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23/01/09 20:34:22수정됨
Name   전투용밀감
Subject   성실함의 가치는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뒤늦게 대학을 다시 다니고 있는 30대 학부생입니다. 주변 대학생들보다는 나이가 많다 보니 가끔씩 제가 정말 꼰대처럼 느껴질 때가 있어요.

가령 예전에 질게에 올렸던https://www.redtea.kr/qna/14105 이런 일이 있을 때 '아직 대학생이라서 저런가? 직장에서 한 번 털려보면 저렇게 못할텐데?' 이렇게 생각하고는 합니다.

오늘도 비슷한 일이 있었어요. 집에 손 벌리지 않기 위해 열심히 단기 아르바이트를 뛰고 왔습니다. 2인 1조로 4개 조를 만들어 대학 주변을 돌며 어떤 정보를 조사하는 아르바이트였어요. 저와 같은 조인 학생이 자기 할 일을 다른 조에게 토스하고는

"형, 저는 착하게 사는 건 좋지 않은 것 같아요. 좀 약삭빠른 사람이 더 잘 사는 것 같아요"

라고 스스로를 정당화합니다. 그래서

'지금 네가 한 토스는 네가 똑똑하고 다른 사람이 바보라서 성공한 게 아니야. 남들도 네가 자기한테 일 떠넘기는거 어렴풋이는 눈치채고 있어. 굳이 따지고 들면 서로 피곤해서 그냥 넘기는 거야. 우리 관리하는 사람도 누가 어떻게 일하는지 대충은 알아.'

라고 하려다가 이러면 저도 피곤해질 것 같아서 "그래 네가 맞아. 너 정말 똑똑하다." 이러고 말았습니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그 학생의 말도 완전히 틀린 건 아닌 것 같아요. 대학생 단기 아르바이트라면 고용이나 동료 관계가 지속될 가능성이 낮습니다. 성실하지 못한 이미지가 생겨도 크게 중요하지 않아요. 어차피 안 볼 사이니까요. 그리고 이런 사고방식은 대학생 뿐만 아니라 직장인에게도 많이 퍼져있는 것 같아요. 자잘한 일은 남에게 미루고 자신은 중요한 일을 처리해야 출세할 수 있다는 이야기처럼요.

물론 저 가치관을 따르고 싶지는 않아요. 저는 아직도 순진한 건지 저런 마인드는 장기적으로 본인에게 해가 될 거라고 믿습니다. 남이 속아주었거나 운 좋게 넘어간 걸 자기 능력으로 착각하고 살다가는 언젠가 크게 데일 것 같아요.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자기 일을 남에게 미루지 않고 성실하게 처리하는 건 과연 어느 정도나 가치 있는 일일까요? 사실은 답이 없는 문제라고 생각해요. 그저 다른 분들의 생각은 어떨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0


그런 행동은 결국 자기자신을 좀먹는 거라서... 굳이 남이 그런 약삭빠른걸 지적하지 않더라도 자신의 회피적 성향을 키우는 행동일 뿐이라고 생각합니다. 내가 성실한건 남을 위해서가 아니고 나를 위해서에요... 내 인생 아무도 대신 안 살아준다는 말과 완전히 같은 얘기죠. 자잘한걸 떠넘기는 사람이 큰일의 디테일을 어떻게 엄수할까요?
13
Thy킹덤
그냥 각자가 선택한 인생의 방편이라 생각합니다.
둘 중 어느게 더 나은지 모르겠어요.
인생의 성공 여부도 그냥 그런 가치관으로 잘 살아내는 사람이 장땡인 것 같아요.
더 외로울 수도 있고, 그걸 아무렇지않게 생각할 수도 있고,
더 큰 마음의 평안을 얻을 수도 있고...아닐 수도 있고
1
알료사
인생은 운빨망겜인데 그 운을 잡는 가장 큰 힘이 성실함입니다.
12
오디너리안
²222222222
회색사과
33333

슈카가 시장 얘기할 때 하는 얘기지만

우리는 언제가 바닥인지도 모르고 언제 진입해야 할 지도 모르며 안다고 어찌 할 수도 없죠.

근데 삶이 그런 것 같아요.
언제가 기회인지도 모르고 어떻게 대처해야할 지도 모르죠.

