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16/07/27 12:58:53 |
Name | jklljh |
Subject | 유독 사람을 잘 파악하는 사람이 있을까요?? |
제가 아는 동생은 사람보는 눈이 기가 막히더군요. 관찰력도 관찰력이지만 이를테면 '저 사람은 교회를 다닌다(혹은 종교가 없을 것이다)' 같은 별난것도 다 맞추거든요. 20대 초중반 밖에 안됐는데요. 그것도 처음 알았을때부터 이랬으니...관상이니 이런건 전혀 모르는 친구에요. 유독 이런 사람이 있는건지, 그저 제가 우연을 몇번 겪은것일지 궁금합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jklljh님의 최근 게시물
|
제 주변에서 자기가 사람 파악잘안다고 주장하는 사람들이 저랑 붙게 되는 경우가 많은데
오히려 쉽게 단정짓는 사람들은 제대로 파악하지 않는 경우죠.
진짜 제대로 파악하는 사람들은 항상 스스로 편견과 고정관념을 멀리합니다.
오히려 쉽게 결정짓는 사람은 오히려 자기 착각일뿐 쉽게 파악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추리? 추측? 하는 형태 자체가 저 사람의 본모습이라고 생각하면 안되고 저런 상황에서는 저런 행동을 한다는 확률이 높다는 패턴의 유형화죠. 이건 심리학이나 조직행동론에서도 다루는 이야고. 오히려 습관이나 패턴의 관찰에 가깝습니다.
오히려 쉽게 단정짓는 사람들은 제대로 파악하지 않는 경우죠.
진짜 제대로 파악하는 사람들은 항상 스스로 편견과 고정관념을 멀리합니다.
오히려 쉽게 결정짓는 사람은 오히려 자기 착각일뿐 쉽게 파악하는 사람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추리? 추측? 하는 형태 자체가 저 사람의 본모습이라고 생각하면 안되고 저런 상황에서는 저런 행동을 한다는 확률이 높다는 패턴의 유형화죠. 이건 심리학이나 조직행동론에서도 다루는 이야고. 오히려 습관이나 패턴의 관찰에 가깝습니다.
'사람을 잘 본다'나 관상이라는 영역이 우리나라에선 자연스럽게 얘기되곤 하는데 우리나라 특유의 문화이기도 한 것 같아요. 미국에선 사람들이 자주 하는 말 중에 'Don't judge me', 'You don't know me'란 말이 있어요. (싸울 때 쓰는 말). 사람을 잘 본다는 건 좋게 말하면 센스나 감각이 뛰어나서 좋은 사람을 잘 알아보는 것일 수 있겠고 '내가 사람을 잘 봐서 아는데 말이야'가 잘못하면 편견에 휩싸인 모습인 걸 수도 있을 거예요.
맞고 산다거나 아내를 불행하게 하는 이들과 사는 사람들을 보면 '어찌 저런 사람을 못 알아보고 결혼까지 했나'란 생각을 쉽게들 하지만 사람 일은 모르는 거란 생각도 들어요. 그런데도 계속 그런 싹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사람이랑은 결혼 안 했을 것 같은 생각이 자꾸 드는 건 자만이겠죠. 참 몹쓸 자신감.
맞고 산다거나 아내를 불행하게 하는 이들과 사는 사람들을 보면 '어찌 저런 사람을 못 알아보고 결혼까지 했나'란 생각을 쉽게들 하지만 사람 일은 모르는 거란 생각도 들어요. 그런데도 계속 그런 싹이 조금이라도 보이는 사람이랑은 결혼 안 했을 것 같은 생각이 자꾸 드는 건 자만이겠죠. 참 몹쓸 자신감.
제가 저련 유형의 사람이라고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중요한건 저런 유형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좋아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하고요.
그 데이터를 가지고 혈액형 처럼 분류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데이터를 점점 세세하게 내지는 자신만의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맞든 틀리든...)
사람은 개개인 모두가 다르지만 큰틀은 비슷한 유형의 사람들로 분류가 조금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제3자 입장에서 신기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같은 사람을 같은 시간 보더라도 받아 들이는... 더 보기
중요한건 저런 유형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좋아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하고요.
그 데이터를 가지고 혈액형 처럼 분류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데이터를 점점 세세하게 내지는 자신만의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맞든 틀리든...)
사람은 개개인 모두가 다르지만 큰틀은 비슷한 유형의 사람들로 분류가 조금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제3자 입장에서 신기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같은 사람을 같은 시간 보더라도 받아 들이는... 더 보기
제가 저련 유형의 사람이라고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중요한건 저런 유형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좋아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하고요.
그 데이터를 가지고 혈액형 처럼 분류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데이터를 점점 세세하게 내지는 자신만의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맞든 틀리든...)
사람은 개개인 모두가 다르지만 큰틀은 비슷한 유형의 사람들로 분류가 조금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제3자 입장에서 신기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같은 사람을 같은 시간 보더라도 받아 들이는 정보의 양과 생각이 다릅니다.
그래서 세세한 부분을 체크하고 이 사람은 이런 유형이였는데 제 생각과는 다른 행동을 취하면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그런 방향으로 갑니다.
물론 이렇게 생각 하는 제 자신도 틀릴수 있습니다만 저는 이렇다고 생각합니다.
하나의 능력이라기 보다는 저런 유형의 사람이 있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중요한건 저런 유형의 사람들은 기본적으로 사람을 좋아할 확률이 높습니다. 그래서 다양한 사람을 만나고 싶어 하고요.
그 데이터를 가지고 혈액형 처럼 분류를 하게 됩니다.
그리고 그데이터를 점점 세세하게 내지는 자신만의 기준으로 분류합니다. (맞든 틀리든...)
사람은 개개인 모두가 다르지만 큰틀은 비슷한 유형의 사람들로 분류가 조금은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제3자 입장에서 신기하다고 느끼는 부분은 같은 사람을 같은 시간 보더라도 받아 들이는 정보의 양과 생각이 다릅니다.
그래서 세세한 부분을 체크하고 이 사람은 이런 유형이였는데 제 생각과는 다른 행동을 취하면 기존의 데이터를 수정하는 그런 방향으로 갑니다.
물론 이렇게 생각 하는 제 자신도 틀릴수 있습니다만 저는 이렇다고 생각합니다.
하나의 능력이라기 보다는 저런 유형의 사람이 있다 정도로 생각합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