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질문 게시판입니다.
Date | 21/04/18 21:45:54수정됨 |
Name | BLACK |
Subject | 30만원으로 풀옵션 돌리는 견적 |
이라고 하면 댓글이 막 많이 달린다면서요...??? ( ͡° ͜ʖ ͡°) 암튼 콤퓨타- 를 사려고 하는데 코인 대략 용도는 게임X, 용량큰 엑셀파일, 2d 캐드, #모니터_3대 연결 입니다. 7~80 만원 선에서 생각은 하고 컴군이랑 신성조 유투브 보면서 대충 짜보았는데 CPU : 인텔 코어 i5-10세대 10400 메인보드 : (ASUS) PRIME H410M-K (STCOM) 메모리 : 삼성전자 DDR4 8G PC4-21300 * 2 파워 : 마이크로닉스 ClassicⅡ 500W 케이스 : 3~5만원 선 괜찮은 [미니타워] 없을까요?? 미들타워 넘모 크고 못생겼... 그래픽카드 : ?????????
SSD : ??????
원래 작년 연말에 사려다가 말았더니 완전 망했.. 흙흙 도와주세요.. ㅜㅜ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BLACK님의 최근 게시물 |
시피유는 외우심씨오. 인텔지옥 암드천국.
민희타워를 쓰면 나중에 VGA 달때 애로사항이 꽃필 수 있읍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요즘 케이스는 옛날보다도 더 심하게 취향을 타서... 3R이나 마이크로닉스에 민희타워가 좀 있다고 들었읍니다. 앱코도 있긴 한데 앱코는 제가 신뢰를 안해서...
민희타워를 쓰면 나중에 VGA 달때 애로사항이 꽃필 수 있읍니다. 그리고 개인적으로는 요즘 케이스는 옛날보다도 더 심하게 취향을 타서... 3R이나 마이크로닉스에 민희타워가 좀 있다고 들었읍니다. 앱코도 있긴 한데 앱코는 제가 신뢰를 안해서...
나중에 뭘 달지 모르니 미들이 낫읍니다. 그리고 케이스는 ㄹㅇ 개취고 요즘 개성늠치는게 너무 많은지라... 일일이 소개가 어렵읍니다. 예를 들면
http://prod.danawa.com/info/?pcode=5043494&cate=112775
민희타워라도 이런 물건들은 VGA 장착에 전혀 문제가 없긴 해요. 문제는 이 북유럽 갬성은 ㄹㅇ 개취..
http://prod.danawa.com/info/?pcode=5043494&cate=112775
민희타워라도 이런 물건들은 VGA 장착에 전혀 문제가 없긴 해요. 문제는 이 북유럽 갬성은 ㄹㅇ 개취..
ssd는 nvme M.2 방식이 제일 좋고 빠른데 그만큼 비쌉니다
현재 실사용 목적으로 최고존엄인 980pro은 500gb에 최저가 15만원 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정가는 19정도)
제 추천은 sk하이닉스 P31 이라는 제품인데
처음엔 해외에서만 발매되었는데 성능과 발열, 안전성 등 모든면에서 과거 최고존엄 삼성 970 evo+에 비비거나 더 좋다고 유명해져서 해외직구를 많이들 하시다가 드디어 국내 정발이 되었습니다
발품팔면 1테라 16~17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10시대 cpu쓰실거면 pcle4세대 지원... 더 보기
현재 실사용 목적으로 최고존엄인 980pro은 500gb에 최저가 15만원 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정가는 19정도)
제 추천은 sk하이닉스 P31 이라는 제품인데
처음엔 해외에서만 발매되었는데 성능과 발열, 안전성 등 모든면에서 과거 최고존엄 삼성 970 evo+에 비비거나 더 좋다고 유명해져서 해외직구를 많이들 하시다가 드디어 국내 정발이 되었습니다
