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9/07 14:34:57수정됨
Name   레지엔
Link #1   http://www.medscape.com/viewarticle/850299?nlid=88105_2201&src=wnl_edit_medn_honc&uac=155799EN&spon=7&impID=814427&faf=1
Subject   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소아 갑상선암에 관련된 중간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2


    레이드
    링크해주신 뉴스를 읽어보았는데 유의미할 정도로 갑상선 암 관련 수치가 늘지 않아서 다행입니다. 하지만 꾸준한 관리가 필요하겠죠. 체르노빌처럼 되지 않을 것 같아서 우선적으론 다행이라고 봅니다.
    마르코폴로
    갑상선관련 질병은 분명 증가할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그렇지도 않은가보군요. 후쿠시마 원전사태가 아직까진 사람들이 느낀 공포감만큼의 파급력은 없는 것같네요.
    삼공파일
    방사선보다 더 무서운 게 비보험이었군요.
    레지엔
    뭐 현실적으로는 그렇죠(..) 당장 CT vs MRI 논쟁에서도 MRI가 피폭 관련해서 절대적 이점을 가졌음에도 비용 문제에서 상대가 안되니 primary tool의 위치를 못 빼앗아오기도 하고.
    덧붙여서 이야기하자면 갑상선이 방사선에 대해 취약한(감수성이 높은) 기관입니다. 갑상선에서 이정도면 다른 암도 별 문제가 없을 거라고 보는게 합당할 것 같네요.

    그리고 레지엔님 예전 커피글도 그렇고 메드스케이프 자주 보시는 것 같은데, 비슷한 사이트 중에 메드스케이프가 제일 괜찮은 편인가요?
    레지엔
    부연하자면 방사선-암 발생의 분자 레벨에서의 매커니즘과 실제 통계치의 결합을 동시에 이뤄낸 암 자체가 몇 개 안됩니다. 분명히 다양한 악성 종양을 늘리긴 하지만... 그 점에서 갑상선암, 특히 소아 대상에서의 이 데이터는 안전성에 대해서 상당히 신뢰할만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추적관찰 기간이 짧아서 유병률 총합을 구해내지 못했다는 한계는 있어도...

    저는 메드스케이프 메일 서비스로 계속 보고 있습니다. 이거라도 안 보면 제 전공 아닌 다른 분야는 업데이트 어떻게 되어가는지 완전히 깜깜이가 될 것 같아서..... 더 보기
    부연하자면 방사선-암 발생의 분자 레벨에서의 매커니즘과 실제 통계치의 결합을 동시에 이뤄낸 암 자체가 몇 개 안됩니다. 분명히 다양한 악성 종양을 늘리긴 하지만... 그 점에서 갑상선암, 특히 소아 대상에서의 이 데이터는 안전성에 대해서 상당히 신뢰할만한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고 볼 수 있겠습니다. 추적관찰 기간이 짧아서 유병률 총합을 구해내지 못했다는 한계는 있어도...

    저는 메드스케이프 메일 서비스로 계속 보고 있습니다. 이거라도 안 보면 제 전공 아닌 다른 분야는 업데이트 어떻게 되어가는지 완전히 깜깜이가 될 것 같아서... 제가 다른 곳에 비해서 메드스케이프를 더 애용하는 이유는 얘네가 일단 기사 숫자가 제일 많고, 교육용 자료의 전문성과 신뢰성 확보가 가장 잘되어있고(패널이 아주 후덜덜합디다; 제 전공 관련된 부분 몇 개 봤는데 학회 좌장급도 아니고 메인 이벤터급들이 주루룩 앉아서 서로 떠드는데 저같은 꼬꼬마는 그냥 입닫고 보기만 해야될 지경...), 기사의 대부분이 출간 자료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레퍼런스의 체크가 용이합니다. 서술 방식도 통념적 서술, 저자 개인의 생각, 메드스케이프 편집자의 생각을 확실하게 구분한 편이고... 의료 연구 관련 뉴스로는 총체적으로 가장 낫지 않나 생각합니다.
    한때 필받아서 저거 비슷한 데 여러군데 가입했는데, 메일이 자꾸 오니깐 쌓이기만 하고 못 읽겠더라고요... 한 개 정도만 남기고 정리하려고 했는데 감사합니다 ^^
    김연아
    오오. 그렇군요.

