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4/15 00:58:59
Name   캡틴아메리카
Subject   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아이들에 수학을 가르치다 보면 거의 100%의 아이들이 선생님께 꼭 물어보게 되는 질문이라고 합니다.

최근에 아이들에게 수학을 가르치는 선생님인 한 지인이 저에게 이런 질문을 자주 받는데 명쾌하게 설명하는 방법이 없냐고 그러더군요.

[정의상 그렇게 정의하는 것이 수학에서 가장 자연스러운 정의이다.] 같은 답 말고 현실적으로 아이들을 쉽게 이해시킬만 한 답이 없냐고요.

저에게는 아주 짧고도 명쾌한 답이 있습니다.

[빚이] [나갔으니까요.]



하지만, 이렇게 이야기를 해도 한 번에 이해가 되는 사람은 많이 없을 겁니다.

그런데 제 답변에서 특이한 걸 발견하지 않으셨나요? 왜 [빚이 나갔으니까요.][]를 1번만 쓰지 않고, [빚이] [나갔으니까요.][]를 2개로 분리해서 답을 했을까요?

이 답을 이해하려면 [두 가지]를 다시 한 번 명쾌하게 이해하셔야 합니다.



첫번째, [우선 곱셈이란 것이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해야 합니다.]

(먼저 몇 년 전 옆동네를 뜨겁게 달궜던 다음 글을 참고해 보세요. http://pgr21.com/?b=10&n=176684 )

[2X3과 3X2는 둘 다 6이니까 같은 것이 아니냐]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많을 겁니다.

물론 예상하셨겠지만, 제 답은 [아니오]입니다.

2X3는 2가 3번 있는 것이고, 3X2는 3이 2번 있는 것이죠.

수학은 결과 뿐만 아니라, [과정이 매우 중요한 학문]이라는 것은 누구나 아실 겁니다.

2가 3번 있는 것과 3이 2번 있는 것은 [그 과정이 매우 다른 것이죠.]

한국 사람들은 돈 문제를 가지고 다루면 더 명확하게 이해한다고 하니 돈으로 설명 해보겠습니다.

아이가 부모님께 한 달 용돈을 2만원을 받는다고 합시다. 아이가 용돈을 3달 동안 받았습니다. 그러면 아이가 3달 동안 받은 총 용돈은 2X3=6만원이죠.

하지만, 3X2는 그 내용이 달라요. 이것은 한 달 용돈이 3만원이고, 그런 용돈을 2달간 받은 것입니다.

2X3과 3X2의 결과는 모두 6이지만, 그 과정은 명백히 다른 것이에요.



두번째, [음수가 무엇인지 이해하셔야 합니다.]

역시나 돈 문제를 가지고 설명해보죠.

흔히들 돈을 가지고 있는 것을 양수라고 한다면, [빚을 가지고 있는 것을 음수라고 한다]고 생각하실 겁니다.

[땡! 틀렸습니다.]

사실 좀 더 정확하게 말하면, [반은 맞고 반은 틀렸습니다.]

음수는 [빚]만 음수인게 아닙니다. 돈이 [나간 것]도 음수입니다.

곱셈으로 설명해보겠습니다.

(-2)X3은 아이가 한 달 용돈을 받지 못 해 친구한테 빌려서 [빚이 2만원]인데, 그러한 빚이 [3달 동안 생긴 것이죠.]

2X(-3)은 아이가 한 달 동안 [용돈 2만원]을 받는데, [3달 동안 써버린 것입니다.]

즉, 하나는 [6만원의 빚]이 생긴 것, 다른 하나는 수중에서 [6만원이 나간 것]이에요.



그렇다면 음수X음수는 왜 양수? 위에서 배운 것을 종합해보면 답을 금방 알 수 있습니다.

2X3 = 6 <- 2만원의 [돈이] 3번 [들어온 것], 그래서 6만원의 [돈이] [들어온 것]

3X2 = 6 <- 3만원의 [돈이] 2번 [들어온 것], 그래서 6만원의 [돈이] [들어온 것]

(-2)X3 = -6 <- 2만원의 [빚이] 3번 [들어온 것], 그래서 6만원의 [빚이] [들어온 것]

2X(-3) = -6 <- 2만원의 [돈이] 3번 [나간 것], 그래서 6만원의 [돈이] [나간 것]

그렇다면 자연스럽게 다음 답이 나오실 겁니다.

(-2)X(-3) = 6 <- 2만원의 [빚이] 3번 [나간 것], 그래서 6만원의 [빚이] [나간 것] = 따라서 결과적으로 6만원의 [돈이] [들어온 것]



이제 여러분들도 아이들이 음수X음수는 왜 양수냐고 질문이 오면 자신있게 [빚이] [나갔으니까]라고 답해주시면 됩니다. :)



p.s. 수학도 과학이니 과학 카테고리가 맞겠죠? ㅋㅋ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4-24 08:06)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4
  • 멋집니다
  • 춫천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6 일상/생각딸기 케이크의 추억 56 열대어 17/03/24 5513 21
397 과학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상실한 이유와 복귀 가능성 16 곰곰이 17/03/24 8807 15
398 창작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5 틸트 17/03/27 5567 9
399 일상/생각쪽지가 도착했습니다. 36 tannenbaum 17/03/27 5345 24
400 일상/생각부쉬 드 노엘 18 소라게 17/03/28 5601 24
401 기타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는 나라 15 烏鳳 17/03/28 6663 36
402 일상/생각쉽게 지킬 수 있는 몇 가지 맞춤법. 25 에밀 17/03/30 5308 10
403 꿀팁/강좌움짤을 간편하게 만들고 업로드해보자 (데이터 주의) 6 익금산입 17/04/01 8761 16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157 19
405 게임목장이야기 : 세 마을의 소중한 친구들 리뷰 13 소라게 17/04/05 7999 7
406 일상/생각호가호위 12 헬리제의우울 17/04/06 5953 11
407 일상/생각김치즈 연대기: 내 반려냥이를 소개합니다 52 lagom 17/04/06 5427 33
408 정치/사회김미경 교수 채용논란에 부쳐 194 기아트윈스 17/04/07 9459 32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243 5
410 꿀팁/강좌원룸 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원룸 #부동산 #월세 #자취) 5 이슬먹고살죠 17/04/12 8597 7
411 정치/사회쓰리네요 18 tannenbaum 17/04/14 6344 16
412 과학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62 캡틴아메리카 17/04/15 14312 14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037 15
414 체육/스포츠Elo rating으로 보는 주요 클럽들의 피크 포인트 25 구밀복검 17/04/19 7613 7
415 요리/음식집에서 스테이크 구우면 맛이가 없는 이유 37 Morpheus 17/04/19 21693 18
416 여행2017년 3월 여행기 1편 "그냥 박차고 일어나고 싶었을 뿐" 6 황금사과 17/04/22 5630 12
417 정치/사회군사법원은 왜 군의 입맛에 맞게 돌아가는가. 8 烏鳳 17/04/23 6437 17
418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프레이밍'을 알아봅시다. 2 사슴도치 17/04/25 6860 7
419 정치/사회동성애 이슈와 팬덤정치 이야기 137 기아트윈스 17/04/26 8800 34
420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7854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