발품팔면 1테라 16~17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10시대 cpu쓰실거면 pcle4세대 지원... 더 보기
ssd는 nvme M.2 방식이 제일 좋고 빠른데 그만큼 비쌉니다
현재 실사용 목적으로 최고존엄인 980pro은 500gb에 최저가 15만원 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정가는 19정도)
제 추천은 sk하이닉스 P31 이라는 제품인데
처음엔 해외에서만 발매되었는데 성능과 발열, 안전성 등 모든면에서 과거 최고존엄 삼성 970 evo+에 비비거나 더 좋다고 유명해져서 해외직구를 많이들 하시다가 드디어 국내 정발이 되었습니다
발품팔면 1테라 16~17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10시대 cpu쓰실거면 pcle4세대 지원이 안되시기 때문에 980pro 까지 갈 필요없어요 970evo나 p31이 최곱니다
근데 시스템 전반적인 속도가 시원시원한게 좋으시면 m.2 쓰시는데 가성비 찾으시면 sata로 가셔도 됩니당
현재 실사용 목적으로 최고존엄인 980pro은 500gb에 최저가 15만원 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정가는 19정도)
제 추천은 sk하이닉스 P31 이라는 제품인데
처음엔 해외에서만 발매되었는데 성능과 발열, 안전성 등 모든면에서 과거 최고존엄 삼성 970 evo+에 비비거나 더 좋다고 유명해져서 해외직구를 많이들 하시다가 드디어 국내 정발이 되었습니다
발품팔면 1테라 16~17정도에 구매하실 수 있습니다
사실 10시대 cpu쓰실거면 pcle4세대 지원이 안되시기 때문에 980pro 까지 갈 필요없어요 970evo나 p31이 최곱니다
근데 시스템 전반적인 속도가 시원시원한게 좋으시면 m.2 쓰시는데 가성비 찾으시면 sata로 가셔도 됩니당
cpu는 인텔 9,10세대 vs 라이젠 3세대 부터 라이젠쪽으로 기울고 있었습니다
근데 작년 하반에 라이젠 4세대가 나왔고
최하위 라인업인 5600X 선에서 인텔 10세대 최고라인업인 10900까지 게임성능이 정리가 되었죠 ㅋㅋㅋㅋ
그래서 '작업은 라이젠이지만 게임은 아직 인텔이다'라는 공식도 깨지고 가성비의 인텔이라는 수식어가 생겼습니다
근데 이번에 10세대와 소켓을 공유하는 11세대가 나왔는데 이건 뭐 발열만 높지 성능향상도 그닥이고 전성비도 처참하고 해서 모래낭비라는 불명예만 얻게 되었어요
그러니 다들 닥 라이젠을 추... 더 보기
근데 작년 하반에 라이젠 4세대가 나왔고
최하위 라인업인 5600X 선에서 인텔 10세대 최고라인업인 10900까지 게임성능이 정리가 되었죠 ㅋㅋㅋㅋ
그래서 '작업은 라이젠이지만 게임은 아직 인텔이다'라는 공식도 깨지고 가성비의 인텔이라는 수식어가 생겼습니다
근데 이번에 10세대와 소켓을 공유하는 11세대가 나왔는데 이건 뭐 발열만 높지 성능향상도 그닥이고 전성비도 처참하고 해서 모래낭비라는 불명예만 얻게 되었어요
그러니 다들 닥 라이젠을 추... 더 보기
cpu는 인텔 9,10세대 vs 라이젠 3세대 부터 라이젠쪽으로 기울고 있었습니다
근데 작년 하반에 라이젠 4세대가 나왔고
최하위 라인업인 5600X 선에서 인텔 10세대 최고라인업인 10900까지 게임성능이 정리가 되었죠 ㅋㅋㅋㅋ
그래서 '작업은 라이젠이지만 게임은 아직 인텔이다'라는 공식도 깨지고 가성비의 인텔이라는 수식어가 생겼습니다
근데 이번에 10세대와 소켓을 공유하는 11세대가 나왔는데 이건 뭐 발열만 높지 성능향상도 그닥이고 전성비도 처참하고 해서 모래낭비라는 불명예만 얻게 되었어요
그러니 다들 닥 라이젠을 추천하시는 겁니다
하지만 해당용도에서 인텔 10400에 저렴이 메인보드를 쓰신다면 가성비라는 기존의 목적에는 알맞게 부합합니다. 어도비계열은 호환성, 안전성도 아직까지는 인텔이 낫습니다
