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5/06/16 18:20:10 |
Name | [익명] |
File #1 | 화면_캡처_2025_06_16_175450.jpg (51.0 KB), Download : 0 |
Subject | 중수골 경부 골절 관련 질문입니다. |
개인 신상정보를 담고 있어 부득이하게 익명 기능을 사용한 점 양해 부탁 드립니다. 3주 전 오른손 제5수지(오른손 새끼손가락쪽) 중수골 경부골절 진단을 받고 k-강선 4개를 횡으로 삽입하는 수술을 하였습니다. 지금은 강선 유지중인 상태로 지난 주말부터 주치의(수술해주신 선생님)에게 허락받고 나서 손을 계속 움직이고 있습니다. 움직일 수 있는 범위내에서는 전부 움직이고 있고 틈날때마다 쥐엇다 폈다라던가 손가락 관절을 계속 움직이고 있습니다. 물론 수술경과 및 적절한 재활운동에 대해서는 주치의 의견이 가장 정확하겠으나 상황상 주에 1회 정도밖에 주치의 진료를 받지 못하고 있어, 진료받기 전에 궁금한 내용이 있어 의료넷에 질문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사진은 제 사진이 아니며 인터넷 검색해서 관련 논문들 중 제 사진과 가장 유사한 것을 가져왔습니다) 1. 현재 주먹을 쥘 때 새끼손가락이 끝까지 쥐어지지 않습니다. 왼손으로 해보니 주먹을 꽉 쥐게되면 제5수지 중수골이 주먹 안쪽으로 말리면서 힘을 주게 되는데, 현재 사진처럼 제5수지 중수골과 제4수지 중수골이 강선으로 고정되어 있어서 주먹이 끝까지 안쥐어지는게 맞나요? 2. 반대로 손바닥을 쫙 펼 때, 마찬가지로 새끼손가락이 끝까지 펴지지 않습니다. 물론 어느정도 1자로 펴지기는 합니다만 제가 원래 손에 힘을 줘서 쫙 피게 되면 근위지골과 중간지골이 손등쪽으로 좀 올라갈 정도로 펴지는데.. 현재 중수골 경부골절이 된 오른손 새끼손가락만 그게 안됩니다. (나머지 오른손/왼손 손가락들은 다 됨) 3. 손가락의 외전(손가락 사이를 벌리는 것)과 내전(손가락 사이를 오므리는것)기능 역시 중수골 골절된 새끼손가락만 잘 안됩니다. 4. 위에 것들을 포함해서 중수골 경부 골절로 인해 강선을 횡으로 삽입해서 고정하는 수술을 하였을 때, 강선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손 운동범위가 제한되는 게 맞을까요? 만약 강선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제한되는 거면 손 움직이는 걸 너무 무리하게 하면 안될거 같은데, 만약 그게 아니라 3주동안 깁스를 하고 있어서 손 관절이 굳어 재활이 필요한 거라면 더 굳기 전에 좀 더 적극적으로 움직이는 게 맞을것 같고.. 일단 주치의는 반대쪽 손을 써서 억지로 움직이는 것은 하면 안된다고 했기 때문에 지금은 오른손 단독으로 최대한 힘을 줘서 움직일 수 있는 정도로 계속 하고 있습니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