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7/03/27 07:20:48
Name   틸트
Subject   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나무와 덤불의 부피에 밀려 골목으로 기울어진 옆집의 벽은 어느 날 풀썩 쓰러져도 이상하지 않을 것 같았다. 동네 주민 몇이 항의했지만 옆집의 노인은 벽을 수리하지 않았다. 벽이 무너지는 게 먼저일까 아니면 그가 무너지는 게 먼저일까. 그런 생각을 하기에 나는 너무 어렸다. 지금은 그런 생각을 하기에 너무 늙었다. 옆집 벽이 어떻게 생겼는지 떠올려보려고 하지만 기억나지 않는다. 옆집에 누가 사는지 나는 알지 못한다.

동네 꼬맹이었던 나는 동네 꼬맹이들과 가끔 벽을 밀어댔다. 동네에서 유행하던 장난 중 하나였다. 기울어진 벽은 꼬맹이 몇 명이 미는 힘에도 흔들거리고는 했다. 니들 그러다 벽에 깔리면 죽어, 라고 동네 어르신들이 말했던 것 같다. 벽을 밀고 있자면 벽에 몸을 기댄 장미의 빠알간 대가리가 너울거렸다. 언젠가 그 집에 들어간 나는 너무 무서워서 오줌을 지릴 뻔했다. 장미며 목련이 흐드러진 아래로 새파란 이파리들이 빼곡했고 빼곡한 이파리들은 햇빛을 거의 완전히 차단하고 있었다. 한낮의 마당은 황혼처럼 어두웠다. 나무가지 같은 얼굴색을 한 옆집의 노인은 기괴한 표정을 지었다. 그 장면들이 생생히 기억난다는 건 거짓말이다. 나는 그가 웃었는지 혹은 얼굴을 찡그렸는지조차 기억하지 못한다. 다만 그가 웃어도 무서웠을 것이며 그가 얼굴을 찡그려도 무서웠을 것이고 나는 그의 얼굴을 무섭고 기괴하다고 기억한다.

노인의 이름은 문학. 이었다. 김문학. 글 문자에 배울 학. 어린 나도 읽을 수 있던 한자로 된 명패가 그의 집 앞에 붙어있었다. 동네 노인들은 그가 글줄 깨나 배운 사람이었다고 말하고는 했다. 골목의 한쪽 끝은 글줄 좀 배웠다는 김문학 노인이 사는 집이었고 골목의 한쪽 끝은 거지같은 동네에서 그나마 돈 좀 쓰고 힘 좀 쓴다는 사람들이 가던 보신탕집이었다. 세계의 한쪽 끝과 다른 한쪽 끝의 명확한 대비. 지금 생각해보면 나름대로 흥미로운 혹은 뻔한 대비인 것 같아 보인다. 골목이 우주를. 우주가 골목을.
노인들은 약간의 경멸과 안쓰러움을 담아서 그가 글줄 깨나 배운 사람이었다고 말했다. 모를 일이다. 그가 실패한 관료인지, 문인인지, 실패한 사업가인지, 실패한 혁명가인지. 그가 실패한 사람이라는 것은 확실하다. 글줄 깨나 배운 사람, 이라는 표현은 실패한 사람을 칭할 때만 사용되는 단어가 아닌가. 기괴한 집에서 기괴한 표정을 짓고 사는 사람이란 역시 어딘가 실패한 사람이라는 암시를 준다. 하지만 장미나 목련이 흐드러진 마당이 딸린 집에서 어딘가 실패한 것 같은 인생을 찬찬히 곰씹는 노인 정도면 나쁘지 않은 삶일 지도 모른다. 어쩌면 그는 어딘가에 실패했기에 그런 부러운 삶을 살 수 있었는지도 모른다. 물론 나는 그의 삶을 모른다. 하지만 나는 그의 죽음을 기억한다.

