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7/09/11 09:50:26 |
Name | 콩자반콩자반 |
Subject | 사람이 총말고 창이나 칼끼고 싸우면 어느동물까지 맞다이 가능할끼요? |
1:1 꼭 투척하지말더라도 창으로 거리재며 싸우면 왠만한 동물 다 이길거 같은데... 당연히 갓끼리,갓뿔소 뭐 이런 헤비급들말고요. 호랑이나 곰도 안될거같고 호랑이 냥냥펀치에 창 쳐내면 창든 몸까지 휘청이다 바로 끔살당할듯.. 아니 그냥 호랑이가 달려들면 창 에임도 못맞추고 죽을듯.. 그냥 유투브 보다가 곰이 창맞고 쉽게 죽는거같아 궁금증이 돋았습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콩자반콩자반님의 최근 게시물
|
뭐 이런 동영상 찾으시나요?
https://www.youtube.com/watch?v=pNeNTMmltyc
https://www.youtube.com/watch?v=826HMLoiE_o
애초에 인간은 1:1 맞다이에 특화된 동물이 아닌 것으로 압니다. 인간이 다른 동물들보다 우월한 점은 지능과 도구 사용과 언어를 통한 협동과 지구력 정도밖에는 없지요. 원시 시대 인간의 사냥법은 여럿이 떼를 지어 한 놈을 골라 지칠 때까지 몰아넣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창 같은 것으로 막타를 때리는 것이죠. 동물이 창에 찔려 쉽게 죽는 것처럼 보인다면, 아마 그 전에 인간 사냥꾼이 그 동물의 체력을 바닥내어 두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s://www.youtube.com/watch?v=pNeNTMmltyc
https://www.youtube.com/watch?v=826HMLoiE_o
The Intense 8 Hour Hunt | Attenborough Life of Mammals | BBC Earth
애초에 인간은 1:1 맞다이에 특화된 동물이 아닌 것으로 압니다. 인간이 다른 동물들보다 우월한 점은 지능과 도구 사용과 언어를 통한 협동과 지구력 정도밖에는 없지요. 원시 시대 인간의 사냥법은 여럿이 떼를 지어 한 놈을 골라 지칠 때까지 몰아넣는 것입니다. 그리고는 창 같은 것으로 막타를 때리는 것이죠. 동물이 창에 찔려 쉽게 죽는 것처럼 보인다면, 아마 그 전에 인간 사냥꾼이 그 동물의 체력을 바닥내어 두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http://mlbpark.donga.com/mlbpark/b.php?p=21&b=bullpen2&id=5505538&select=title&query=&user=&reply=
이런 사례가 있긴 합니다. 링크에선 재규어 200마리라고 되어 있는데 스피어로 잡은 것만 한정하면 31마리라고 하더군요.
이외에 창사냥 사례 보면..숙련된 창사 3인 1조면 멧돼지 한 마리는 안정적으로 잡는다고.
이런 사례가 있긴 합니다. 링크에선 재규어 200마리라고 되어 있는데 스피어로 잡은 것만 한정하면 31마리라고 하더군요.
이외에 창사냥 사례 보면..숙련된 창사 3인 1조면 멧돼지 한 마리는 안정적으로 잡는다고.
이 부분 최고의 전문가-_-일 아프리카 부족들의 전래동화를 보면 가장 강한 동물이 표범이죠. 서구권에선 동물의 왕 사자라 하고
실체급으로 사자가 짱이긴 하지만 아프리카 전래동화에서 최강의 빌런 역할은 표범이 맡고 있습니다. 표범의 보물을 하느님이
가져오라고 하는데 사자/코끼리 등등 모두 실패하고 거미가 지혜로 가져오고.. 이런 묘사가 굉장히 많아요.
이게 결국 사자나 코끼리도 냉병기로 사냥했을 아프리카 부족들에게 있어 가장 무섭고 위협적인 동물은 초원의 사자보다
나무위에서 3차원적으로 습격하는 표범이었을 거라는 추측을 해볼만 하죠.
실체급으로 사자가 짱이긴 하지만 아프리카 전래동화에서 최강의 빌런 역할은 표범이 맡고 있습니다. 표범의 보물을 하느님이
가져오라고 하는데 사자/코끼리 등등 모두 실패하고 거미가 지혜로 가져오고.. 이런 묘사가 굉장히 많아요.
이게 결국 사자나 코끼리도 냉병기로 사냥했을 아프리카 부족들에게 있어 가장 무섭고 위협적인 동물은 초원의 사자보다
나무위에서 3차원적으로 습격하는 표범이었을 거라는 추측을 해볼만 하죠.
전문가ㅋㅋㅋㅋ
말씀하신 가설은 여러 책이나 다큐멘터리에서도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근데 내셔널 지오그래피였나... 한 5년 전에 봤던 다큐멘터리에서 관련된 주제를 다룬 적이 있었는데, 당시에 인터뷰에 응했던 몇몇 전사(..)들의 이야기가 꽤 흥미롭습니다. 싸워서 무서운 게 사자라는 것은 부정하지 않고, 표범의 공포에 대해서는 사냥의 어려움보다는 습격의 공포를 이야기하더군요. 동아시아 최강 백수가 호랑이였지만 인간에게 가장 공포감을 준 것은 늑대였는데 그런 맥락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특히 요새처럼 반군 따라지가 야시경에 acog 달고 사냥하는 세상에서 표범은...
말씀하신 가설은 여러 책이나 다큐멘터리에서도 이야기가 나왔습니다. 근데 내셔널 지오그래피였나... 한 5년 전에 봤던 다큐멘터리에서 관련된 주제를 다룬 적이 있었는데, 당시에 인터뷰에 응했던 몇몇 전사(..)들의 이야기가 꽤 흥미롭습니다. 싸워서 무서운 게 사자라는 것은 부정하지 않고, 표범의 공포에 대해서는 사냥의 어려움보다는 습격의 공포를 이야기하더군요. 동아시아 최강 백수가 호랑이였지만 인간에게 가장 공포감을 준 것은 늑대였는데 그런 맥락으로 봐야하지 않을까 싶어요. 특히 요새처럼 반군 따라지가 야시경에 acog 달고 사냥하는 세상에서 표범은...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