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로운 뉴스를 올려주세요.
Date 24/06/19 20:58:51
Name   바이오센서
Subject   의대 증원 집행정지, 대법원도 못 넘었다..."각하·기각"
https://n.news.naver.com/article/052/0002050377?type=editn&cds=news_edit

당연히 이렇게 될 것으로 예상했으나 역시 대법원도 정책을 뒤엎는 위험을 무릅쓰지 않았습니다.

정부가 5년간 증원하는 것의 첫걸음으로 이번 정원을 확정하였음에도 한 해만 정원이 늘어나는 것으로 해석했고
고법과 마찬가지로 의대증원을 국민보건에 핵심적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았으며, 수험생과 교육현장의 혼란을 야기할 수 있다고 판단하였네요.

애초에 법원에서 이를 판단해서 되돌릴 수 있을거라 기대한 분들이 상당히 나이브했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나라는 아무리 생각해도 관련 법령이 명확히 있는게 아닌 다양한 법 해석이 가능한 경우에 법원이 국가를 상대하는 개인의 권리를 인정해주는 나라가 아닌듯 합니다. 그런 와중에 정치적 쟁점을 3년이나 임기 남은 대통령을 거슬러가며 판결을 내릴리 없고 애초에 대통령도 법조인 출신이죠. 처음부터 법에 기대서는 안되었습니다. 민주당이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을게 뻔하더라도 줄기차게 정치권으로 매달렸어야 하는게 니았어요…



2


법대도 약대도 증원할 때 아무런 법률적 다툼이 없었는데 의대만 이렇게 불거지는 이유가 뭔지 이해가 안갑니다.
5
당근매니아
변호사와 약사가 파업해도 당장 사람이 죽지 않으니까요. 그래서 평생 불패였으니 앞으로도 불패라고 생각해서 저럴 수 있는거겠죠.
3
오쇼 라즈니쉬
법대 증원해서 변호사유인 법률 다툼이 많아진 거죠
나이브한 의사집단은 좋은 먹잇감이고요
2
잠깐 무슨감이라구요? (흠칫)
5
바이오센서
약대는 병원약사 부족을 이유로 약사회에서 원하지 않았습니까?
본문의 시각에 동의하는 1인입니다만 그와 별개로 이 말씀은 좀 그렇읍니다
판결문 읽어 보시면 의대생들의 청구 신청 자격 자체는 인정했지요. 전에 적었지만 약대 증원이 10개월만에 모든 준비와 절차가 마무리되진 않았읍니다. 최소한 년 단위로 건물이라도 새로 올리고 교수진 확충할 시간을 주지 않았나요?
그래서 의대 정원도 그렇게 적절한 시간과 절차를 거쳤다면 다툴 여지가 없었을 것이라고 적었던 바가 있는데요; 그런데도 현 정부의 행태를 보시면서 아예 다툴 여지조차도 없다고 하시는 건 너무 나가신 듯 합니다
7
그저그런
안에 있는 사람은 디테일이 보이고, 밖에서는 거시적으로 보이긴 하거든요. 다룬 디테일을 보기엔 19년간 동결이라는게 너무 컸던것 같아요.
그래서 미리 적당히 협의해야..
저도 이번 정부의 증원안에는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증원 문제는 행정적인 문제지 법리적인 문제는 분명히 아니거든요.
이걸 법적인 다툼으로 끌고 들어온 건 득이 없고 실만 있을 뿐입니다.
1
cheerful
이제 더 갈 곳도 없군요. 그냥 파국으로 가는건가 ㅎㅎㅎㅎ
바이오센서
조졌죠
cheerful
아무리 생각해봐도 ㅋㅋ 이 바닥은 정말 성실하게 열심히 하면 호구되는 판입니다 ㅋㅋㅋㅋ 빨리 튀는게 답일지도.. 아니면 진짜 욕심 버리고 대충 하던가 ㅎㅎ
오쇼 라즈니쉬
타이밍상 2심 쫑났을때 이미 끝난거였죠 뭐
바이오센서
애초에 법에 기댄 것 자체가 현실인식 부족...
2
구밀복검
2011년 포모스 최고의 밈이 그거였죠.. '법도 너 따윈 보호해주지 않지' '법에 기대려는 나약한 놈'
3
더샤드
다 로펌 자문 받고 하는거라지 않았나요...
매뉴물있뉴
요게 그..
1 전혀 승소 가능성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변호사가 고소인을 부추겨서 '이거 이길수 있어요'라고 꼬드긴뒤
소송을 성사시키고 수임료만 챙겨먹으려 했을 가능성도 있고
2 전혀 승소 가능성이 없다고 변호사가 조언했음에도 불구하고
고소인이 그냥 막무가내로 우겨서
'돈은 드릴테니 지더라도 최선을 다해서 소송 진행해주세요'해서 진행했을 가능성도 있고..

