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11/04 12:36:25수정됨
Name   Danial Plainview
Subject   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찬반 양론의 뒤편에는 서로 동의하지 않는 평행선이 있습니다. 그것은 징병제의 존속에 대한 것입니다.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찬성은 징병제는 노예제의 변형된 한 형태에 불과하며 이번 판결로 인해 징병제가 존속되지 않게 된다 하더라도 정의로운 결과라는 전제가 있습니다. 반면 반대론자들에게 징병제란 현재의 대한민국을 유지하고 구성하는 데 필수적인 것이며, 이 체제가 무너지는 것은 위험하다고 느끼게 합니다.

저는 안보도 하나의 서비스이며 징병제는 일종의 보험insurance과 같다고 생각합니다. 2년여간의 시간을 통해 보험료를 납부하고 대신 나머지 생애기간 동안 공동체 內에서 내 생활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것이라는 보장을 받는 것이죠. 다만 이 보험료의 납입과정이 세대 간inter-generation으로 이루어지다 보니 잘 드러나지 않는 것 뿐입니다. 모병제는 여기에서 보험료를 의무복무가 아닌 금전(세금)으로 대체하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물론 여기엔 무임승차자들이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군대를 가지 않은 여성들을 예로 들 수 있겠죠. 다만 공평성에 초점을 맞추어 이들을 굳이 군대로 보내기엔 추가해야 할 엄청난 비용이 있고, 무엇보다도 보험료를 납부하는 사람들(여기서는 군인)이 그들에게 느끼는 애정이 있습니다. 그들은 누군가의 가족이고, 가족이란 때때로 자신이 손해보는 일이 있더라도 굳이 언급하지 않고 넘어갈 수 있는 존재입니다. 나는 안보 서비스의 체리피커cherrypicker들에게 이용당하는 것이 아니라, 내 엄마 누나 동생을 지키는 것이거든요.

그리고 우리가 굳이 언급하지 않는 무임 승차자들이 있습니다. 예컨대 집이 잘 사는 사람들은 입대를 더 미루고, 그 때쯤 생기는 질병(디스크나 측만증 같은)들로 공익이나 면제를 따내기도 합니다. 반면 집이 어려운 경우 빠르게 입대하여 경제활동을 시작할 나이에는 병역을 모두 마치려는 경향이 있죠. 하지만 이 또한 굳이 언급하지는 않습니다. 상류층의 병역면탈은 (완벽하게 불법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그것이 의도적인가 아닌가를 따지기 매우 어려운 문제일 뿐 아니라, 우리는 아픈 사람들은 굳이 군대로 끌고 올 필요 없다는 인식을 갖고 있고, 어떻게 보면 치사하다고도 생각합니다. 하지만 이런 불평등은 분명히 실존합니다.

또한 국가가 의도적으로 고급 인력을 병역에서 돌림으로써 사회 전체의 이득을 높이려고 시도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공중보건의가 있을 것입니다. 국가는 병역의 의무를 근거로 남성 의사들을 강제로 싼 가격으로 도서산간 지역까지 의료서비스를 공급하도록 합니다. 혹은 이공계 전문연 같은 제도로 평소에 훨씬 많은 돈을 주고 고용해야 될 인력을 중소기업이 적은 돈으로 PKS 대학원생들을 쓸 수 있도록 만들어 주기도 하죠. 이들은 '안보 서비스'의 무임승차자이지만 동시에 다른 고급 인력 서비스를 저가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사회는 기꺼이 이런 제도를 받아들입니다.

결국 징병제는 현실과 당위 사이의 적절한 타협일 뿐입니다. 국가는 병역을 이유로 청년들을 2년여 간 자기 맘대로 할 권리를 주장합니다. 그 필요성은 역사적으로 어떤 공동체든 자신을 지키지 못한 공동체는 무너진다는 것으로 뒷받침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국가는 때때로 남는 자원들은 산업체로 돌리기도 하며(대표적으로 80년대의 6개월 방위), 전문인력들은 사회에서 더 요긴하게 써먹기도 합니다. 무임승차자들이 있지만 이들은 병역 수행자들과 매우 친밀하거나 너무 많거나 혹은 애정의 대상이기도 합니다(예컨대 국위선양한 운동선수)