사용목적으로 보아 10400내장으로는 좀 힘들어보이고 10400f를 어떻게든 싸게 구하신 다음에 외장글카랑 돌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근데 작년 하반에 라이젠 4세대가 나왔고
최하위 라인업인 5600X 선에서 인텔 10세대 최고라인업인 10900까지 게임성능이 정리가 되었죠 ㅋㅋㅋㅋ
그래서 '작업은 라이젠이지만 게임은 아직 인텔이다'라는 공식도 깨지고 가성비의 인텔이라는 수식어가 생겼습니다
근데 이번에 10세대와 소켓을 공유하는 11세대가 나왔는데 이건 뭐 발열만 높지 성능향상도 그닥이고 전성비도 처참하고 해서 모래낭비라는 불명예만 얻게 되었어요
그러니 다들 닥 라이젠을 추천하시는 겁니다
하지만 해당용도에서 인텔 10400에 저렴이 메인보드를 쓰신다면 가성비라는 기존의 목적에는 알맞게 부합합니다. 어도비계열은 호환성, 안전성도 아직까지는 인텔이 낫습니다
사용목적으로 보아 10400내장으로는 좀 힘들어보이고 10400f를 어떻게든 싸게 구하신 다음에 외장글카랑 돌리시는걸 추천드립니다
전통의 삼엘델..
삼성은 커브드,va패널로 대표되는 게이밍 모니터가 좋구여 엘지의 쩌는 색감에 대항하기위해 qled를 내놨지만 더 좋은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엘지는 ips 패널이 강점인데요 넓은 시야각과 우수한 텍스트 가독성, 화사한 색감이 좋습니다
단점이라면 ips패널의 고질적인 빛샘, va에 비해 명암비가 1/3입니다
게임용으로 삼성엘지 투탑이라면 델은 작업용으로 많이들 쓰십니다
정확한 색감을 위해 캘리브레이션 잘 잡혀있구 RGB를 다 커버할 넓은 색역, 플리커프리 기능으로 눈이 편안합니다. 물론 삼성 엘지도 작업용 모니터 있읍니다
삼성은 커브드,va패널로 대표되는 게이밍 모니터가 좋구여 엘지의 쩌는 색감에 대항하기위해 qled를 내놨지만 더 좋은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엘지는 ips 패널이 강점인데요 넓은 시야각과 우수한 텍스트 가독성, 화사한 색감이 좋습니다
단점이라면 ips패널의 고질적인 빛샘, va에 비해 명암비가 1/3입니다
게임용으로 삼성엘지 투탑이라면 델은 작업용으로 많이들 쓰십니다
정확한 색감을 위해 캘리브레이션 잘 잡혀있구 RGB를 다 커버할 넓은 색역, 플리커프리 기능으로 눈이 편안합니다. 물론 삼성 엘지도 작업용 모니터 있읍니다
가성비를 찾으시면, 알파스캔(AOC와 필립스 브랜드 수입/유통/AS사) 정도까지는 AS가 그래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FPS 같은 게임하시면 주사율도 높은(144Hz?) 것을 고르시는 것이 좋고, 게임을 안 하시면 그냥 4K에 60~75Hz 정도면 무난한 것 같습니다. 모니터를 쓰는 방식이나 환경, 시청거리에 따라서 32인치나 27~28인치 중에서 고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델은 공홈에서 구입하면 재고가 유난히 쌓인 경우가 아니면, 주문이 들어가면 조립 생산하는 경우들도 많아서, 구입에서 배송까지 시간이 좀 걸리는... 더 보기
그리고, 델은 공홈에서 구입하면 재고가 유난히 쌓인 경우가 아니면, 주문이 들어가면 조립 생산하는 경우들도 많아서, 구입에서 배송까지 시간이 좀 걸리는... 더 보기