    저도 메드스케이프 메일 서비스 받아야 겠네요~
    저도 메드스케이프 메일로 옵니다. 가끔 아주 읽어보고 싶은 내용들이 있어서 제목은 웬만하면 읽어봅니다.
    추천 강화군요.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길 ^^
    내부피폭 이런 게 별로 없었단 걸로 이해하면 되나요? 그 먹어서 돕자인가 뭔가 하는 캠페인이 워낙 충격이어서요.
    레지엔
    그랬을 가능성이 높다(내부피폭이 없었거나 있었어도 유해한 수준에 이르지 못했거나 극소수만이 심각한 피폭을 당했다)가 결론입니다. 기사에는 일단 음식으로 인한 추가적인 피폭의 영향이나 정도에 대해서는 unclear하다고 말하고 있고, 이 결과는 개개인의 피폭량 그 자체라기보다는 피폭 결과의 한 지표를 기준으로 분석을 한 결과입니다. 그 지표(=갑상선암 유병률) 자체가 상당히 신뢰받는 지표라서 의미있는 레포트이긴 합니다만...
    확실하게 안전하다고는 장담 못하지만 우려만큼 일본이 헬게이트 열리는 건 아니라는 거군요. 다행이네요.
    삼공파일
    사실 지금까지는 아무것도 없었다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닐 겁니다. 이런 사태가 이례적이고 안심할 수 있다는 증거도 없고 계속 이렇게 관찰하고 리포트하는 수 밖에 없죠. 당장 좀비 세상이 될 것 같다는 두려움은 과도했다는 정도인데 그것도 뭐 알고 있었던 거고 그렇다고 일본 정부 신뢰도가 올라간 것도 아니고요.
    그래도 요렇게 자료로 나오니까 좀 덜 찜찜한 기분이네요. 앞으로도 긍정적인 결과가 나왔으면 좋겠어요.
    마르코폴로
    웃으면 안되는 사안이지만 \'먹어서 돕자\'는 들을 때마다 피식하고 웃게 되네요.
    연예인 누구 하나가 실제로 피폭되었다는 소릴 들었던 거 같은데 참 이해하기 어려운 운동이었어요.
    전 사실 어떨때는 이게 웃을일일까 하는 생각도 솔직히 있었습니다. 요즘 페북에 많이 나오던데 그 지식의 정도와 확신도에 대한 U자 곡선이 방사능에 대해서 딱 맞는 거 같아요. 후쿠시마 터지고 24시간 뒤던가 한국에 비온다고 휴교령 내린건 정말 쪽팔리는 난센스였지요. 메르스 휴교도 비슷하고. 제 지식으론 이게 먹으며 극복하자 보다는 더 말도 안되는 처사였습니다만 항상 겪을때는 몸사리게 되는게 후회스러워요.
    마르코폴로
    저는 저 캠페인이 카미가제니 옥쇄니 하는 것들과 같은 맥락에서 읽혀서 실소가 나오더군요. 일본의 \'먹어서 응원하자\'나 한국의 휴교령이나 사회의 불안을 어떤 방식으로 해소하는가의 문제로 봐야할텐데 한국의 대응이 한심한 수준 정도로 받아들여지는 반면 일본의 것은 혐오에 가까운 감정을 불러일으키네요.
    Beer Inside
    내부피폭이라는 것 자체가 모호한 개념이라서요.

    방사선이라는 것이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 보다 내부장기 가까운 곳에서 노출되는 것이 더 위험하다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데,
    노출되는 양이 아닌 노출되는 위치에 따른 위험도가 산출되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절대적인 노출량(피폭량)에 따른 부작용이 선형화되어서 나오지 않는데,
    절대량이 아닌 노출위치에 따른 위험도가 차이가 나기가 어렵지요.

    위장에 방사능 물질이 있다고 해도 피부에서 대략 10-15cm이내에 방사능 물질이 있는데, ... 더 보기
    내부피폭이라는 것 자체가 모호한 개념이라서요.

    방사선이라는 것이 외부에서 노출되는 것 보다 내부장기 가까운 곳에서 노출되는 것이 더 위험하다는 것이 전제가 되어야 하는데,
    노출되는 양이 아닌 노출되는 위치에 따른 위험도가 산출되어 있는지 모르겠습니다.

    방사선 치료를 받는 환자들도 절대적인 노출량(피폭량)에 따른 부작용이 선형화되어서 나오지 않는데,
    절대량이 아닌 노출위치에 따른 위험도가 차이가 나기가 어렵지요.