그런데 양심적 병역거부는 나머지와는 조금 다릅니다. 도덕적으로 정당한가와 상관없이 두 가지가 현 체제에서 문제가 됩니다. 하나는 양병거는 장기적으로 현 체제를 완전히 부술 수 있습니다. 극단적으로 모든 남성이 양병거를 선언하는 경우가 있겠죠. 이는 비현실적인 가정처럼 보이지만 전시가 임박할수록 우리 사회가 마주할 모습입니다. 전쟁이 이제 곧 벌어질 것이라고 하면 전쟁터에 나가는 것은 나가지 않는 것에 비해 유의미하게 생존 확률을 낮추기 때문에 평시에 비해 압도적으로 전시의 양병거 선언 비율은 높아질 것입니다. 또한 현재의 양병거 논의는 전혀 전시에 대해서는 고려하지 않고 있습니다. 전시에 양병거는 무엇을 할 것인가는 논의 대상에서 빗겨나 있죠. 예비역들은 소집되지만 양병거는 군사훈련도 받지 않기 때문에 소집도 되지 않습니다. 게다가 정원이 몇 명까지인지에 대한 얘기도 없어 사실상의 제동장치도 없습니다. 즉 징병제+양병거를 선택한 국가는 평시에 비해 전시에 더 위험해질 수 있는 것이죠.  

두번째로 양심적 병역거부는 무임승차자 문제를 더 심화시킬 소지가 있습니다. 위에서 설명한 것처럼 지금까지의 무임승차자 문제는 크게 부각받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양병거는 본격적으로 무임승차자 문제를 부각시킬 것입니다. 전혀 맥락상 맞지 않는 여성징병제 논의가 양병거에 나오는 것부터 알 수 있죠. 왜냐하면 양심적 병역거부자와 징병제를 다녀온 사람들은 어떤 애정이나 인정으로 얽혀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안보 서비스'의 무임승차자이지만 동시에 그들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그만큼의 가치는 없거든요. 양병거의 대체복무안으로 일종의 징벌적 대체복무들이 나오는 것이 비슷한 맥락입니다. 하지만 사회가 받아들일 수 있는 선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만약 전쟁이 벌어진다면 이런 무임승차자 문제는 더 크게 부각될 것입니다. 영국 드라마 <피키 블라인더스>에서는 1차 세계대전에 참전하고 돌아온 사람들이 전쟁에 참여하지 않은 미필 남성들을 경멸하고 무시하는 장면들이 있죠. 실제로도 매우 흔한 사회 현상이었다고 합니다. 모병제에서는 모두가 그 보험료를 납부함으로써 그런 문제를 피해갈 수 있지만, 현재와 같은 징병제에서는 이들이 무임승차자로 인식되는 것은 피할 수 없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우리는 국가의 모든 자원을 군사에 쏟은 병영국가들이 얼마나 그 구성원들을 고통스럽게 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2차 세계대전 기간의 일본이나 현재의 북한이 살아 있는 사례죠.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안보에 자원을 아예 분배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공동체 전체의 공멸로 가는 길이라는 것은 송宋나라와 같은 여러 사례들이 잘 보여줍니다. 결국 사회는 적절한 규모의 자원을 안보에 분배하기로 합의했고 현재의 징병제는 그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군복무 기간을 축소하기로 결정한 것은 사회가 안보에 쏟을 자원을 더 낮춰도 된다고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죠.

하지만 우리가 고려해야만 하는 것은 기술이 인력을 대체할 수 있는 건 사실이지만 이 한계대체율은 체감된다는 것입니다. 즉 병력이 60만에서 50만으로 줄 때와, 50만에서 40만으로 줄 때, 40만에서 30만으로 줄어들 때는 그 줄어든 병력은 같지만 추가해야 할 자원은 훨씬 더 늘어난다는 것이죠. 그리고 어디까지 장비로 커버할 수 있을지도 확실하지 않구요.* (그래서 사견이지만 현재의 군복무 기간 축소는 별로 바람직하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모병제의 우수한 사례라고 생각하는 많은 국가들이 한국과 놓인 상황은 현실적으로 다릅니다. 독일만 해도 장비로 인력을 대체한 것이 아니라 '안보 서비스'를 외주화outsourcing시킨 것에 가깝습니다. 그리고 양심적 병역 거부는 이런 흐름을 더 가속화하게 될 뿐더러 갈등을 크게 만들 것입니다.