이런류의 그 승소가능성 없는 소송이 벌어지는게 꼭 그렇게 없는 일은 아닙니다.
갠적으로는 후자쪽이 현실에 가까웠지 싶읍니다.
그것보단 그냥 승소할수 있을거라는 믿음이 있는 의사출신 변호사와, 액션이라도 취해보려는 의사의 짝짜꿍 아니었나싶네요
1
열한시육분
기대했으면 격무로 인해 시사뉴스와는 5~8년간 멀어지는 직역 특성 때문에 무지해진 것이라고 봐야지요. 원고적격 인정과 고법 판사의 발언은 굉장히 전향적이었기에 혹시? 하게 만든 정도입니다. 1, 2심은 사실심, 3심은 법률심인 것을 아는 전공의~전임의가 얼마나 될지도 궁금하고요.
2
매뉴물있뉴
선생님 게시물 본문은 이 판결을 너무 정치적인 면에서만 보고 계신데
실제 법리적으로도 인용가능성은 0에 한없이 가까웠습니다.

의대 증원이 불합리 한가?
의대 증원이 이런 식으로 진행되면 기대되는 이익보다 손해가 더 클것인가?
대통령이 돌아이인가?
같은 질문이었다면 모두 맞는 말이지만, 집행정지 신청이라는건 이런 질문이 아닙니다.
집행정지라는건 '의대증원이 불법인가?'라는 질문이니까요.
'불법은 아닙니다'라는 반응밖에는 나올수 없는거죠.
7
바이오센서
저 또한 증원 정지를 판사가 인용하기에 법리적인 근거가 부족하다고 보았으나 동시에 고등법원에서 기각하며 내세운 근거들이 법적 판단이기 보다는 정부의 결정에 대한 정치적 옹호가 다수 포함되어있어 저는 판사들이 인용하거나 기각하거나 정치적인 결정으로 밖에 해석되지 않더군요. 제 분노가 눈을 흐렸을지도 모릅니다만 의대증원은 지극히 예외적인 속도로 법에서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경로만 골라 빠르게 가고 있으며 그것이 공공복리를 위해 의사들이 희생하는 것이 옳다는 방식으로 결론이 난다면 이 나라는, 적어도 이 나라의 정부와 재판정은 전체주의를 긍정한다고 보아도 좋을 것 같습니다.
매뉴물있뉴
그래도 20년 넘게 의대증원이 1도 없었던것 역시 매우 예외적인 상황이었던게 맞는 말이기 때문에
그정도 논리로는 대중이 전혀 설득되지 않을겁니다.

의대증원 국면이 시작된게 벌써 몇개월인데
반대논리도 의사들 안에서만 계속 순환하지 의사들 바깥 직역에 존재하는 사람들에게는 거의 영향을 못미치는것도...
지금 현재 이 사태에서 가장 피해자라고 할수 있는건
사실 의사들도 아니고 현재 지금 당장 중환자인 사람들이지 않겠습니까?
그사람들 입에서도 '정부는 사태를 해결하라'라는 말밖에 안나옵니다.
'의대증원 중단하라' 같은 구호... 더 보기
그래도 20년 넘게 의대증원이 1도 없었던것 역시 매우 예외적인 상황이었던게 맞는 말이기 때문에
그정도 논리로는 대중이 전혀 설득되지 않을겁니다.

