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11/29 00:15:45 |
Name | 모선 |
Subject | 가상화폐 시장이 미쳐(?) 돌아가는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얼마전 티타임 게시판에 코라진이라는 글을 썼던 개미입니다. 저의 자세한 상황은 그 글에 낱낱이 다 썼으니 생략하겠습니다. 웬만하면 X버(배틀그라운드 용어)를 하려고 했으나, 제 상식을 뛰어넘는 상황이 그렇게 두지 않네요. 비트코인이랑 이더리움클래식이 어제랑 오늘에 걸쳐서 또 미친듯이 폭등하더군요. 특히 이더리움클래식의 상승률이 비트코인캐시 280만 찍던 그 날을 생각하게 만들더군요. 그래서 여기에 투자했던 것들은 전부 매도했습니다. 이제는 진짜 폭락할 것 같았거든요. 그런데 웃긴 점은 제가 매도를 한 뒤에도 계속 오르더군요. 돈을 더 벌 수 있었는데, 못 벌었다 그런 안타까움은 별로 없습니다. 이미 숱하게 경험해 봐서 그런가 봅니다 ㅠㅠ 그냥 질문이 생겨서 몇 자 적습니다. 1) 대체 이 판에는 자본들이 왜 계속 밀려 들어오죠? 가치가 유망합니까? 아니면 그냥 이게 대세라서 물밑듯이 돈이 들어오는 건가요? 2) 옆동네 유게에서 신라젠 근황을 읽었습니다. 그것만 봐도 비트코인이나 이더리움 클래식은 이제 폭락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누군가 보이지 않는 손이 계속 그 판을 쥐고 있는 것일까요? 진짜 무슨 영향으로 계속 최고점을 유지하는건지 모르겠습니다. p.s. 행여나 투기장, 도박판 유도글로 읽힌다면 삭제하겠습니다. 저는 솔직히 이 판이 무섭습니다. 여기는 상식이 적용되지 않는 판 같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모선님의 최근 게시물
|
아뇨. 국내는 거래소자체도 생긴지 얼마안됐으니...전 야동보느라 몇년전에 일본에서 비트코인 샀었는데, 그때 일본내 검은돈이 가치를 확 밀어올렸었어요. (AV제작사 등이 관여했다는 얘기가 있긴한데 이건 확실치않은...) 가치상승에 주목한 일본은행이 여기에 관여해서 일종의 금융상품으로 보기 시작했고요.아마 일본은 은행이 직접 투자도 할거에요. 거래소 수수료도 은행이 가져가는거 같고요.
그즈음부터 이더리움이니 뭐니 등장했던거 같아요. 전 그런거 있는줄도 몰랐는데 중국에서 엄청 채굴붐이 불고 그랬다더라고요. 그런거 보면 비트코인 초창기때랑 비슷해보입니다.
그즈음부터 이더리움이니 뭐니 등장했던거 같아요. 전 그런거 있는줄도 몰랐는데 중국에서 엄청 채굴붐이 불고 그랬다더라고요. 그런거 보면 비트코인 초창기때랑 비슷해보입니다.
그냥 겪어본대로 얘기를 해드리겠습니다.
1) 돈 되는 곳에 자금이 쏠리는거고 그 자금이 현재 한국 거래소에 많이 집중되어있습니다. 외국인들도 한국 거래소를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빗썸의 경우 만해도 대략 6개언어로 서비스 중인걸로 나옵니다.
2) 비트코인은 계속 뭔가 증식하고 있습니다. 다이아, 플래티넘... 더 나올 수도 있구요. 이클도 마찬가지로 하드포크 예정입니다. 본래는 하드포크 후 그 전 체인이 버려져야 하는데 이게 살짝 코드 바꾸는 정도로 “우린 더 좋다”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클과 비캐 때문에 이런 증분된 코인을 거래소에선 계속 지급/상장 해야하고 그게 또 세력의 힘을 입어 펌핑 되고 그러고 있습니다.
1) 돈 되는 곳에 자금이 쏠리는거고 그 자금이 현재 한국 거래소에 많이 집중되어있습니다. 외국인들도 한국 거래소를 많이 이용한다고 합니다. 빗썸의 경우 만해도 대략 6개언어로 서비스 중인걸로 나옵니다.