그러므로 저는 현실적으로는, 지금처럼 양심적 병역 거부를 하는 인원들을 계속해서 감옥으로 보내며 징병제를 유지하는 것이 최선이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선출되지도 않았고, 단순히 시험에 패스했고 임명되었을 뿐인 권력이 이런 중요한 결정을 내릴 만큼의 권한이 있다고도 생각하지 않구요. 그러나 이미 결정은 내려졌고 우리는 균열이 천천히 생기는 것을 바라볼 뿐입니다.





* Toby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1-21 04:03)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8


    맥주만땅
    국회가 대체복무제를 만들지 않아서 생기는일인데 당분간은 별일 없겠죠

    미래는 로봇이?
    Danial Plainview
    아무래도 현재의 대체복무 논의를 좀 못 쫓아간 면이 있네요. 국회에서는 500명의 T/O를 정하는 걸 논의중이라고...
    사실 진짜 해결책은 핵을 개발하면 됩니다. 그럼 병력이 필요가 없...
    2
    Cascade
    핵이 있다고 해서 재래식 병력이 필요 없는 건 아니죠. 핵만능주의는 깨진 지 한참 지났죠.
    Danial Plainview
    농담을 다큐로 받으시면...
    Cascade
    진지하게 이걸 믿는 분들이 계셔서...
    군축하고 모병제 하자는 사람은 많은데 뭐랄까 국회의원 정족수 줄이자는 얘기 보는 거 같아요.
    오직 면피논리로만 활용해와서 그래요.
    1
    Danial Plainview
    사실 그런 얘기를 하는 사람 중에 실제로 돈이 얼마 들어갈지, 몇 명을 목표로 할 지 제대로 숫자를 가늠하는 사람이 없기 때문에... 참고할 만한 국가가 냉전기의 NATO, 그 중에서도 서독이 한계라서 쉽지는 않을 겁니다.
    1
    레지엔
    어차피 숫자 문제는 징병제 존속 찬성쪽도 제대로 된 근거가 없습니다. 가장 적극적으로 징병제에 찬성하고 있는 국방부의 입장은 '최대 가용 자원을 언제나 우리 손에' 이상을 넘어가지 못합니다.
    2
    사나남편
    대체복무 나오면 이제는 여자도 국방의 의무를 하게 되겠죠.
    노인정(초등학생)
    어차피 병역 논란의 중점은 '나는 뺑끼치는데 쟤네는 꿀빠네'였고, 대체복무가 꿀이 아니게만 만들어주면 딱히 논란이 될 이유도 당위도 없다고 봅니다. 대체복무가 정말로 문제가 되는 게 맞다면 그냥 복무 강도를 냅다 올려버리면 그만이고요. 물론 이렇게 하면 대체복무 자체가 하나의 형벌로서 기능하긴 하겠지만, 그러나저러나 그렇게 해서라도 일단 죄없는 사람들 감옥 안 보내는 게 최우선의 과제이니 이러한 일은 분명히 의미가 있을테고요.

    명확히 얘기하면 병역거부를 인정하냐 마냐는 논란이 될 이유가 없고, 병역거부자들의 대체복무 강도가 어느 정도에서 설정되어야하나 또 병역거부가 전시에도 인정해야하나 같은, 그 실행방법에 대한 논란이 남아있을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2
    일자무식
    징병제가 현실과 당위 사이에서 내려진 하나의 흐름이듯, 양병거 또한 사회를 무너뜨리기 위한 꿀빠니스트의 음해공작이 아니라 역시 징병제가 가리키는 것과 다른 방향의 현실과 당위를 오가는 하나의 흐름이라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징병제는 결코 악이 아니지만, 오랫동안 군사국가였으며 민주화된 현대에도 국민 태반이 문민통제가 뭔지도 모르고 관심도 없는 유사자유국가 대한민국의 징병제는 분명 사회악에 가까운 것이니까요. (이 점을 동의하지 않으시면 더 할말은 없지만) 이 문제의 핵심은 양병거의 무죄인정 따위가 아니라 그걸 이렇게 시끄럽... 더 보기
    징병제가 현실과 당위 사이에서 내려진 하나의 흐름이듯, 양병거 또한 사회를 무너뜨리기 위한 꿀빠니스트의 음해공작이 아니라 역시 징병제가 가리키는 것과 다른 방향의 현실과 당위를 오가는 하나의 흐름이라는 것을 이해할 필요가 있습니다. 징병제는 결코 악이 아니지만, 오랫동안 군사국가였으며 민주화된 현대에도 국민 태반이 문민통제가 뭔지도 모르고 관심도 없는 유사자유국가 대한민국의 징병제는 분명 사회악에 가까운 것이니까요. (이 점을 동의하지 않으시면 더 할말은 없지만) 이 문제의 핵심은 양병거의 무죄인정 따위가 아니라 그걸 이렇게 시끄럽게 만들어버린 사회적 태만함이죠. UN에서 권고안 내렸던게 08년인가 09년이었던가요. 최소한 그때부터 한국의 징병제가 언젠가는 분명히 균열이 생길 것이라는 사실을 인정하고 방법을 모색했어야 합니다. 말씀대로 이미 균열은 생겼고 그 원죄는 정치권을 위시한 사회 전체가 감당해야죠. 양병거들한테 네들 때문에 사회가 무너진다고 파쇼짓할게 아니라.
    9
    tannenbaum
    별일 없을거 같아요.
    아주 없지는 않겠지만 영향이 미미할거라고 봅니다.
    한국인들 참 착하더라구요.
    투덜투덜 하면서도 체제순응하는 시민이 대부분이라서...
    한국 징병제에 '현실과 당위의 적절한 타협'이라는 말을 붙일 수 있었던 이유는

