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9/02/26 21:47:52 |
Name | droysen |
Subject | 유튜브 영상을 위한 마이크 추천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외국에서 역사를 전공하고 있는 대학원생입니다. 요근래 짬이 날때 역사를 주제로 한 영상을 유튜브에 올려볼까 생각중인데, 핸드폰이나 컴퓨터에 기본으로 달려있는 마이크로 녹음을 해보니 영 음질이 별로인 것 같아서요. 혹시 목소리 녹음하기에 적합한 마이크를 알아보려면 어떤 사양?을 우선으로 찾아봐야하는지 가르쳐주실수 있나요? 미리 감사드립니다 꾸벅. 0
|
최근에 데프콘 형님이 트위치 방송 시작하면서 산 장비들을 소개시켜주신 영상이 있는데
https://youtu.be/2tDhkPO3crI
요기 영상을 한 번 보시고 참고하심 좋을 것 같아요.
데프콘 형님이 가성비 잘 따지시고 해외직구로 구매하신거라 외국에서 구매하시기도 편할 것 같아요.
https://youtu.be/2tDhkPO3crI
[데프콘TV] 역대급! 완전 싸게샀어요! 트위치용 방송장비!! 이제 라이브도 곧 할꺼양~
요기 영상을 한 번 보시고 참고하심 좋을 것 같아요.
데프콘 형님이 가성비 잘 따지시고 해외직구로 구매하신거라 외국에서 구매하시기도 편할 것 같아요.
마이크가 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로 (대략) 나누어져있는건 알고 계신가요?
잘 모르신다면 유튭에 홈 레코딩 스튜디오 혹은 유투버를 위한 레코딩 가이드 등을 치면
많은 분들이 가이드 영상을 올려 놓으셨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이나믹 마이크는 마이크 + XLR to 3.5mm등 케이블만 있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통 우리가 노래방에서 쓰는 마이크와 같습니다. 무전원이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수음력(마이크가 소리를 모으는 능력)이 비교적 낮고, 우리가 흔히 기대하는 해상도(화질처럼음질)만큼 나오진 않습니다.그렇지만 반대로 레코딩 스튜디오 같은... 더 보기
잘 모르신다면 유튭에 홈 레코딩 스튜디오 혹은 유투버를 위한 레코딩 가이드 등을 치면
많은 분들이 가이드 영상을 올려 놓으셨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이나믹 마이크는 마이크 + XLR to 3.5mm등 케이블만 있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통 우리가 노래방에서 쓰는 마이크와 같습니다. 무전원이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수음력(마이크가 소리를 모으는 능력)이 비교적 낮고, 우리가 흔히 기대하는 해상도(화질처럼음질)만큼 나오진 않습니다.그렇지만 반대로 레코딩 스튜디오 같은... 더 보기
마이크가 다이나믹 마이크와 콘덴서 마이크로 (대략) 나누어져있는건 알고 계신가요?
잘 모르신다면 유튭에 홈 레코딩 스튜디오 혹은 유투버를 위한 레코딩 가이드 등을 치면
많은 분들이 가이드 영상을 올려 놓으셨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이나믹 마이크는 마이크 + XLR to 3.5mm등 케이블만 있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통 우리가 노래방에서 쓰는 마이크와 같습니다. 무전원이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수음력(마이크가 소리를 모으는 능력)이 비교적 낮고, 우리가 흔히 기대하는 해상도(화질처럼음질)만큼 나오진 않습니다.그렇지만 반대로 레코딩 스튜디오 같은 환경이나 집안에 이와 비슷한 장비를 갖추지 않았을 때는 잡음(주변기기로부터 혹은 도로에서 나는 소음)이 녹음될 수 있기에 오히려 선호하기도 합니다.요즘은 잘 모르겠는데 과거에는 Shure(슈어)사의 제품이 인기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SM-58 같은 모델이 대중적이었던 것으로...
