것도 힘든데, 화학 전공자 분들 정말 고생 많으신 것 같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28 과학체계화된 통빡의 기술 - 메타 휴리스틱 13 서포트벡터 23/09/14 3362 26
    1310 과학(아마도) 후쿠시마 오염수가 안전한 이유 25 매뉴물있뉴 23/07/09 3386 13
    1307 과학유고시 대처능력은 어떻게 평가가 될까? - 위험 대응성 지표들 18 서포트벡터 23/06/26 3441 31
    1246 과학이번 카카오 사태에 가려진 찐 흑막.jpg 코멘터리 18 그저그런 22/10/25 5426 24
    1243 과학"수업이 너무 어려워서 해고당한" 뉴욕대 화학 교수에 관하여 64 Velma Kelly 22/10/06 6604 27
    1235 과학마름모는 왜 마름모일까? 30 몸맘 22/09/05 6142 28
    1110 과학예측모델의 난해함에 관하여, .feat 맨날 욕먹는 기상청 47 매뉴물있뉴 21/07/25 6993 42
    977 과학사칙연산 아니죠, 이칙연산 맞습니다. (부제: 홍차넷 수학강의 시즌2 프롤로그) 36 캡틴아메리카 20/07/02 6541 5
    961 과학고등학교 수학만으로 수학 중수에서 수학 고수 되기 11 에텔레로사 20/05/22 6498 7
    937 과학[코로나] 데이터... 데이터를 보자! 20 기아트윈스 20/03/22 6998 12
    912 과학기업의 품질보증은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3 Fate 20/01/22 6382 19
    837 과학[번역] 인종 평등을 위한 과학적 기초 上 17 구밀복검 19/07/27 7401 10
    827 과학블록체인의 미래 - 2018 기술영향평가 보고서 2 호라타래 19/07/03 7458 24
    819 과학과학적 연구의 동기부여는 시대를 어떻게 대변하는가? 30 다시갑시다 19/06/18 6874 37
    817 과학0.999...=1? 26 주문파괴자 19/06/14 7084 19
    789 과학화학 전공하면서 들은 위험했던 썰 몇가지 36 Velma Kelly 19/04/05 9276 18
    775 과학수학적 엄밀함에 대한 잡설 29 주문파괴자 19/03/05 9784 18
    674 과학지구 온난화와 원전. 56 키시야스 18/08/01 7847 17
    631 과학인공위성이 지구를 도는 방법과 추락하는 이유 19 곰곰이 18/05/13 11486 19
    582 과학국뽕론 44 기아트윈스 18/01/25 8092 36
    533 과학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아이러니, 말도 안 돼 25 다시갑시다 17/10/24 9501 18
    528 과학How to 목성이 지구를 지키는 방법 28 곰곰이 17/10/11 8820 16
    485 과학알쓸신잡과 미토콘드리아 7 모모스 17/08/02 9340 10
    470 과학뫼비우스의 띠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20 유리소년 17/07/11 7133 14
    422 과학[사진]광학렌즈의 제조와 비구면렌즈(부제 : 렌즈는 왜 비싼가) 9 사슴도치 17/05/01 8606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