    1. 신체 건강한 젊은 남성이 충분
    2. 열악한 환경에서 돈도 안주고 부려먹어도 될만큼 사람들이 국가에 순응적

    이었기 때문인데, 1/2번 모두 빠르게 무너지고 있으니 현실과 당위의 적절한 타협에서 그냥 비현실적 제도가 될 겁니다

    모든 제도는 사회환경에 따라 변화하고 징병제만 거기서 예외여야 할 이유도 없으며 예외가 될수 있는 방법도 없죠
    1
    Danial Plainview
    각자 의미하시는 것이

    1. 인구 구조가 감소하고 있음
    2. 기존의 징병제를 구성하던 공동체주의적 정서가 자유주의적 정서로 바뀌어 나가고 있음

    이라는 말씀이라면 피할 수 없는 흐름이라는 데 동감합니다. 그렇다면 이 기조 속에서 군이 동일한 목적(전쟁의 억지)을 달성할 수 있도록 추가적인 案들을 고려해야겠죠.
    양심적 병역거부를 처벌하면서까지 현 징병제 체제를 유지해야만 하는 당위성에 의문이 드네요. 저는 양심적 병역거부가 아닌 징병제가 사회적 균열의 근본적인 원인이라고 봅니다. 군복무에 대한 보상과 대우가 충분하다면 애초에 심각한 균열이 나타날 일도 없다고 봅니다. 그리고 지금 한국 군대의 문제는 현실적으로 개선 불가능하기 때문에 어쩔수 없이 타협해야만 하는 문제라고 보지도 않구요.

    그래서 개인적으로는 이번 사건이 좋은 방향으로 변화를 주었으면 합니다. 대체복무제의 상용화, 혹은 군복무 서비스에 대한 보상의질적 상승 등으로요. 특히 후자가 중요하다고 봅니다.
    1
    Danial Plainview
    청년층이 좀 더 자유주의적인 사상으로 바뀌는 것과는 반대로 징병제 관련한 논의는 더 반동적인 말들이 나왔던 것도 사실입니다. 당장 저희 아버지만 봐도, 군에 가기 전에 취업했다는 이유로 6개월 방위를 받으셨거든요.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굳이 방위를 나왔다고 부끄러워하는 그런 문화도 아니었구요. 그런데 부유층 자제들이나 연예인들의 의도적인 군 면탈 사례들 같은 형평성에 대한 논란들이 부상하며 군 문제는 그래도 <사회의 구성원이라면 반드시 다녀와야 한다>는 식의 여론이 생겨났다고 봅니다. 장관 청문회 등에 자녀들... 더 보기
    청년층이 좀 더 자유주의적인 사상으로 바뀌는 것과는 반대로 징병제 관련한 논의는 더 반동적인 말들이 나왔던 것도 사실입니다. 당장 저희 아버지만 봐도, 군에 가기 전에 취업했다는 이유로 6개월 방위를 받으셨거든요. 그리고 그런 사람들이 너무 많아서 굳이 방위를 나왔다고 부끄러워하는 그런 문화도 아니었구요. 그런데 부유층 자제들이나 연예인들의 의도적인 군 면탈 사례들 같은 형평성에 대한 논란들이 부상하며 군 문제는 그래도 <사회의 구성원이라면 반드시 다녀와야 한다>는 식의 여론이 생겨났다고 봅니다. 장관 청문회 등에 자녀들의 병역 여부가 민감하게 떠오르기 시작한 것도 같은 맥락이구요. 아무튼 제 말은 징병제에 대한 진보적인 여론이 부각될수록 그에 반하는 반동적인 여론 역시 반작용으로 드러나기 마련이라는 것입니다. 저는 역설적이지만 군이 좀 더 나은 환경을 만들수록 여성도 징병해라라는 여론이 생겨나는 것은 이런 이유 때문으로 봅니다.