가성비를 찾으시면, 알파스캔(AOC와 필립스 브랜드 수입/유통/AS사) 정도까지는 AS가 그래도 괜찮은 것 같습니다. FPS 같은 게임하시면 주사율도 높은(144Hz?) 것을 고르시는 것이 좋고, 게임을 안 하시면 그냥 4K에 60~75Hz 정도면 무난한 것 같습니다. 모니터를 쓰는 방식이나 환경, 시청거리에 따라서 32인치나 27~28인치 중에서 고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그리고, 델은 공홈에서 구입하면 재고가 유난히 쌓인 경우가 아니면, 주문이 들어가면 조립 생산하는 경우들도 많아서, 구입에서 배송까지 시간이 좀 걸리는 것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대신 오픈 마켓보다 공홈이 프로모션 등으로 가격이 더 저렴한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으로, 초기불량이 우려되는 모델의 경우는 쿠팡에서 구매(로켓배송만 해당)하시면 반품이 다른 곳보다 용이합니다. (대신에 신제품도 간혹 반품된 것이 오는 경우가 있는데, 검수가 제대로 안 된 경우도 있어서, 비슷한 제품이면 모델명 같은 것을 개봉 시에 잘 확인해 보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IPS 선호파입니다만, VA나 IPS나 양측 다 단점들을 계속 보완하고는 있습니다. 사실 좀 고가로 가면, 올해 본격적으로 LG에서 OLED 모니터들이 나오고, 기존 LCD 모니터들도 뒤에 작은 LED를 많이 때려 박아서, 기존 제품들의 단점들을 극복한 제품들도 나오기 시작하고 있습니다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굉장히 비싸서. 대중화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삼성도 조금씩 IPS 패널 제품들을 더 내놓으려고 하는 것 같은데, 아직은 가성비에서 IPS는 LG에 밀리는 것 같습니다. LG도 가격대에 따라서 자사 패널이 아닌 저렴한 타사 패널 쓰는 제품들도 많아서, 필요한 기능과 더불어 패널로 제품을 거르는 것도 방법입니다.
색 표현이 중요하거나, 비즈니스용으로는 HP 모니터도 괜찮은데, HP는 개인이 구매하면 AS가 우리나라에서는 좀...
그리고, 레노버도 가성비가 괜찮은 제품들이 좀 보이던데, 레노버 모니터는 AS가 어떤지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델은 공홈에서 구입하면 재고가 유난히 쌓인 경우가 아니면, 주문이 들어가면 조립 생산하는 경우들도 많아서, 구입에서 배송까지 시간이 좀 걸리는 것을 고려하셔야 합니다. 대신 오픈 마켓보다 공홈이 프로모션 등으로 가격이 더 저렴한 경우도 있습니다.
한편으로, 초기불량이 우려되는 모델의 경우는 쿠팡에서 구매(로켓배송만 해당)하시면 반품이 다른 곳보다 용이합니다. (대신에 신제품도 간혹 반품된 것이 오는 경우가 있는데, 검수가 제대로 안 된 경우도 있어서, 비슷한 제품이면 모델명 같은 것을 개봉 시에 잘 확인해 보시는 것도 필요합니다.)
개인적으로는 IPS 선호파입니다만, VA나 IPS나 양측 다 단점들을 계속 보완하고는 있습니다. 사실 좀 고가로 가면, 올해 본격적으로 LG에서 OLED 모니터들이 나오고, 기존 LCD 모니터들도 뒤에 작은 LED를 많이 때려 박아서, 기존 제품들의 단점들을 극복한 제품들도 나오기 시작하고 있습니다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굉장히 비싸서. 대중화까지는 시간이 좀 걸릴 것 같습니다. 삼성도 조금씩 IPS 패널 제품들을 더 내놓으려고 하는 것 같은데, 아직은 가성비에서 IPS는 LG에 밀리는 것 같습니다. LG도 가격대에 따라서 자사 패널이 아닌 저렴한 타사 패널 쓰는 제품들도 많아서, 필요한 기능과 더불어 패널로 제품을 거르는 것도 방법입니다.
색 표현이 중요하거나, 비즈니스용으로는 HP 모니터도 괜찮은데, HP는 개인이 구매하면 AS가 우리나라에서는 좀...
그리고, 레노버도 가성비가 괜찮은 제품들이 좀 보이던데, 레노버 모니터는 AS가 어떤지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