최선을 다하며 사는 수밖에요.
1
사이시옷(사이시옷)
4444444
성실함은 인간을 배신할지라도, 불성실함은 인간을 배신하지 않습니다.
8
오쇼 라즈니쉬
뒤통수는 마지막에 한 번만 쳐야합니다. 학생들이 어려서 아직 잘 몰라서 그래요.
1
torpedo
저였다면 잠깐 얘기 좀 하자고 했을 것 같습니다.
절름발이이리
https://www.youtube.com/watch?v=u6aPgA5549g
Kingdom of Heaven - What is Jerusalem worth?
2
배워보자
성실하지 않을 때와 성실해야할 때를 정확히 파악하고 각각 다르게 행동하는 것은 결국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그게 태도와 습관이 되기 때문에요. 그런 사람들은 계속해서 점차 불성실하게 살게 되면서 '이건 중요한 일이 아니니까' 라고 자기합리화 할거고 다른 사람들이 잘도 속아넘어간다고 생각하겠지요. 하지만 말씀하신것처럼 다른 사람들, 특히 위에 있는 사람들은 알고 있습니다.
5
천하대장군
저는 모르겠습니다
1
여우아빠
본문에서 하신걸 단지 '성실함' 이라고 두루뭉실하게 말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성실함의 반댓말을 뭐라고 생각하세요? 게으름? 본문에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내용이 단지 게으름은 아닌 것 같습니다.

1) 단순한 게으름은 그저 악덕에 불과하고, 장점이나 따라오는 이득을 찾기 어렵습니다.
2) '치사하다' 고 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행위, 본문의 경우는 2에 가까움. 저는 '신뢰를 져버리는 행위' 라고 통칭하겠습니다.

전혀 게으르지 않은 사람도 이성적으로, 불성실하게 하는게 개인의 이득이라고 생각해서 하는 경우... 더 보기
본문에서 하신걸 단지 '성실함' 이라고 두루뭉실하게 말하기가 어렵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성실함의 반댓말을 뭐라고 생각하세요? 게으름? 본문에서 말씀하시고자 하는 내용이 단지 게으름은 아닌 것 같습니다.

1) 단순한 게으름은 그저 악덕에 불과하고, 장점이나 따라오는 이득을 찾기 어렵습니다.
2) '치사하다' 고 말할 수 있는 적극적인 행위, 본문의 경우는 2에 가까움. 저는 '신뢰를 져버리는 행위' 라고 통칭하겠습니다.

전혀 게으르지 않은 사람도 이성적으로, 불성실하게 하는게 개인의 이득이라고 생각해서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경우 조직문화에 따라서, 제어받지 않거나 그런 행위가 밖으로 새어나가지 않을 경우 본인에게는 꽤 이득이 될 수 있기도 합니다. 경영자 입장에선 효율적이지도 않고 내부 단합을 해치기에 이런걸 지양하는 조직문화를 만들고 싶겠지만, 죄수의 딜레마는 태고적부터의 문제고 완벽히 해결하기란 정말 어렵습니다. '불성실'에 대한 대가가 너무 커지면 또 파벌싸움을 유발할 수 있기도 하고요.
'불성실'에 대해서는 좀 더 범위를 넓혀 보면 거짓말, 계약을 지키지 않는 것, 혹은 배신과도 목적이나 결과도 비슷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 것을 통해 크게 성장한 기업도 있고, 역사적으로도 비윤리적이지만 영리한 선택으로 크게 성공한 인물도 많지요. 단순 게으름의 경우 엘리트층에서 찾아보기 어렵지만 이성적인 비윤리적/이기적 선택은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기도 하고요. 물론 꼬리가 길면 밟히는 법이라, 짧게는 위의 오쇼님 댓글과 비슷하게 생각합니다.(죄수의 딜레마에서 도출되는 결론도 이렇죠)
여우아빠
너무 큰 그림에서만 얘기한 것 같아서, 본문 정도의 사소한 이득은.. 저는 일반적인 인식과 반대로 봅니다.