2) 비트코인은 계속 뭔가 증식하고 있습니다. 다이아, 플래티넘... 더 나올 수도 있구요. 이클도 마찬가지로 하드포크 예정입니다. 본래는 하드포크 후 그 전 체인이 버려져야 하는데 이게 살짝 코드 바꾸는 정도로 “우린 더 좋다”라고 주장하기도 합니다. 이클과 비캐 때문에 이런 증분된 코인을 거래소에선 계속 지급/상장 해야하고 그게 또 세력의 힘을 입어 펌핑 되고 그러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본 블로그 글인데요, 금이랑 비교한 점이 재미있었습니다. 그렇으면 앞으로도 한동안 상승세?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ndizio&logNo=221143584884&proxyReferer=http%3A%2F%2Fm.blog.naver.com%2Findizio
https://m.blog.naver.com/PostView.nhn?blogId=indizio&logNo=221143584884&proxyReferer=http%3A%2F%2Fm.blog.naver.com%2Findizio
1) 글로벌하게 말씀이신지 한국 한정 말씀이신지는 모르겠는데
글로벌하게 보면 아직 다른 시장(주식, 채권, 선물 등등)에 비해서 규모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성장세는 무섭습니다만... 그래서 자금이 더 들어올 여지가 있습니다
한국 한정으로는, 요즘 투자처가 없어서 유동 자금이 밀려들어온다고...
2) 비트는 전에도 탐라에 몇 번 적었지만, 최초라는 점, 암호화폐의 기축통화 역할을 한다는 점, 암호화폐 중에서 그나마 실물경제랑 가장 연관되어 있고 가장 탈중앙화된 암호화폐이기 때문에 만약 망한다고 해도 가장 뒤에 망할 겁니다 ... 더 보기
글로벌하게 보면 아직 다른 시장(주식, 채권, 선물 등등)에 비해서 규모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성장세는 무섭습니다만... 그래서 자금이 더 들어올 여지가 있습니다
한국 한정으로는, 요즘 투자처가 없어서 유동 자금이 밀려들어온다고...
2) 비트는 전에도 탐라에 몇 번 적었지만, 최초라는 점, 암호화폐의 기축통화 역할을 한다는 점, 암호화폐 중에서 그나마 실물경제랑 가장 연관되어 있고 가장 탈중앙화된 암호화폐이기 때문에 만약 망한다고 해도 가장 뒤에 망할 겁니다 ... 더 보기
1) 글로벌하게 말씀이신지 한국 한정 말씀이신지는 모르겠는데
글로벌하게 보면 아직 다른 시장(주식, 채권, 선물 등등)에 비해서 규모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성장세는 무섭습니다만... 그래서 자금이 더 들어올 여지가 있습니다
한국 한정으로는, 요즘 투자처가 없어서 유동 자금이 밀려들어온다고...
2) 비트는 전에도 탐라에 몇 번 적었지만, 최초라는 점, 암호화폐의 기축통화 역할을 한다는 점, 암호화폐 중에서 그나마 실물경제랑 가장 연관되어 있고 가장 탈중앙화된 암호화폐이기 때문에 만약 망한다고 해도 가장 뒤에 망할 겁니다 (물론 어떤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인해 이 상황이 변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아직까지의 전망은 그렇습니다)
이클은 실은 그냥 투기라고 보셔야... 이더는 계속 개선이 되고 있고 문제점을 수정해나가고 있는데 이클은 아직도 하드포크 당시의 기술 그대로라고 하죠. 이더를 오프라인에서 받는 날이 오더라도 이클은 안 받을 걸요...? 이더도 아직 콩라인에서 허덕이는데 이클은 그저 대놓고 나는 돈 계속 먹겠다는 심산으로 만들어진 코인이라 -_- 한계가 명확한 암호화폐입니다
글로벌하게 보면 아직 다른 시장(주식, 채권, 선물 등등)에 비해서 규모가 그렇게 크지는 않습니다. 성장세는 무섭습니다만... 그래서 자금이 더 들어올 여지가 있습니다
한국 한정으로는, 요즘 투자처가 없어서 유동 자금이 밀려들어온다고...
2) 비트는 전에도 탐라에 몇 번 적었지만, 최초라는 점, 암호화폐의 기축통화 역할을 한다는 점, 암호화폐 중에서 그나마 실물경제랑 가장 연관되어 있고 가장 탈중앙화된 암호화폐이기 때문에 만약 망한다고 해도 가장 뒤에 망할 겁니다 (물론 어떤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인해 이 상황이 변할 수는 있겠습니다만 아직까지의 전망은 그렇습니다)
이클은 실은 그냥 투기라고 보셔야... 이더는 계속 개선이 되고 있고 문제점을 수정해나가고 있는데 이클은 아직도 하드포크 당시의 기술 그대로라고 하죠. 이더를 오프라인에서 받는 날이 오더라도 이클은 안 받을 걸요...? 이더도 아직 콩라인에서 허덕이는데 이클은 그저 대놓고 나는 돈 계속 먹겠다는 심산으로 만들어진 코인이라 -_- 한계가 명확한 암호화폐입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