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8/12/06 14:58:20수정됨
Name   제로스
Subject   세계1% 연구자 논란
1. 문제의 기사

2018. 11. 28. 중앙일보에는 제목과 같은 기사가 실렸습니다.
수학과 경력단절 여성시간강사가 연구성과 세계상위 1% 세계최고 과학자에 올랐는데
국내대학 교수임용 신청에서는 계속 탈락했다는 것입니다.
(연구성과 세계상위 1%는 논문의 피인용실적 기준)

그리고 기사는 조선영박사의 교수임용 탈락을 대한민국 학계의 '여성에 대한 편견'때문이라 규정했습니다.

https://news.joins.com/article/23161389


2. 비판 제기

그런데, 이에 대해 아주대 전자공학과 감동근 교수는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이의를 제기했습니다.
내용을 간추리면,

1) 가장 많이 인용된 논문 20편중 8편은 의/약학, 지질학의 [동명이인]의 것,
나머지 12 편중 5편은 (FPTA)라는 저널 출판.

2) 그런데 문제의 FPTA는 R. Agarwal 이라는 사람이 만들었는데 학술적 의미가 없는
논문을 심사도 제대로 안하고 막 싣는 위 저널을 만들고 이후 투고 논문 심사시
FPTA에 출판된 논문을 최대로 많이 인용하도록 요구하는 방식으로 단기간에 Impact Factor(IF)를
급등시킴.

3) 이에 분노한 학자들 중심으로 FPTA퇴출 운동이 벌어져 2014. FPTA는 SCI에서 삭제됨.

4) IF로 장사하려는 회사 농간에 언론이 부화뇌동하고 있고, 수학분야에서 IF는 무의미하다.

5) 나라면 이력서에 FPTA나 JIA논문은 지우고 지원하겠다.

라고 일갈했습니다. 즉, 문제의 세계과학자 1%드립은 부실논문장사하는 저널에 다수 실린
논문들로 부풀리기된 것이고 중앙일보 기사는 엉터리라는 것이죠.

https://www.facebook.com/kamdong/posts/2373955006009324


3. 기자의 반격

위 기사를 쓴 최준호 기자는 감동근 교수의 반박을 보고 감동근 교수에게
사이버 명예훼손, 깜방 이야기를 하며 사과를 요구하였습니다.
조선영 박사도 자신 논문의 상호인용의 불가피성과 FPTA의 아가왈 교수와 친분이 있는 것이 아님 등
사실을 바로잡겠다는 반박을 페이스북에 게시하였습니다.


4. 감동근 교수의 재반박

감동근 교수는 최준호 기자의 사과문 요구 등에 분노하였다며,
FPTA와 아가왈, 그 연관 연구자들의 실태를 밝히겠다며 상세한 내용의 근거를 제시하였습니다.

조박사와 그 지도교수 그룹은 아가왈 교수와 깊이 연관되었고
그 그룹내에서 논문 상호 인용이 반복되었으며
조박사가 투고한 논문을 조박사의 지도교수가 맡고
각 논문들이 '아가왈 헌정호' '조열제 교수(조박사의 지도교수) 정년 기념 특별호'
'모 교수 환갑 기념 특별호' 에만 실리는 등 집안잔치 수준을 벗어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아가왈 지수'라는 지수를 제안한 감동근 교수는

아가왈 본인의 지수는 0
아가왈의 공저자 지수는 1
아가왈과 공저한 적은 없으나 아가왈의 공저자와 공저한 공저자의 지수는 2
이런 식으로 평가한다는 것입니다.

전설적인 수학자 에르되시를 기준으로 한 에르되시 지수 라는 지수가 있다고 합니다. (저도 문외한이라 전설이라지만 모름)
그 지수의 개념을 아가왈 빌런 기준으로 한다는 것이죠.

그 결과 수학분야 세계1%연구자들의 아가왈 수를 찾아봤더니
무려 30%..27명의 아가왈 지수가 1 (아가왈의 공저자)
전원의 아가왈 수 평균지수는 2.23, 한다리만 건너면 아가왈과 아는 사이가 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이놈의 세계1%연구자에 선정된, 아가왈과 관계없는 멀쩡한 학자들은 빼달라고 요청을 해야할 것이라고 했죠.

https://brunch.co.kr/@dkam/11?fbclid=IwAR3GZs4NlgNlLSTrRCoVJfb-2ZrfPU-1zydD29_uokAZPUzp-KvOKHG25uE  


5. 소감

감동근 교수의 마지막 언급은 의미심장합니다.