편한 설명을 위해서 조악하게나마 수치로 나타냈을때, 선행이나 꾸준한 성실함은 98%로 100의 이득을, 2%로 200의 이득을 법니다. 본문처럼 비겁한 행동은 98%로 105의 이득을, 2%로 50의 손해를 봅니다. 이런 식으로, 성실함과 꾸준함이 로또처럼 터지는거고 소소하게는 얍삽한게 이득이 더 크다고 봅니다. 장기적으로 뭐가 더 좋은지는 환경에 따라 다르고, 그런 것들이 사기꾼이 판치는 업계냐(중고차) 믿을만한 업계냐를 가른다고 생각해요.
듣보잡
저는 계산적으로 판단해도 글쓰신 분의 생각에 동의합니다.

[물론 저 가치관을 따르고 싶지는 않아요. 저는 아직도 순진한 건지 저런 마인드는 장기적으로 본인에게 해가 될 거라고 믿습니다. 남이 속아주었거나 운 좋게 넘어간 걸 자기 능력으로 착각하고 살다가는 언젠가 크게 데일 것 같아요.]

이렇게 쓰셨는데 사회생활 저도 어느 정도 했지만 똑같이 생각합니다. 물론 환경차이에 따라 다를 수도 있긴 한데, 원론적으로는 전투용밀감님 생각이 맞다고 봅니다.
1
아이의 사생활
도덕성 편 추천드립니다.
침묵의공처가
성실함만으로 이룰 수 있는 것은 많지 않다.
하지만 성실함 없이 이룰 수 있는 것은 없다.

그런데 성실함도 갈고 닦아야 하는 것이지 원할 때 키고 끄고 하는게 쉬운 것은 아니죵.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질문 게시판 이용 규정 11 토비 15/06/19 24576 4
16705 IT/컴퓨터유심 재활용할 수 있는 통신사가 있나요? 4 카라멜마끼아또 25/04/27 371 0
16704 여행강원도 (철원) 여행 팁 부탁드립니다 3 빈둥 25/04/27 162 0
16703 진로금융권 IT 인프라 직무 커리어에 대해서 질문 드립니다. 1 전차남 25/04/27 233 0
16702 문화/예술영화 혹은 드라마를 하나 찾고 있습니다. 4 알로에비누 25/04/26 349 0
16700 기타살려주세요 사무실이 넘 더워요 22 니나 25/04/25 745 0
16699 경제퇴직금 중도해지요 2 [익명] 25/04/24 416 0
16698 의료/건강실비보험에 대해 5 야얌 25/04/24 491 0
16697 기타30대 남자 선물용 질문드립니다 12 유하 25/04/24 472 0
16696 IT/컴퓨터생성형AI로 파워포인트 슬라이드도 잘 만들어지나요? 3 열한시육분 25/04/24 405 0
16695 의료/건강사무실에서 할 수 있는 유산소 운동이 있을까요? 27 보이차 25/04/23 686 0
16693 여행일본 (벳부) 여행 일정 한 번만 더 조언 부탁드립니다. 10 쉬군 25/04/22 328 0
16692 교육학교에서 아들이 다쳤습니다. 12 [익명] 25/04/22 736 0
16691 IT/컴퓨터가정용프린터기 추천부탁드려요 9 Evergreen 25/04/22 372 0
16690 IT/컴퓨터만약 어떤 커뮤니티가 전부 AI 필터링을 한다면 29 단비아빠 25/04/21 692 0
16689 의료/건강하소연 겸 질문입니다. 편찮으신 어머니 문제 8 [익명] 25/04/20 804 0
16688 기타거울로 반사된 빛으로 곰팡이를 퇴치할 수 있나요? 1 2025 25/04/20 502 0
16687 기타이런 영상은 어떤 장비로 찍은 것일까요? 6 홍당무 25/04/19 596 0
16686 게임급 슈퍼패미컴 미니 클래식이 끌리는데 2 퍼그 25/04/19 361 0
16684 진로IB 업무 중 진로 고민 8 움직여 25/04/19 627 0
16683 진로아이 진로에 관한 고민 7 단비아빠 25/04/18 492 0
16682 문화/예술관광으로 중국 도시를 택할 메리트가 있을까요 11 열한시육분 25/04/18 617 0
16681 기타강력접착된거 떼는방법이 있을까요..? 14 even&odds 25/04/18 460 0
16680 기타차량 폐차 관련 질문입니다. 26 메존일각 25/04/17 599 0
16679 법률부동산 복비 관련 문의드립니다. 6 [익명] 25/04/17 445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