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18/09/29 20:01:02수정됨
Name   파랑새의나침반
Subject   니체에 대한 비판은 무엇이 있습니까? 니체를 비판한 철학자는 무엇이 있습니까?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홍차의오후
먼저 사족부터 달게요. 게오르그 루카치(죄르지 루카치)의 책은《소설의 이론》, 《미학》, 《역사와 계급의식》,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등 그냥 아무 인터넷 서점에만 가도 여럿 나오는데 왜 번역본이 없다고 하셨을까요.

지난 번에 다른 글에 어떤 분이 말씀하셨지만 지금 느끼고 계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철학은 적절한 도구가 아닌 것 같아 보여요. 너무 논리(또는 패턴일까요)를 파고들지 마셔요. 굳이 라캉을 소환해서 말하자면 상징계(쉽게 말해 인지 가능하고 정립되었다고 보이는 세상)는 결여(다시 쉽게 말해 어긋난 곳 또는 세계의 내적... 더 보기
먼저 사족부터 달게요. 게오르그 루카치(죄르지 루카치)의 책은《소설의 이론》, 《미학》, 《역사와 계급의식》,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등 그냥 아무 인터넷 서점에만 가도 여럿 나오는데 왜 번역본이 없다고 하셨을까요.

지난 번에 다른 글에 어떤 분이 말씀하셨지만 지금 느끼고 계신 문제를 해결하는 데 철학은 적절한 도구가 아닌 것 같아 보여요. 너무 논리(또는 패턴일까요)를 파고들지 마셔요. 굳이 라캉을 소환해서 말하자면 상징계(쉽게 말해 인지 가능하고 정립되었다고 보이는 세상)는 결여(다시 쉽게 말해 어긋난 곳 또는 세계의 내적 논리로는 해소되지 않는 질문)를 품고 있어요. 괴델의 불완전성 정리까지 갈 것도 없이, 세상의 모든 것이 논리로 다 파악되지도 않는데다 어느 지점에서는 결국 믿음의 도약을 필요로 합니다.

앞의 니체 이론에 던진 세 질문의 답을 찾으시는 건지, 아니면 니체 비판서를 읽고 싶으신 건지 알려주시면 어느 정도 선에서는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
4
원래 철학자의 저술은 본인이 아무리 떨치려해도 현상학적일 수밖에 없고(현상학의 성격을 생각해보면 너무 당연한 이야기일까요.), 현상학은 역시 그 창시자가 아무리 배제하려했어도 심리주의의 가장 극단적인 면만을 쫓으니까요. 순환논증으로 보신다면 순환논증이 맞습니다(니체야 본인이 개념의 철저한 논증에 별 신경을 쓰지 않았다지만 아주 심각하게 신경을 썼던 헤겔만 봐도 자기가 앞서 전제했던 바를 은근슬쩍 뒤엎는 논지 전개가 왕왕 튀어나오죠.). 단지 그 호弧에 깃든 (인)문학적 상상력에 당대와 후대의 학자들이 매혹되었을 뿐입니다. 어쩌면 니... 더 보기
원래 철학자의 저술은 본인이 아무리 떨치려해도 현상학적일 수밖에 없고(현상학의 성격을 생각해보면 너무 당연한 이야기일까요.), 현상학은 역시 그 창시자가 아무리 배제하려했어도 심리주의의 가장 극단적인 면만을 쫓으니까요. 순환논증으로 보신다면 순환논증이 맞습니다(니체야 본인이 개념의 철저한 논증에 별 신경을 쓰지 않았다지만 아주 심각하게 신경을 썼던 헤겔만 봐도 자기가 앞서 전제했던 바를 은근슬쩍 뒤엎는 논지 전개가 왕왕 튀어나오죠.). 단지 그 호弧에 깃든 (인)문학적 상상력에 당대와 후대의 학자들이 매혹되었을 뿐입니다. 어쩌면 니체는 저러한 저술의 성격을 누구보다 먼저 간파한 저술가 중 한 사람일 겁니다. 그러니 철저하고 단단한 논증을 구축하기보다 모호한 아포리즘을 그렸지요. 꼭 보르헤스가 프루스트나 조이스 식의 사변소설을 비웃으며 짤막한 모험 소설을 쓴 것처럼 말이죠.

니체가 속한 대륙철학의 전통에서 [철학자 a에 대한 비판]이란 보통 다음과 같은 뜻을 가집니다.

