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4/10 23:43:13
Name   사슴도치
File #1   P1010261_vert.jpg (2.26 MB), Download : 32
Subject   [사진]주제 부각하기.


1. 들어가며

오랜만입니다. 한동안 게을러서, 그리고 또 바쁘기도 한 관계로 사진관련 글을 쓰지 못하고 있었네요. 
물론 제가 알고 있는 변변찮은 사진관련 팁들이 바닥난 것도 있구요. 오늘은 타임라인을 보다가 사진 이야기가 나와서 자기 전에 잠깐 짬을 내서 주제의 부각에 대해서 짧게 이야기해보고자 합니다.

2. 왜 내 사진은 감흥이 없지?

 카메라를 사고, 이제 나도 꽤 괜찮은 사진을 찍을 수 있을 것 같아 셔터를 들이대보지만, 결과물은 불만족스럽기만 합니다. 분명히 광고에서는 당신도 이제 작품을 찍을 수 있다고 했는데, 나에게 필요한 단 하나의 카메라라고 해서 샀더니, 사기당한 기분마저 듭니다.

 제가 처음 사진 취미를 시작했을 때 느낀 감정인데요. 사실 그래서 한동안 DSLR을 사놓고도 전혀 사용하지 않았었습니다. 물론 지금도 사진을 그다지 잘 찍는 건 아니지만, 그때의 사진을 보면 정말 오토모드/프로그램모드가 아니면 못봐줄 정도의 사진을 찍었거든요.(그때는-물론 지금도 그렇겠지만- 카메라 회사의 개발자, 프로그래머들이 나보다 사진을 더 잘 아니까 라는 생각으로 오토로만 찍었습니다)

 지나고 나서 생각해보니 이런 느낌이 드는 것은 지나치게 많은 것을 사진에 담으려고 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3. 주제의 부각

 사진을 취미로 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대부분 실수하는 지점도 이 부분입니다. 일단 카메라가 담을 수 있는 프레임 영역에 눈으로 볼 수 있는 모든 것을 담으려고 하게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모든 것을 프레임에 담다 보면, 사진의 이야기가 오히려 분산되고, 시선의 흐름을 방해하여 오히려 어떤 것도 담을 수 없는 역설적인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

  첫번째 사진은, 얼마 전에 서울 대공원에 표준화각의 단렌즈 하나만 가지고 가서 얼마나 담을 수 있는지 테스트샷으로 찍어 본 사진인데, 매우 재미 없고, 오히려 못 찍은 듯이 나왔습니다. 벚꽃사진을 찍으려고 했던 것인데, 벚꽃이 나오기는 했으나, 뒤에 있는 구조물과 알 수 없는 다른 식물들, 화면을 가로 지르는 난간 등 흉물이 많아서 주제로 찍으려고 하는 벚꽃이 부각되지 못한 것이죠.

  두번쨰 사진은 반역광 상항에서 꽃잎을 투과하는 햇빛을 찍고 싶었습니다. 빛과 꽃을 모두 찍었지만, 사실 배경으로 날려버린 꽃잎들이 조금은 어지러운 듯 합니다. 

  세번째 사진은 벚꽃 자체에 주목해서 배경을 지우고, 주제인 꽃만 부각시킨 사진입니다. 확연하게 무엇을 찍으려고 했는지가 드러나있죠.

 이처럼 주제를 어떻게 잡고, 어떤 방식으로 부각시키느냐에 따라서 사진의 느낌이 많이 달라집니다. 

4. 주제를 부각시키는 방법

 주제를 부각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화면에서 주제만을 담고 나머지를 잘라버려서, 즉 프레임 바깥으로 내보내서 주가 되는 피사체만 나오게 찍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사진이 지나치게 광각으로 나와 쓸모없는 부분이 나왔다면 과감하게 잘라버리는(크롭) 방법도 있으나, 앙리 까르띠에 브레송같은 경우에는 이와 같은 크로핑을 매우 극혐했다 하고, 사진 찍는 분들 중에는 이를 금기시할 정도로 싫어하는 분들도 있으며, 크롭할 경우 아무래도 해상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어서 경우와 취향에 맞춰 사용하는 것이 좋지 않을까 합니다.

  또한 배경이 어지러울 경우 조리개를 최대 개방하여 얕은 심도로 배경을 날려버리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매우 간편해서 많은 분들이 애용하는 방법이기도 하죠. 인물사진에 특화되어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혹은 주제가 되는 피사체의 일부만을 찍어 보이지 않는 부분을 인식의 지평선으로 넘겨버려, 인지적인 상상을 사용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예컨대 자동차의 헤드라이트만을 찍는다던가, 혹은 모 쇼핑몰의 모델사진처럼 토르소사진을 찍는다던가 하는 식이죠. 