의대증원 국면이 시작된게 벌써 몇개월인데
반대논리도 의사들 안에서만 계속 순환하지 의사들 바깥 직역에 존재하는 사람들에게는 거의 영향을 못미치는것도...
지금 현재 이 사태에서 가장 피해자라고 할수 있는건
사실 의사들도 아니고 현재 지금 당장 중환자인 사람들이지 않겠습니까?
그사람들 입에서도 '정부는 사태를 해결하라'라는 말밖에 안나옵니다.
'의대증원 중단하라' 같은 구호는 여전히 그 안에서만 맴돌아요.
돌파구가 안보이는건 둘째치고 돌파구를 찾을 의지 자체가 양쪽에 없는것 같아서
그냥 의사들은 일 안하고 정부는 의대증원 두배 뻥튀기 하는 결말로 그냥 돌진할 것 같습니다.
5
바이오센서
고등교육법 시행령에 1년 10개월 전 정원 및 입시 요강의 변경을 완료하게 한 것 역시 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는 경우에 대교협 승인을 거쳐 대입전형 시행계획의 변경이 가능하다 했는데 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부득이한 사유에 공공보건의 증진이라는게 포함될 수 있을까요? 애초에 이런 해석 하나하나가 판결에 어느 정도 주관성이 개입할 여지를 줄 수 있는데 법리적으로는 불법이 아니다라는 판결을 내리는 것은 하나의 가능성일 뿐이지 불가능의 영역은 아니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근데 전 애초에 재판에 기대할 것 없다는 주의였는데 매뉴물있뉴님이 이렇게 말하시니 되게 제가 재판에 기대하고 있던 사람이 되었네요 ㅎㅎ
매뉴물있뉴
'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부득이한 사유'라고 하시는 주장이 성립하려면
다른 사람들은 다 이 사유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교육부장관만 홀로 이 사유가 인정된다고 주장하는 상황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이 사유가 교육부장관만 인정하는 상황도 현재 아닙니다.
한때 잠시 화제가 되기도 했던 부산대도 학칙변경을 재심해서 승인했고
현재 시점에 학칙변경에 동의해주지 않은 대학은 없습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6... 더 보기
'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부득이한 사유'라고 하시는 주장이 성립하려면
다른 사람들은 다 이 사유가 부당하다고 주장하는 가운데
교육부장관만 홀로 이 사유가 인정된다고 주장하는 상황정도는 되어야 하는데
이 사유가 교육부장관만 인정하는 상황도 현재 아닙니다.
한때 잠시 화제가 되기도 했던 부산대도 학칙변경을 재심해서 승인했고
현재 시점에 학칙변경에 동의해주지 않은 대학은 없습니다.
https://www.yna.co.kr/view/AKR20240603066751530

교육부장관의 의견에 동조해주는 사람이 저렇게 많은데
이게 부득이한 사유가 아니라는 주장이 법정에서 인정받을수 있겠습니까.
그거보다는 더 설득력 있는 주장이 있어야 하지 않겠습니까.
바이오센서
그게 아니라 1년 10개월이라는 텀을 주는게 원칙인데 그걸 바꾸는 전제가 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부득이한 사유가 있다는 것이라니까요…; 이게 어떻게 많은 사람의 컨센서스와 연결이 되나요?
매뉴물있뉴수정됨
많은 사람의 컨센서스를 받지 않았습니까, '의대 학칙개정 32개교 모두 완료'되었잖아요?
바이오센서
매 선생님과는 대화가 늘 어려운 것 같습니다
매뉴물있뉴
애초에 많은 사람의 컨센서스 라는 포지션으로 갈아타셔서 주장을 펼치기가 더 힘들어진것도 있으실겁니다.
'소수이지만 합리적이다'는 포지션1으로 계속 밀고나가셔야 했는데 그 포지션을 버리고 '의대증원을 요구하는 쪽이 소수이다'는 포지션2로 갈아타셨는데
사실은 2번 포지션이 훨씬 설득력을 갖기 어렵지요. 게다가 그쪽포지션에는 갤럽에서 의대증원 찬성이 80%이 나왔다는 최후의 카드가 아직도 남아있읍니다.
바이오센서
저기요
제가 컨센서스가 필요하다고 한게 아니라
매 선생님이 교육부장관 외에 여러 대학에서 통과했다는 사실을 먼저 언급하셨어요.
저는 줄곧 교육부장관이 인정하는 특별한 사항이 과연 공공복리인가 아니면 정부의 정책에 대한 동조인가를 묻는 포지션이었는데 왜 제 포지션을 본인이 마음대로 바꾸시죠? 이러니까 매선생님과 얘기가 어렵다는겁니다.
과학상자
그건 아닐걸요? 집행정지 신청이 원래 그런걸 따지는 겁니다.