어느 날 그가 죽었다. 골목이 끝나고 다른 골목으로 이어지는 자리에 추어탕집이 있었다. 김문학 씨는 아무렇게나 차를 댄 추어탕집의 어느 손님에게 분개했다. 하루에 서너 번 일어나는 지긋지긋한 드잡이가 또 벌어졌고 그러다가 그가 쓰러졌다. 그리고 그는 그렇게 가버렸다. So it goes. 어쩌면 별 일 아니었다. 무너질 벽은 무너지고 갈 사람은 간다. 정말 별 일 없이 그의 죽음이 정리되었다. 그의 집 명패가 바뀌었지만 내가 읽을 수 없는 복잡한 한자였기에 김문학 씨의 아들 이름을 나는 알지 못한다. 다만 나는 김문학 씨와 드잡이를 한 사람이 탄 차를 기억한다. 기다란 지프였다. 아니, 요즘 말로는 SUV겠구나. 그때는 지프차라고 불렀다. 아무튼 그는 그렇게 무너졌다. 일종의 자연사였다. 신문에 나오지도 않고 경찰도 더는 오지 않았다. 자연사는 흔한 일이다. 반대편 옆집의 아저씨는 아줌마를 찔러 죽였는데 역시 그 시절의 그 동네에서는 일종의 자연사였던 것 같다. 그는 그렇게 가버렸다. 오래지 않아 추어탕집은 망했고, 보신탕집은 그 전에 망했다. 중요한 문제는 아닐 것이다. 사람은 죽고 추어탕집은 망한다. 그리고 때가 되면 장미와 목력이 흐드러진다. 담장 너머로 새빨간 성기를 까딱거리던 그 장미들은 올해에도 피어나겠지. 벽은 지금쯤 무너졌을까?

추어탕이 먹고 싶은데, 라는 생각을 하다가 옛 동네가 떠올랐고 그러다 김문학씨가 떠올랐다. 목련도 장미도 아직 피지 않은 계절이지만. 조금만 더 기다리면 목련도 장미도 피어날 계절이지만. 그런 건 아무래도 좋은 시절이지만. 그래도 김문학씨가 떠올랐고, 쓴다.



-

저녁부터 이유없이 추어탕이 땡기는데 배는 고프고 가끔 시켜먹는 24시간 중국집은 업장 사정으로 배달을 안 하고 밥을 해먹기는 귀찮고 덕분에 막걸리로 배채우고 자려다가 잠이 안와서 손과 이미지가 떠오르는 대로 씁니다. 픽션입니다.

* 수박이두통에게보린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7-04-10 14:48)
* 관리사유 : 추천 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9
  • 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396 일상/생각딸기 케이크의 추억 56 열대어 17/03/24 5513 21
397 과학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상실한 이유와 복귀 가능성 16 곰곰이 17/03/24 8807 15
398 창작옆집에는 목련이며 장미가 흐드러지게 피었다 5 틸트 17/03/27 5567 9
399 일상/생각쪽지가 도착했습니다. 36 tannenbaum 17/03/27 5345 24
400 일상/생각부쉬 드 노엘 18 소라게 17/03/28 5601 24
401 기타인간에 대한 예의를 지키지 않는 나라 15 烏鳳 17/03/28 6664 36
402 일상/생각쉽게 지킬 수 있는 몇 가지 맞춤법. 25 에밀 17/03/30 5308 10
403 꿀팁/강좌움짤을 간편하게 만들고 업로드해보자 (데이터 주의) 6 익금산입 17/04/01 8761 16
404 의료/건강성중독에 관하여 몇마디 하고 싶어 적습니다. 12 민지 17/04/04 7157 19
405 게임목장이야기 : 세 마을의 소중한 친구들 리뷰 13 소라게 17/04/05 7999 7
406 일상/생각호가호위 12 헬리제의우울 17/04/06 5953 11
407 일상/생각김치즈 연대기: 내 반려냥이를 소개합니다 52 lagom 17/04/06 5427 33
408 정치/사회김미경 교수 채용논란에 부쳐 194 기아트윈스 17/04/07 9459 32
409 꿀팁/강좌[사진]주제 부각하기. 15 사슴도치 17/04/10 5243 5
410 꿀팁/강좌원룸 구할 때 고려해야 할 것 (#원룸 #부동산 #월세 #자취) 5 이슬먹고살죠 17/04/12 8597 7
411 정치/사회쓰리네요 18 tannenbaum 17/04/14 6344 16
412 과학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62 캡틴아메리카 17/04/15 14313 14
413 꿀팁/강좌국립중앙박물관에 가 보세요! 34 열대어 17/04/16 7037 15
414 체육/스포츠Elo rating으로 보는 주요 클럽들의 피크 포인트 25 구밀복검 17/04/19 7613 7
415 요리/음식집에서 스테이크 구우면 맛이가 없는 이유 37 Morpheus 17/04/19 21693 18
416 여행2017년 3월 여행기 1편 "그냥 박차고 일어나고 싶었을 뿐" 6 황금사과 17/04/22 5630 12
417 정치/사회군사법원은 왜 군의 입맛에 맞게 돌아가는가. 8 烏鳳 17/04/23 6437 17
418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프레이밍'을 알아봅시다. 2 사슴도치 17/04/25 6861 7
419 정치/사회동성애 이슈와 팬덤정치 이야기 137 기아트윈스 17/04/26 8800 34
420 꿀팁/강좌[사진]인물 사진의 기초 - '앵글'을 알아봅시다. 14 사슴도치 17/04/26 7854 8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