콘덴서 마이크는 유전원이기 때문에 보통 콘덴서마이크+ 케이블 -> 오디오 인터페이스(전력공급및오디오관련처리프로세서)->PC형태로 연결됩니다.따라서 마이크 말고도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 구성시 다소 비용이 나오는 편입니다.저도 오디오인터페이스+MXL 990모델로 대략 20만원쯤에 구성했습니다.제가 전에 홍차넷에 테스트 파일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https://soundcloud.com/wdziw9mv1elu/test UMC204HD 오디오인터페이스 + MXL 990 + 팝필터 조합입니다.
다만 중고장터에 자주 매물이 출몰하기 때문에 잠복하셨다가 구하시면 싸게 구할 수 있습니다.
수음력과 해상도 모두 좋은 경우가 많기에 적절한 세팅(소프트웨어)만 하면 개인도 상당한 품질의 작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테스트할 때는 특별한 세팅없이 그냥 녹음만 했습니다.
다른 분들이 추천하시는 USB 콘덴서 마이크는 콘덴서마이크의 단점을 극복한 컨셉입니다.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필요없이 내부 승압회로를 통해 5V USB전원 입력만으로 마이크를 사용가능하게 합니다. 마이크와 마이크에 연결된 케이블을 USB포트에 꽂으면 끝인 형태이죠.간편하면서도 음질이 좋은 편에 속하기에 입문자분들께 추천합니다만 향후 업그레이드가 어렵고, 저렴한 가격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까지 우겨넣다보니 품질이 안좋은 경우도 많아서 주의하시길 바랄께요.
잘 모르신다면 유튭에 홈 레코딩 스튜디오 혹은 유투버를 위한 레코딩 가이드 등을 치면
많은 분들이 가이드 영상을 올려 놓으셨습니다.
기본적으로 다이나믹 마이크는 마이크 + XLR to 3.5mm등 케이블만 있으면 바로 사용이 가능합니다.
보통 우리가 노래방에서 쓰는 마이크와 같습니다. 무전원이기 때문에 사용이 간편하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습니다.
다만 수음력(마이크가 소리를 모으는 능력)이 비교적 낮고, 우리가 흔히 기대하는 해상도(화질처럼음질)만큼 나오진 않습니다.그렇지만 반대로 레코딩 스튜디오 같은 환경이나 집안에 이와 비슷한 장비를 갖추지 않았을 때는 잡음(주변기기로부터 혹은 도로에서 나는 소음)이 녹음될 수 있기에 오히려 선호하기도 합니다.요즘은 잘 모르겠는데 과거에는 Shure(슈어)사의 제품이 인기 많았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SM-58 같은 모델이 대중적이었던 것으로...
콘덴서 마이크는 유전원이기 때문에 보통 콘덴서마이크+ 케이블 -> 오디오 인터페이스(전력공급및오디오관련처리프로세서)->PC형태로 연결됩니다.따라서 마이크 말고도 비용이 발생하기 때문에 환경 구성시 다소 비용이 나오는 편입니다.저도 오디오인터페이스+MXL 990모델로 대략 20만원쯤에 구성했습니다.제가 전에 홍차넷에 테스트 파일을 올린 적이 있습니다.
https://soundcloud.com/wdziw9mv1elu/test UMC204HD 오디오인터페이스 + MXL 990 + 팝필터 조합입니다.
다만 중고장터에 자주 매물이 출몰하기 때문에 잠복하셨다가 구하시면 싸게 구할 수 있습니다.
수음력과 해상도 모두 좋은 경우가 많기에 적절한 세팅(소프트웨어)만 하면 개인도 상당한 품질의 작품을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제가 테스트할 때는 특별한 세팅없이 그냥 녹음만 했습니다.
다른 분들이 추천하시는 USB 콘덴서 마이크는 콘덴서마이크의 단점을 극복한 컨셉입니다.오디오 인터페이스가 필요없이 내부 승압회로를 통해 5V USB전원 입력만으로 마이크를 사용가능하게 합니다. 마이크와 마이크에 연결된 케이블을 USB포트에 꽂으면 끝인 형태이죠.간편하면서도 음질이 좋은 편에 속하기에 입문자분들께 추천합니다만 향후 업그레이드가 어렵고, 저렴한 가격에 오디오 인터페이스까지 우겨넣다보니 품질이 안좋은 경우도 많아서 주의하시길 바랄께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