제23조(집행정지) ①취소소송의 제기는 처분등의 효력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에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②취소소송이 제기된 경우에 처분등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으로 인하여 생길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본안이 계속되고 있는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 또는 직권에 의하여 처분등의 효력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이하 “執行停止”라 한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처분의 효력정지... 더 보기
그건 아닐걸요? 집행정지 신청이 원래 그런걸 따지는 겁니다.

제23조(집행정지) ①취소소송의 제기는 처분등의 효력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에 영향을 주지 아니한다.

②취소소송이 제기된 경우에 처분등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으로 인하여 생길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긴급한 필요가 있다고 인정할 때에는 본안이 계속되고 있는 법원은 당사자의 신청 또는 직권에 의하여 처분등의 효력이나 그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의 전부 또는 일부의 정지(이하 “執行停止”라 한다)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처분의 효력정지는 처분등의 집행 또는 절차의 속행을 정지함으로써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경우에는 허용되지 아니한다.

③집행정지는 공공복리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을 때에는 허용되지 아니한다.

집행정지에서 주된 쟁점은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입니다. 처분이 위법했느나는 취소소송 본안의 쟁점이고요. 재판부가 처분이 진행됐을 때 의대생들의 손해보다는 처분이 정지됐을 때의 공공복리에 미치는 영향이 더 중대하다고 본 겁니다. 물론 집행정지도 본안의 승소가능성이 꽤 있어야 받아들여지니까 위법 여부도 중요하지만 그 위법이라는 것도 재판부가 판단하기 나름입니다. 행정행위라고 해도 당사자에게 준비할 시간을 안준다던가 뭔가 너무 과도한 조치가 취해졌을 경우 재량권 남용 어쩌고 하면서 사법부가 통제하게 되어 있어요. 그래서 징계나 과징금 이런 것도 너무 과도하면 법원에서 취소되는 거죠. 문재인 때 자사고를 일반고 전환한다 했을 때도 교육청이 거의 다 패소했습니다.
2
매뉴물있뉴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 자체가 발생할 지점이 없다고 보았기 때문에 말한것도 일부 있는것 같습니다.
의대증원 같은 이슈가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끼칠수 있는건 의대본체 정도에 한정되기 때문에
의대본체가 소송하겠다고 나서지 않은 이상 아예 쟁점이 될수 없지 않나 하고 생각했읍니다.
과학상자
행정소송의 룰로는 자격이 엄격하게 제한되니까 의대생으로 범위를 좁히면 그 손해라는 게 제한적으로 보이긴 한데... 매뉴님도 이런 식의 증원에서 기대되는 이익보다 손해가 더 크다고 보시잖아요. 저는 무리수라는게 명백하다면, 사법부의 통제대상이 된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법원이 정치적으로 감당하기 어려운 이슈라 인용가능성이 더 적었을 뿐 인용가능성이 0이라고 생각하진 않습니다.
1
매뉴물있뉴
저는 그건 너무 확대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프로그래머들이 코딩 국비과정에 소송건거랑 뭐가 다른가 싶어서..

의사 직역은 교육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국가가 일정수준 이상의 수입을 보장해주기 위해서 면허제한을 두는 건데
그걸 보호해줘야할 국가가 아 이거 좀 늘려야겠다고 생각했다면
거기부터는 제한이 걸릴수 없는겁니다.

이나라는 디폴트가 직업선택의 자유가 있는 나라인데
의대 정원은 그 직업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거잖습니까.
하지만 이번 정책은 그걸 디폴트 방향으로 돌리겠다는 정책이니까요
그걸 법원이... 더 보기
저는 그건 너무 확대해석이라고 생각합니다.
마치 프로그래머들이 코딩 국비과정에 소송건거랑 뭐가 다른가 싶어서..

의사 직역은 교육에 매우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국가가 일정수준 이상의 수입을 보장해주기 위해서 면허제한을 두는 건데
그걸 보호해줘야할 국가가 아 이거 좀 늘려야겠다고 생각했다면
거기부터는 제한이 걸릴수 없는겁니다.