    우리는 그 과정에서 좀 더 공동체가 정의로운 결과를 얻기 위해 이런저런 안을 구상할 수밖에 없습니다. 말씀하신 것처럼 군복무에 대한 보상의 질적 상승이나 여건을 좋게 만드는 것들이 있겠죠. 저는 그 중 양병거가 소수의 사람으로만 한정되지 않고 전반적으로 확산되었을 때의 대책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레지엔
    양심적 병역 거부가 한국에서 처음 생긴 일도 아니고 제도화된 것 역시 한국이 처음이 아닙니다. '이것을 인정하면 사회가 균열이 날 것이다'라는 가정은 게이의 인정, 미성년자 개념의 도입, 계급제 철폐 등등 꽤 많은 곳에서 벌어졌던 가정입니다. 결론은 이 자체로 악영향이 있을 수도 있고 패러다임이 바뀔 수도 있지만 공동체 자체가 생존의 위기에 노출되는 경우는 드물다는 겁니다. 인간은 꿀빨러의 기질을 가지고 있지만 꿀빨러가 되기 위해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예컨대 본문에 나온 각종 병특이나 보충역의 경우 이미 고등학생 시점... 더 보기
    양심적 병역 거부가 한국에서 처음 생긴 일도 아니고 제도화된 것 역시 한국이 처음이 아닙니다. '이것을 인정하면 사회가 균열이 날 것이다'라는 가정은 게이의 인정, 미성년자 개념의 도입, 계급제 철폐 등등 꽤 많은 곳에서 벌어졌던 가정입니다. 결론은 이 자체로 악영향이 있을 수도 있고 패러다임이 바뀔 수도 있지만 공동체 자체가 생존의 위기에 노출되는 경우는 드물다는 겁니다. 인간은 꿀빨러의 기질을 가지고 있지만 꿀빨러가 되기 위해서 특별한 노력을 기울이지 않습니다. 예컨대 본문에 나온 각종 병특이나 보충역의 경우 이미 고등학생 시점에 대충은 들어서 알고 있고 찾아보려면 충분히 정보를 구할 수 있는 상황이지만, 그걸 기준으로 대학 진학을 결정하는 사람은 드뭅니다. 당장 제가 의대 진학한 이유 중 하나가 일반병으로 가기 싫어서인데 저같은 사람 거의 없습니다. 양심적 병역거부라는 사회적 액션을 해서만 징병을 회피할 수 있다면, 이 징병을 회피하기 위해서 위장하는 사람은 지금보다 늘지언정 사회의 틀을 깰만큼 늘어날 것이라는 가정에 동의하기가 어렵습니다. 누군가는 할 겁니다. 그러나 그건 왕따로 자살한 학생, 묻지마 살인의 피해자, 방사선 피폭에 의한 사망자같은 겁니다. 개인의 레벨에서는 비극이나 사회의 레벨에서는 심각한 문제가 되기 힘들겁니다.
    5
    Danial Plainview
    사실 양병거로 인정받는 사람이 지금처럼 1년에 수백 명 수준이라면 저는 큰 거리낌 없이 양심적 병역 거부로 인한 대체복무제를 입안하는 것이 그들이 감옥에 가는 것보다 더 나은 결과를 보여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제 글은 이것이 전면적으로 확산되었을 때의 예상에 가깝습니다.
    제로스
    뭐 그래서 그정도 수준을 유지할 정도의 안이 나올 것이라 생각하고.. 만약 대체복무 신청이 폭주한다면 수정이 있을 걸로 봅니다.
    당장 36개월 소집근무 정도의 안이 나왔는데 2배라 가혹하다 블라블라 하지만 국회에서 이거보다 완화된 안을 내놓지는 않을거라 보고요. 만약 신청자가 1년 수백명보다 훨씬 적더라..라면 좀 완화시킨 개정안이 나올 수도 있겠죠. 첫 시행하는 제도다 보니 어느정도 예상치를 두고 해볼 수 밖에 없는거죠. 신청자가 폭주하면 더 강화된 안이 나오고 그럴거에요.
    졸려졸려
    잘 정리해주셨네요. 처벌은 아니더라도 최소한 의무자들이 납득할수 있는 대체복무는 필요하다고 봅니다.
    1
    전 우선 사회적으로 사용하는 용어부터 거북러워요...양심적거부가 아니라 종교적 사유 거부 인것 같구요
    대체복무를 42개월(현재2배)+지뢰탐지병으로 지정하면 종교적 사유 거부자 지금에 반에 반도 안될것입니다
    이게 핵심이죠...종교적인 신념이 충만하신 분들은 감수하고 다녀오실거고
    그동안 양심적 거부자란 이름하에 숨어서 병역 이득 보려고 했던 사람들은 완전히 사라지겠죠...
    뭐 다들 알고있는 핵심 아닌가요?
    ar15Lover
    종교는 양심에 포함되는 개념이죠. 그래서 양심적 병역거부 맞습니다. 게다가 양심이라는 단어는 국내 법학계에도 널리 쓰이고 있고, 국제적으로도 쓰이는 개념이죠. 한국의 일부 사람들이 양심적 병역거부라는 단어를 거북해한다고 해서 헌법을 갈아엎을 수는 없죠.