'좋게 봐줘 취재를 엉성하게 해 논란을 자초해놓고, 근거를 갖춘 반론제기에 협박으로 대응하다가,
취재원 뒤로 숨어 그의 중3딸까지 방패막이로 삼는 기자의 행태에 분노하였다'

기자가 기자했다. 라는 말로 끝내기에는 부족한 촌극입니다.

'학계의 여성차별' 에서 '약탈적 저널에 대한 학계 부조리 폭로'로 이어지는 변화가 놀랍습니다만,
매우 흥미로운 일이었습니다. 사실 탐라에서 다른 분들이 소개해주신 이야기를 보고 정리해보았다가,
정리가 아까워 티타임에 올려봅니다.

앞으로 일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기자는 감동근 교수를 고소할 깡이 있을까요?


* 토비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8-12-19 15:25)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21
  • 팩폭 감사합니다


사나남편
중앙일보가 그렇지..ㅋㅋㅋㅋ
프로눈팅러
저게 고소가 되나요? 아무리봐도 건덕지가 없어보이는데. 저도 페북에서 감교수랑 페친이라 사건 초기부터 팔로우업 했는데, 참 어이가 없어서. 허허
과학기술계.. 의학계 기자들 수준도 처참하죠.
7
프로눈팅러
의학계는 그래도 의학전문기자라고 전문의급도 있지 않나요? 공학계에는 매경에 있던 공학박사 기자가 짜증나서 때려치고 여기저기 돌다가 다시 다른 신문사 들어간 건 봤는데.
의시의 80%가 전문의라 전문의 자체만으로 뭐 수준이 된다 말할순 없고요.. 자체적으로 아젠다세팅, 취재, 탐사 하는 수준이 거의 없다는 뜻이죠. 대부분은 보도자료무새 +a .. 아니면 사회부 데스크의 오더리 수준.
프로눈팅러
아하
근본적으로 한국 언론이 문제가 있는건 고품질 기사의 수요가 높지 않아, 그런거 쓰느니 흥미위주 기사를 쓰는게 경영적으로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보는데요, 그런 면에서 의학전문기자도 마찬가지죠. 사람들은 맘 편하게 간에는 뭐가 좋다더라 같은 소리를 듣고 작은 희망이라도 얻고 싶은데 의학기자라고 엄근진 하면서 다 근거없다~ 이딴 소리나 하면 그 신문 누가 보겠어요.
학교에서 요즘 시류에 맞는 보도자료 적당히 하나 만들어서 기사로 뿌리다 이런 사단이 난거 아닌가...