이나라는 디폴트가 직업선택의 자유가 있는 나라인데
의대 정원은 그 직업선택의 자유를 제한하는 거잖습니까.
하지만 이번 정책은 그걸 디폴트 방향으로 돌리겠다는 정책이니까요
그걸 법원이 막아설수는 없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저도 이게 손해가 더 크다고는 생각합니다만
그건 '사회 그 자체'가 주체적으로 스스로 판단했다고 가정하는 거잖아요?
그럼 아예 무슨 그 '사회 그 자체'가 소송의 주체가 되어 소송을 걸어야 하는거 아닌가?
근데 그건 불가능하고
애초에 그 '사회 그자체'를 대변하는건 정부이고 대통령아닙니까
그런 정부와 대통령이 의대를 늘린다는데
'사회 전체로 봤을때 손해가 크다'는 논점으로 법원이 간섭할 틈은 없는것 같습니다.
과학상자
그래서 저도 룰상으로는 좀 어렵다고 보긴 한데, 법원이 매번 룰을 자로 잰듯 지키는 것도 아니고 법원이 마음만 먹으뭔 어떨 때는 올려붙였다 어떨땐 내려첬다 쭉쭉 늘렸다 줄였다 하는 곳 아닙니까. ㅎㅎ 뭐 이건 제 비뚤어진 시각일 수도 있겠지만... 저는 법원이 뭐 의지가 없었다 생각합니다. 대통령과 정부가 사회를 잘못 대표한다고 지적하는 게 법원의 역할이에요.
매뉴물있뉴
그 물론 맞는 말씀입니다만
법원입장에서, 그 '마음만 먹으면'의 범주에 들어가려면
여론이 월등히 압도적이다는 조건정도는 충족해줬어야 할것 같습니다.
하지만 현실은 (윤정부가 매우 인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의대정원을 해야한다는 여론이 너무 압도적이기 때문에
제가 볼때는 그 경우에도 이건이 해당하는것 같지는 않아보였습니다.
과학상자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에요. 헌재가 관습헌법을 들먹일 때 압도적인 여론 같은 게 없었고, 코로나가 창궐하는 가운데 법원이 집회 시위의 자유를 강조할 때도 월등한 여론 같은 건 없었습니다. 장기적인 정원 동결이나 일부 의사들의 트롤링 때문에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좌초시키는 게 법원에서는 상당히 부담이 되긴 했을 겁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증원은 동의해도 2000명은 무리라는 여론, 어떻게든 이 의료대란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는 여론도 상당했어요. 때문에 법원이 의지만 있었다면 그 여론에 기대어 정부의 잘못을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제동... 더 보기
항상 그런 것은 아니에요. 헌재가 관습헌법을 들먹일 때 압도적인 여론 같은 게 없었고, 코로나가 창궐하는 가운데 법원이 집회 시위의 자유를 강조할 때도 월등한 여론 같은 건 없었습니다. 장기적인 정원 동결이나 일부 의사들의 트롤링 때문에 정부의 의대 증원 정책을 좌초시키는 게 법원에서는 상당히 부담이 되긴 했을 겁니다. 하지만 한편으로 증원은 동의해도 2000명은 무리라는 여론, 어떻게든 이 의료대란이 시급히 해결되어야 한다는 여론도 상당했어요. 때문에 법원이 의지만 있었다면 그 여론에 기대어 정부의 잘못을 구체적으로 지적하며 제동을 걸 수도 있었습니다. 그랬다면 증원이 좀 뒤로 미뤄질 수는 있어도 비교적 합리적인 방안을 다시 만들어 추진됐을 수도 있었다고 생각해요. 저는 이 정권에서는 정치적 해법이 완전히 통하지 않는 가카 떄문에 유일한 출구전략은 사법부에서만 기대할 수 있다고 보았거든요. 그런데 사법부가 그걸 안했습니다. 이젠 완전히 망한 것 같아요.
국민의 건강보건이 헌법적인 권리인 나라에서 의대 증원으로 얻는 국민 전체의 이익이 의사들 개인의 소득 감소로 얻는 손해보다 훨씬 큰데 법리적으로 뭐 할 건덕지가 없습니다.
열한시육분수정됨