    위장에 방사능 물질이 있다고 해도 피부에서 대략 10-15cm이내에 방사능 물질이 있는데,
    피부에 방사능 물질이 붙어있는 것과 비교하면 얼마나 유의미한 차이가 있을지 알 수 없으니까요.
    아하, 저는 내부 피폭이면 훨씬 치명적인 거라고 생각했는데 생각보다 데이터가 별로 없나보군요.
    Beer Inside
    그건 감상적인 것이고.... 실제로는 피폭량이 중요합니다.

    물론 같은 피폭량에도 환자마다 반응이 다르다는 것도 문제일겁니다.
    애매한 구석이 있지요. Cs이나 요드 같이 조직에 축적됨이 알려진 것들에 대한 위험도는 어느정도 직관적으로 이해가 가지만 위장에서의 흡수율이 얼마나 될지..
    내부피폭이라면 피폭의 왕인 핵의학검사에 비하면 얼마나 유의한 차이가 있을지
    감수성이 다른 장기의 biodistribution이 어떻게 될지 등등 말이죠. 어짜피 지금 산출된 위험도도 두번의 원폭이랑 얼마 없던 멜트다운으로 인한 암발생률을 외삽한 결과이고
    진단적 목적의 저선량 피폭의 암과 집단적 관련성은 이제 정설로 되는 분위기지만 실제로 개체에서 얼마만큼 예측가능한지도 아직 미지수죠.
    그래서 전 열심히 일본에 가서 회를 먹습니다?
    새의선물
    진단 목적의 저선량 피폭과 암 관련하니 생각나는 논문이 있네요. Risk-Benifit Analysis가 잘 되어야 할 부분같아요. 어느 정도 위험이 있는건 맞지만 그것을 넘어서는 효용이 있는데, 언론에서 그 부분은 좀 무시되는 경향이 많더라고요.

    http://ac.els-cdn.com/S0001299814000142/1-s2.0-S0001299814000142-main.pdf?_tid=f2b6e972-5572-11e5-8bcb-00000aacb35f&acdnat=1441638969_efabebee08987dbf2ac06fb3816aa009
    언론이 다룰 만큼 쉽지 않으며 선정적이지 않으니 당연하지 않을까 싶기는 합니다. 영상의학과 의사로 현실적으로 겪는 딜레마는 오히려 임상의사들하고 입니다. CT같은 경우 dose 감소를 위해서는 저선량/저전압도 중요하지만, 페이즈를 줄이고 스캔 범위를 줄이는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하지만 매번 인턴들의 임상정보란에는 복부CT는 폐포함시켜주세요.. 흉부 CT는 신장 포함시켜주세요 등등이죠.. 멀쩡한 CT 놔두고 또 리피트 하기도 하고.. 선량이 얼마나오는 지도 모르는 무시무시한 옛날 CT들도 돌아가기도 하니 말입니다.
    새의선물
    임상쪽에서는 그런 일들이 있군요. 암튼 피폭되는 양을 줄이는게 뭐라고 해도 도움이 되는건 사실일테니, 적절하게 선택을 하셔야겠죠.
    조금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핵의학 검사에 굳이 피폭의 왕이라고 언급하시는 것은 일반인들에게 어떤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점에서, 불필요하고 부적절한 것 같습니다. 아마 말씀하신건 내부피폭끼리 비교하고자 하신거지, 다른 걸 의도하시진 않으셨겠지만요. 피폭량은 검사에 따라 천차 만별이라 일반화 하면 안되고, 그리고 가장 일반적인 F-18 FDG PET/CT 같은 경우도 10~15mSv 수준으로 영상의학과의 조영 복부 CT 검사 등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오히려 핵의학 검사는 전신에 걸쳐 나누어져서 받는 양이라 국부 조사량과 비교하기도... 더 보기
    조금 다른 이야기입니다만, 핵의학 검사에 굳이 피폭의 왕이라고 언급하시는 것은 일반인들에게 어떤 부정적인 이미지를 형성하는 점에서, 불필요하고 부적절한 것 같습니다. 아마 말씀하신건 내부피폭끼리 비교하고자 하신거지, 다른 걸 의도하시진 않으셨겠지만요. 피폭량은 검사에 따라 천차 만별이라 일반화 하면 안되고, 그리고 가장 일반적인 F-18 FDG PET/CT 같은 경우도 10~15mSv 수준으로 영상의학과의 조영 복부 CT 검사 등과 비슷한 수준입니다. 오히려 핵의학 검사는 전신에 걸쳐 나누어져서 받는 양이라 국부 조사량과 비교하기도 그렇죠. 어쨌든 진단적 검사 목적에서 검사당 피폭량은 높지 않은 수준에서 형성되고 (치료 선량은 아예 다른 얘기이고요), 이마저도 학회차원에서 되도록 10mSv안으로 넣으려고 노력중입니다. 그리고, 대부분이 건강검진 목적이 아닌 상태에서 하는거라 의료용 방사선량 제한이 없다는 것을 생각하면, 일반인들이 핵의학 검사에 굳이 두려운 이미지를 가지게 하시지는 않으셨으면 합니다.