이런 합리적 의심이 듭니다 ㅋㅋㅋㅋ
2
우주최강귀욤섹시
https://news.joins.com/article/20625079

재작년 기사인데 중앙일보가 굳이 저 기자 아니더라도 예전부터 여기 꽂혀있긴 했죠 ㅋㅋㅋㅋ 누가 먼저인진 모르겠지만 경상대 수준의 학교가 중앙일보와 커넥션으로 저런 기사 내긴 어려울거고 그냥 바보들끼리 모여서 바보짓 하는줄도 모르고 거하게 삽질 한 번 한듯요.
프로눈팅러
아 참고로 몇가지 팩트를 더 알려드리면, 저 상위 1% 어쩌고 하는 건 과학기술쪽 출입기자들 사이에서는 '뭔가 이상하다'는 컨센서스가 있어 중앙일보 말고는 계속 보도를 안하던 내용이라고 하더구뇽.
5
무적의청솔모
https://www.researchgate.net/profile/Ravi_Agarwal9
아가왈이라는 분 논문이 1600개가 있으시네요. 올해 71이니 학계에 45년 있었다고 치면 한달에 3편씩 쓰신 셈;; 기자세요?
호타루
기자가 세상을 쉽게 보나 봅니다. 예전처럼 여혐이다 하면 다 동조해줄 줄 알았나. 그것도 철저하게 이론으로 무장한 사람을 상대로...
맥주만땅
논문 몇개 쓰지도 않는데 또 저 잡지에 투고 한 사람 자수하라고 연락오겠군요.
1
crowley
양놈들은 기자들도 다 글 잘 쓰고 똑똑한거같던데 왜 우리 기자들은 다 학사나부랭이에 문과충들 뿐인지
3
수요와 공급이 아닐까 합니다. 근데 그냥 국민이 미개하다고 욕하기도 힘든게 우리나라 언론역사 보면 일제시대나 군부독재 시절 탄압도 워낙 많이 당했고 문민정부 와서도 기사의 질이 아니라 사은품 껴주는걸로 경쟁하게 되는 구조고 그랬으니...
경상대 방금 뉴스에도 나오던데. 베트남, 몽고 등에서 어학연수 온 애들이 실종. 불법취업을 위한 수단으로 학교를 이용했다고 의심된다고.
학계에 있는 사람들이 성별을 구분하여 교수임용한다구요? 학문하는 사람들은 그런일이 생기면 발벗고 나서서 타파할 사람들입니다. 어떻게보면 제일 좌파적인 사람들이 학계 사람들인데 잘못 건드려도 한참 잘못건드렸죠
2
음... 그렇지는 않습니다. 오히려 가장 보수적인 곳 중 하나가 학계이죠.
실제로 교수 성비는 20%대에 머무르고 있구요
생각해보니 국내 인문학쪽으로 한정하면 그럴 수도 있겠네요. 근데 공학계나 자연학계는 전혀 그렇지 않습니다. 진짜 성과 내면 전세계에서 데려갈 곳 널렸거든요. 한국은 뭘 해도 고인물에서 서로 콩고물 나눠먹는 성향이 강해서 그런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냥 좁은 나라의 생각도 좁은 국민성인거죠
오미드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
여권신장은 이런 잘못된 헛발질로 1보 전진 3보 퇴보하는 느낌이 들어 그냥 마냥 슬프네요-_-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59 정치/사회능동적 인터넷 사용자 vs 수동적 인터넷 사용자 16 풀잎 19/09/15 6969 11
842 정치/사회한일간 역사갈등은 꼬일까 풀릴까? 데이빋 캉, 데이빋 레헤니, & 빅터 챠 (2013) 16 기아트윈스 19/08/10 6449 14
838 정치/사회경찰관 허위 초과근무와 부정수령 내부 고발자 경찰관 입니다. (인증샷 포함) 42 멈추지말자고 19/07/29 6745 53
830 정치/사회사회가 감내할 수 있는 적정비용을 찾아서 41 Fate 19/07/10 8135 38
825 정치/사회정전 66년 만의 만남, 2019년의 대한민국은 빚을 졌다 6 The xian 19/06/30 5572 14
788 정치/사회제1저자, 교신저자, 학회, 자리싸움, 그리고 관행 25 烏鳳 19/04/03 6846 23
769 정치/사회북한은 어떻게 될까 - 어느 영국인의 관점 85 기아트윈스 19/02/12 9627 79
760 정치/사회국가유공자등록거부처분취소 소송의 경험 3 제로스 19/01/18 5860 19
743 정치/사회한 전직 논술강사의 숙대 총학의 선언문 감상 40 烏鳳 18/12/11 7802 35
741 정치/사회세계1% 연구자 논란 22 제로스 18/12/06 8379 21
739 정치/사회미국의 장애인 차별금지법과 George H. W. Bush 5 T.Robin 18/12/05 5523 6
735 정치/사회형벌의 목적, 책임주의, 그리고 음주운전 28 烏鳳 18/11/20 6707 35
724 정치/사회양심적 병역 거부 무죄는 어떤 결과를 낳을까 25 Danial Plainview 18/11/04 6640 8
720 정치/사회Case Study : 포드 핀토(Ford Pinto)에 관련한 세 가지 이야기 21 Danial Plainview 18/10/31 6538 10
695 정치/사회강제추행으로 법정구속되었다는 판결문 감상 - 랴 리건.... 30 烏鳳 18/09/07 51295 85
694 정치/사회서구사회에 보이는 성별,인종에 대한 담론 29 rknight 18/09/08 8465 23
682 정치/사회넷상에서 선동이 얼마나 쉬운가 보여주는 사례 16 tannenbaum 18/08/14 9160 9
645 정치/사회다문화와 교육 - 한국, 싱가포르, 말레이시아를 중심으로 15 호라타래 18/06/08 7283 16
641 정치/사회나도 노동법 알고 알바해서 인생의 좋은 경험 한번 얻어보자! 9 우주최강귀욤섹시 18/06/02 7518 25
638 정치/사회권력과 프라이버시 32 기아트윈스 18/05/28 6160 27
621 정치/사회픽션은 사회를 어떻게 이끄는가 (1) 13 Danial Plainview 18/04/22 6258 15
619 정치/사회범죄의 세계 - 임대차보증금 대출사기 17 烏鳳 18/04/20 6952 21
614 정치/사회슬라보예 지젝과 정치적 올바름 17 Eneloop 18/04/10 8071 17
613 정치/사회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여덟 가지 생각 5 Danial Plainview 18/04/08 7030 14
612 정치/사회미중갈등의 미래와 한국의 선택 19 Danial Plainview 18/04/08 6509 23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