말씀하신 판단을 한 판결들이 아닙니다. 법원은 정책연구원이 아니고 그러한 미래 예측을 하는 기관이 아니지요. 저울 한쪽에는 '(나름 창의적인 명분인) 양질의 교육'이 있었고 반대쪽에는 '(성공한 의료개혁이 된다면 그것이 가져올) 공공복리'라는 추상적 개념이 있었던 것입니다. 그에 대하여 현재까지 주어진 근거만 놓고 판단을 하는데, 모든 개혁이 성공을 보장받고 시작될 수는 없고, 따라서 시도 자체를 좌초시키는 것은 문제가 있겠지요. 하지만 예를 들어, 제대로된 검토가 있었는지는 자료를 검토한 재판부가 의구심을 표합니다. https://www.donga.com/news/Society/article/all/20240517/124986269/12
1
이건 국회 복지위에서 복지부에 강력하게 추궁을 해야하는 사안이겠지요? -> 청문회 가는군요. 26일 ...
열한시육분수정됨
이 부분이 바로 함정이지요. '의대 본체'라는 개념자체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기계적으로 판례에만 기대면 원고적격 관련은 1심처럼 나옵니다. 그런데 이 맹점을 정확히 짚어서 전향적인 코멘트 및 판례를 남긴 것이 이번 고법과 대법인듯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뉴스 게시판 이용 안내 1 토비 16/09/01 29224 4
38877 게임한화생명·T1>젠지>디플러스 기아>KT?, 규모의 싸움 ‘쩐(錢)’ 쓴 한화생명이 증명했다 3 swear 24/09/19 847 0
38876 사회끝까지 기록 찍고 물러나는 더위…20일부턴 전국 '많고 거센 비' 7 the 24/09/19 976 0
38875 경제"월 50만원 부으면 5년 뒤 4027만원"…中企 재직자 저축공제 나온다 8 Groot 24/09/19 1212 0
38874 스포츠‘대시’ 이대성, 십자인대 파열…시즌아웃 위기 1 danielbard 24/09/19 796 0
38873 정치(단독)"대통령과 여사에게 전화했다. 내일 김영선 발표" 24 매뉴물있뉴 24/09/19 1563 0
38872 정치"군, '훈련병 얼차려 사망' 수사자료 고의 파기"…충격 폭로 5 활활태워라 24/09/18 1340 0
38871 국제헤즈볼라 호출기 동시 폭발…8명 사망·2750명 부상(종합) 15 다군 24/09/18 2675 0
38870 정치윤 대통령 15사단 방문…“전투식량·통조림 충분히 보급하라” 23 알탈 24/09/17 1582 0
38869 정치윤석열 정부의 모순된 ‘노동약자’ 프레임 3 오호라 24/09/17 958 1
38868 사회내년 고교 무상교육 없어지나…중앙정부 예산 99% 깎여 6 야얌 24/09/17 1651 0
38867 사회아버지의 결단, 어느날 달라진 제사....기리는 마음이 중요한 것 6 swear 24/09/17 1362 0
38866 국제저체중 추세가 우려되는 선진국 일본 42 오호라 24/09/16 2741 1
38865 정치코레일 암울한 미래… 달릴수록 ‘부채 늪’ 무려 21.3조 21 야얌 24/09/16 1647 1
38864 국제제2차 트럼프 암살 시도 발생 7 공무원 24/09/16 1766 0
38863 사회신장 이식받은 남편, 기증한 아내…이들의 ‘삶’ swear 24/09/15 1198 1
38862 기타매직펜으로 일기도 그리던 '날씨 아저씨'…김동완씨 별세(종합2보) 1 다군 24/09/15 1134 0
38861 스포츠기금을 개인연금에…? 돈관리 손놓은 대한체육회 1 swear 24/09/15 1087 0
38859 기타내가 죽으면 게임 계정 어떻게?…기업마다 천차만별 2 다군 24/09/14 1206 0
38858 정치[한일비전포럼] “한·일 관계 퇴행 막는 장치 필요…DJ·오부치 선언 2.0 만들어야” 3 dolmusa 24/09/14 933 0
38857 IT/컴퓨터손님 폰으로 자신에게 카톡 선물하기 한 대리점 직원 6 whenyouinRome... 24/09/13 1570 1
38856 IT/컴퓨터미 FDA, 에어팟 프로2 '보청기 기능' 승인 5 아란 24/09/13 1258 1
38855 정치“대통령실 이전, 방탄창호 15.7억 빼돌려” 감사원 적발 14 SOP 24/09/13 1578 0
38854 게임'스카웃' 이예찬, 롤드컵 못 갈 수 있다 11 swear 24/09/12 1446 0
38853 경제현대차·美 GM, 승용·상용차 공동으로 개발·생산한다 9 다군 24/09/12 1174 0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