    대박부부
    헌법을 갈아엎자고 말씀드린건 아니고 제 느낌을 말씀드린겁니다.
    국제적으로도 통용되는 용어였군요..
    ar15Lover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용어이기도 하지만, 국제적으로 양심적 병역거부 처벌 중단하라는 압박이 많이 들어오기도 했고, 대체복무 역시 복무기간을 1.5배 이상 두거나 지뢰제거 등 징벌적으로 운용해서는 안된다고 하기도 했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9 정치/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6 풀잎 19/09/15 6946 11
    842 정치/사회한일간 역사갈등은 꼬일까 풀릴까? 데이빋 캉, 데이빋 레헤니, & 빅터 챠 (2013) 16 기아트윈스 19/08/10 6428 14
    838 정치/사회경찰관 허위 초과근무와 부정수령 내부 고발자 경찰관 입니다. (인증샷 포함) 42 멈추지말자고 19/07/29 6728 53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8112 38
    825 정치/사회정전 66년 만의 만남, 2019년의 대한민국은 빚을 졌다 6 The xian 19/06/30 5550 14
    788 정치/사회제1저자, 교신저자, 학회, 자리싸움, 그리고 관행 25 烏鳳 19/04/03 6826 23
    769 정치/사회북한은 어떻게 될까 - 어느 영국인의 관점 85 기아트윈스 19/02/12 9613 79
    760 정치/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5835 19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785 35
    741 정치/사회세계1% 연구자 논란 22 제로스 18/12/06 8359 21
    739 정치/사회미국의 장애인 차별금지법과 George H. W. Bush 5 T.Robin 18/12/05 5506 6
    735 정치/사회형벌의 목적, 책임주의, 그리고 음주운전 28 烏鳳 18/11/20 6690 35
    724 정치/사회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25 Danial Plainview 18/11/04 6620 8
    720 정치/사회Case Study : 포드 핀토(Ford Pinto)에 관련한 세 가지 이야기 21 Danial Plainview 18/10/31 6516 10
    695 정치/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30 烏鳳 18/09/07 51275 85
    694 정치/사회서구사회에 보이는 성별,인종에 대한 담론 29 rknight 18/09/08 8444 23
    682 정치/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6 tannenbaum 18/08/14 9138 9
    645 정치/사회다문화와 교육 -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15 호라타래 18/06/08 7261 16
    641 정치/사회나도 노동법 알고 알바해서 인생의 좋은 경험 한번 얻어보자! 9 우주최강귀욤섹시 18/06/02 7502 25
    638 정치/사회권력과 프라이버시 32 기아트윈스 18/05/28 6146 27
    621 정치/사회픽션은 사회를 어떻게 이끄는가 (1) 13 Danial Plainview 18/04/22 6240 15
    619 정치/사회범죄의 세계 - 임대차보증금 대출사기 17 烏鳳 18/04/20 6932 21
    614 정치/사회슬라보예 지젝과 정치적 올바름 17 Eneloop 18/04/10 8055 17
    613 정치/사회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여덟 가지 생각 5 Danial Plainview 18/04/08 7012 14
    612 정치/사회미중갈등의 미래와 한국의 선택 19 Danial Plainview 18/04/08 6491 2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