 또는 제가 좋아하는 기법 중 하나인데 프레임 안의 프레임을 사용하여, 화면 내에 다른 프레임 안에 주제를 담아 강조하는 방법도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아울러 주제를 돋보이게 만드는 부제를 살짝 프레임에 걸치는 방법도 좋은 방법이 되겠죠. 스테이크를 찍을 때 옆에 샐러드가 살짝 보인다던가 하는 식으로 말이죠.

5. 흉물지우기

 앞선 단락의의 연장선에 있는 이야기인데, 사진의 주제가 부각되는 것을 방해하는 흉물을 지운다는 것은 좋은 사진을 찍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예컨대 사람을 찍을 때 뒤에 파란 쓰레기통이 배경으로 보인다면 시선이 쓰레기통으로 분산되어 주제를 부각시키는 것을 방해합니다.

 이와 같은 흉물은 알기 쉽게 존재하는 경우도 있으나, 지나치게 어지러운 벽이나 바닥 무늬, 하늘에 걸린 전기줄, 머리 뒤로 솟아난 전봇대 등 인식하지 못한 부분에서 발생할 수도 있으니 사진을 찍을 때는 여러 각도에서, 혹은 살짝씩 배경을 조정해가면서 여러장 찍는 것이 좋습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살펴보는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습니다(현재는 제가 적절한 예시사진이 없네요)

6. 나가며

 예전에 제가 썼던 글에 어떤 분이 사진은 덜어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다는 댓글을 달아주셨는데, 이 말이 갖고 있는 함의는 결국 주제의 부각이 아닌가 싶습니다. 스마트폰 카메라의 경우 기본적으로 광각렌즈의 성향을 가지고 있어서, 꽤 넓은 범위를 찍게 되어 너무 많은 정보량이 사진에 찍히게 되어 주제를 부각시키는 것을 방해하는 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도 해봅니다.

 처음에 사진을 찍기 시작했을 때는 구도를 어떻게 잡느냐 라는 개념으로 접근했는데, 찍다 보니 구도 안에 들어있는 소재들(주제, 부제, 흉물)을 어떻게 배치하느냐라는 관점을 갖게 되었고, 시간이 좀 더 지나자 어떻게 시야에 보이는 공간과 시간의 조각을 카메라로 잘 잘라낼 수 있겠느냐 하는 고찰포인트가 생겼던 것 같습니다.

 날씨가 점점 풀려서 꽃놀이 가기 좋은 날씨입니다. 모두들 즐거운 사진놀이 하시기를 바랍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4-24 08:05)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5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6 일상/생각딸기 케이크의 추억 56 열대어 17/03/24 5513 21
    397 과학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상실한 이유와 복귀 가능성 16 곰곰이 17/03/24 8808 15
    398 창작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5 틸트 17/03/27 5568 9
    399 일상/생각쪽지가 도착했습니다. 36 tannenbaum 17/03/27 5345 24
    400 일상/생각부쉬 드 노엘 18 소라게 17/03/28 5601 24
    401 기타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는 나라 15 烏鳳 17/03/28 6664 36
    402 일상/생각쉽게 지킬 수 있는 몇 가지 맞춤법. 25 에밀 17/03/30 5308 10
    403 꿀팁/강좌움짤을 간편하게 만들고 업로드해보자 (데이터 주의) 6 익금산입 17/04/01 8761 16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157 19
    405 게임목장이야기 : 세 마을의 소중한 친구들 리뷰 13 소라게 17/04/05 7999 7
    406 일상/생각호가호위 12 헬리제의우울 17/04/06 5953 11
    407 일상/생각김치즈 연대기: 내 반려냥이를 소개합니다 52 lagom 17/04/06 5427 33
    408 정치/사회김미경 교수 채용논란에 부쳐 194 기아트윈스 17/04/07 9459 32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243 5
    410 꿀팁/강좌원룸 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원룸 #부동산 #월세 #자취) 5 이슬먹고살죠 17/04/12 8597 7
    411 정치/사회쓰리네요 18 tannenbaum 17/04/14 6344 16
    412 과학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62 캡틴아메리카 17/04/15 14313 14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038 15
    414 체육/스포츠Elo rating으로 보는 주요 클럽들의 피크 포인트 25 구밀복검 17/04/19 7613 7
    415 요리/음식집에서 스테이크 구우면 맛이가 없는 이유 37 Morpheus 17/04/19 21693 18
    416 여행2017년 3월 여행기 1편 "그냥 박차고 일어나고 싶었을 뿐" 6 황금사과 17/04/22 5630 12
    417 정치/사회군사법원은 왜 군의 입맛에 맞게 돌아가는가. 8 烏鳳 17/04/23 6437 17
    418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프레이밍'을 알아봅시다. 2 사슴도치 17/04/25 6861 7
    419 정치/사회동성애 이슈와 팬덤정치 이야기 137 기아트윈스 17/04/26 8800 34
    420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7854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