1. a의 개념틀을 빌려서 a와는 다른 자기 주장을 하고 싶다.
2. (a의 논증 과정에서 유추할 수 있는 a의 주장과 좀 동떨어졌더라도) a가 표상하는(혹은 표상한다고 비판자가 생각하는) 가치관을 부정하고 싶다.

니체는 2에 해당하겠죠.

우선 니체 이후의 대륙철학의 조류 중 그 개념틀이나 자기 철학의 전개 방식에 있어서 니체의 영향을 받았으면서도 니체가 가리키던 지점을 부정하지 않은 학자들이 있었어요. 흔히 포스트 모더니즘이라고 말하는 사람들이요. 그들은 니체의 주장을 계승하되 그 개념틀과 표현 양식을 달리해서 자기 철학을 전개했으니 니체를 비판할 이유가 없었지요. 포스트모더니즘을 비판하려는 학자들도 당연히 있었지만 그들도 니체를 비판하지는 않았습니다. 자기 저서를 하나 바칠 만큼 다른 철학자의 저술을 비판한다는 건 아주 공이 많이 드는 작업인데요. 기왕에 비판할 거라면 철두철미한 논증 체계를 갖춘 후대의 철학자를 비판하는 게 낫죠. 맑스가 헤겔에게 그런 것처럼 비판자 입장에서도 자기 체계를 쌓을 수 있고 보일 수 있으니까요.(베르그송이 지금보다 중요한 이름으로 다뤄지던 시절에도 베르그송에 대한 비판이 별로 없었던 것도 같은 이유입니다.). 한편 현상학 전통에 속한 학자들은 인식, 윤리/도덕, 신앙 등의 주제에 대한 전대 서양철학의 접근에 미진함을 느꼈으며 그들 자신이 '현상학'이란 틀로 진정한 형이상학과 신학을 재구성할 야망을 품고 있었기 때문에 니체를 비판할 필요를 느끼지 못했어요. 무엇보다 니체를 체계화하여 지금과 같이 신화화한 장본인이 현상학 계보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하이데거기도 했거든요.
2
https://redtea.kr/?b=3&n=1701

[대륙철학에서의 비판]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가 더 궁금하시다면 이 글도 도움이 될 거 같네요.
3
파랑새의나침반
님의 의도와는 전혀 관련이 없게 되었지만
홍차넷에서의 비판이 어떤 식으로 이루어지는지를 보는 것 같네요.

저는... 어떤 다른 것을 찾으려고 했어요. 힘듭니다.

찾고 싶어서 이 쪽에도 오게 된 것이예요.
이것이 정말 이곳을 잘 비추는 것이라면 격에 맞지 않은 존댓말뿐
사람들은 다른 곳보다도 더 좁은 곳에 갇혀 있는 것 아닌지 궁금해집니다.
그럼 대륙철학에 기반한 신학처럼 결국 현상학으로 수렴되는 주제에서는 관심을 끊으시는 게 맞을 거예요. 그리고 ㅎㅎ 님의 생각이 제 의도와 별로 다르지는 않을 겁니다. 저도 저런 인문학의 양상이 별로 즐겁고 유쾌하지는 않았으니까요. 결국 제가 공부를 업으로 삼지 않았던 것도 그와 비슷하다면 비슷할 이유겠네요
1
알료사
쩝.. 보고 싶은 닉네임들 많이 보이네요.. ㅜㅠ
아, 그리고 루카치의 저술은 홍차의 오후님 말씀처럼 대한민국에서 충분히 구할 수 있습니다. 구할 수 있는 정도가 아니라 문학 전공인 학생이라면 신입생 때부터 학부 내내 그 이름만 듣다가 졸업하기도 하고요. 님께서 인용 문구로 보셨다는 루카치의 원저는 아마 이성의 파괴일 겁니다.
2
http://rienyoung.tistory.com/entry/20023440375

그리고 아마 파랑새의나침반님에게 가장 도움이 될 글이 아닌가 싶어 링크합니다. 아쉽게도 레만의 저서는 국내에 번역은 아니되었습니다. 다만 앞서 말했듯 정작 이런 분석적인 접근은 대륙철학에서 그다지 중시되는 흐름이 아니라서요. 레만은 들뢰즈가 니체를 왜곡해 자기 철학을 정당화했다고 하는데... 들뢰즈가 니체를 의도적으로 왜곡한 건 맞지만 그게 딱히 자기 철학... 더 보기
http://rienyoung.tistory.com/entry/20023440375