    그리고 Zel님께 드리는 말씀은 아니지만, 쓰는 김에 덧붙이면, 내부피폭이 문제되는 것은 베타 선에 관한 부분이 큽니다. 고에너지를 배출하는 베타 선 방출 방사선 핵종(일반적으로 검사용이 아닌 치료용 핵종입니다.)을 섭취하면 장 점막에 데미지를 주거나, 흡수 장기에서 데미지를 주죠. 갑상선 암발생율을 주의깊게 보는 것도 베타 선 방출 핵종인 I-131 때문이고요. 그마저도 당장은 가시적인 피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는게 지금까지의 후쿠시마 사태 후의 흐름인것 같습니다.
    말씀듣고 보니 그러네요. 선정성을 비판하면서 오히려 더 부적절한 용어를 썼습니다. 그래도 그 뜻을 알아주시니 감사합니다.
    세상의빛
    기다리던 기사입니다 아직 장기관찰 결과가 더 필요하겠지만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704 꿀팁/강좌흔들림 없는 사진을 얻기 위한 적정 셔터 스피드 구하기 18 메존일각 24/05/26 2623 7
    11637 사회흑인리버럴과 흑인보수 14 은머리 21/05/04 5791 29
    10653 일상/생각흑인들이 죽을 수밖에 없는 국가 미국 16 가람 20/06/05 6655 59
    11974 사회흑인 정체성정치의 피로함과 미국의 맑시스트 13 은머리 21/08/10 5598 17
    14954 요리/음식흑백요리사 8~9화 팀전 우승팀 분석 (스포) 10 타는저녁놀 24/10/03 1352 3
    2047 일상/생각흐린 일요일 아침... 4 새의선물 16/01/18 4311 0
    1826 일상/생각휴학하고 싶어요. 12 化神 15/12/21 8100 2
    13789 일상/생각휴직중에 만들어주는 마지막 카레가 될지도 모르겠네요. 4 큐리스 23/04/26 2733 9
    12929 IT/컴퓨터휴직된 구글 직원과 인공지능의 대화 전문 7 Jargon 22/06/18 5072 7
    1109 일상/생각휴지는 자본주의의 상징이다. 4 까페레인 15/09/27 7060 0
    9146 꿀팁/강좌휴일 주말 어린이대공원, 상상나라 주차 어려울 때 11 토비 19/05/01 8211 7
    8940 여행휴양지 장단점 간단정리 (1) - 하이난 14 그저그런 19/03/06 6293 1
    3764 음악휴식을 취할 때 듣기 좋은 소리들 4 Ben사랑 16/09/24 6839 1
    4733 게임휴식기에 잠시 써보는 롤챔스 이야기 4 Leeka 17/02/01 4450 1
    8677 스포츠휴식기에 돌입한 라 리가와 분데스리가 5 손금불산입 18/12/24 4210 0
    6513 스포츠휴스턴 애스트로스 창단 첫 월드시리즈 우승.jpg 1 김치찌개 17/11/03 4192 0
    12004 게임휴먼카인드 리뷰 6 저퀴 21/08/22 5459 7
    7656 경제휴대폰 케이티신분들 할인정보에요 11 아리아 18/06/11 4695 0
    8133 일상/생각휴대폰 구매 보고서(feat. 신도림) 15 mmOmm 18/08/29 8098 0
    825 일상/생각휴가가 잘렸습니다. 12 세인트 15/08/21 5553 0
    473 기타휴..휴가다~!!!여..여행을 가자~~~!! 36 damianhwang 15/06/30 7403 0
    5881 게임훔바훔바의 FM2017 1시즌 결과 4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7/07/03 8449 0
    13004 정치훈수질이라는 것이 폭발한다 17 매뉴물있뉴 22/07/17 4488 1
    14693 스포츠후쿠오카 인근 골프장 리뷰 2 danielbard 24/05/20 2134 4
    942 의료/건강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소아 갑상선암에 관련된 중간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29 레지엔 15/09/07 6950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