그리고 아마 파랑새의나침반님에게 가장 도움이 될 글이 아닌가 싶어 링크합니다. 아쉽게도 레만의 저서는 국내에 번역은 아니되었습니다. 다만 앞서 말했듯 정작 이런 분석적인 접근은 대륙철학에서 그다지 중시되는 흐름이 아니라서요. 레만은 들뢰즈가 니체를 왜곡해 자기 철학을 정당화했다고 하는데... 들뢰즈가 니체를 의도적으로 왜곡한 건 맞지만 그게 딱히 자기 철학의 정당화를 위해서는 아닐 겁니다. 그보다는 니체의 철학을 (들뢰즈가 생각하기에)보다 발전시켰다는 게 맞겠죠. 그 발전의 동기라면 어떤 정치적인 의도보다는 차라리 훈고학적, 수사학적, 심미적인 의도였다는 게 더 진실에 가까울 거고요.

그외에 루카치와 좀 다른 맥락이긴 한데 하버마스도 니체를 비판하기는 했습니다. 다만 이건 제가 직접 읽은 게 아니라 맥락을 간추린 다른 논문을 읽었던 거고 그 맥락조차 제가 위에서 말한 [비판의 1과 2]가 오묘하게 뒤섞였다보니 님께서 찾으실 대답 같지는 않네요.
2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5682 4
16970 의료/건강탈장 수술 관련, 알레르기 문제와 대형병원 진료 절차. 4 + Sensorylab 25/08/30 276 0
16969 IT/컴퓨터해외에서 쿠플을 봐야 하는 상황인데 조언을 구합니다. 13 당근매니아 25/08/29 405 1
16968 기타중고차로 첫 차 구매 8 은하꾸리 25/08/27 449 0
16967 가정/육아20만원 내외 돌 유아용 그림책선물 7 kaestro 25/08/27 261 0
16966 의료/건강선생님들 심장쪽이 아픈데요. 1 활활태워라 25/08/27 331 0
16965 기타프라모델용 도구 추천해 주세요 6 오쇼 라즈니쉬 25/08/27 205 0
16964 기타책 추천을 받고 싶습니다. 24 쉬군 25/08/27 504 0
16963 기타길에 떨어진 돈을 보았습니다. 4 나만한 고양이 25/08/25 535 0
16962 법률내일 부모님 모시고 법원에 갑니다 11 거소 25/08/25 729 1
16961 여행갤럭시 esim활성화 6 치즈케이크 25/08/25 424 0
16960 게임TFT 증강선택? 보는법 10 토비 25/08/24 376 0
16959 의료/건강담관 내시경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2 눈팅중 25/08/24 251 0
16958 경제조직검사 결과통보전에 암보험을 보강/가입 해야될까요..? 6 [익명] 25/08/24 703 0
16957 기타타이어 교체 질문 5 방사능홍차 25/08/23 309 0
16956 기타자전거를 새로 샀는데 1단과 6단이 안됩니다 3 2025 25/08/22 511 0
16955 IT/컴퓨터구글원 요금제 ->구글 AI 요금제 업그레이드? 6 Picard 25/08/22 534 0
16954 의료/건강신발 문의 드립니다 11 2025 25/08/22 403 0
16953 문화/예술노래에서 표절의 기준 1 물리물리 25/08/21 360 0
16952 의료/건강부종에 좋은 발 받침대 추천 요청 7 anna_K 25/08/21 347 0
16951 의료/건강건강검진 결과입니다. 추가적 진료 및 치료가 필요할까요? 21 호미밭의파스꾼 25/08/21 756 3
16950 기타오프라인으로 할수 있는 모바일게임? 17 치즈케이크 25/08/20 629 0
16949 기타레이, 비슷한 차급의 경차를 타시는 분들 계실까요? 8 메리메리 25/08/20 613 0
16948 여행기내용 메모리폼 목베개를 아예 의료용 경추부목으로 사는 건 어떨까요 7 2025 25/08/19 543 0
16945 기타올해 입사한 신입인데 아직도 계속 혼나면서 적응을 못하는 것 같아요.. 29 [익명] 25/08/17 130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