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10/16 22:36:13수정됨
Name   메아리
Subject   은탄환의 딜레마
  There is no silver bullet. ‘은탄환은 없다’라는 영어 속담입니다.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마법의 은탄환, 다시 말해서 모든 문제를 일거에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은 없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아시겠지만, 이 속담의 기원은 늑대인간 전설입니다. 늑대인간을 잡을 수 있는 최적의 솔루션이 바로 이 은탄환입니다. 그런데 은탄환이 없다고 합니다. 이것이 의미하는 바는 대체 무엇일까요?

  유명한 SW 설계자인 프레드릭 브룩스의 논문 제목이기도 한 이 속담은 SW업계의 금언으로 자리 잡아 있습니다. 브룩스는 이것을 프로젝트에서 발생한 문제를 한 방에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은 없다는 것을 말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대부분의 해결이 힘든 문제는 복합적이기 마련이고 그래서 해결책도 복합적일 수밖에 없습니다. 즉, 단 하나의 방책으로 문제가 일소에 해결되는 것은 요원하다는 의미입니다.

  이것은 비단 프로젝트에서만의 문제가 아닙니다. 우리의 삶도 마찬가지입니다. 삶은 사실상 문제의 연속, 하나의 문제가 해결되기도 전에 다음 문제가 들이닥치기 마련입니다. 혹은 이전 문제의 해결책이라 생각했던 것이 다음 문제의 촉발점이 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삶에서 우리의 문제를 해결해줄 단 하나의 해결책이 있을 리 만무합니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문제가 복잡해지면 복잡해질수록 사람들은 단 하나의 해결책, 은탄환을 바라게 됩니다. 왜냐하면 문제의 해결이 정말로 불가능해 보이기 때문입니다. 절망은 환상을 만들 게 하고 비현실적이 되게 합니다. 그 복잡하고 많은 문제를 해결한다는 것은 정말 힘들기 때문입니다. 그 힘듬, 버거움이 사람들로 하여금 은탄환을 찾게 합니다.

  근대 무렵 인류는 과학기술이 은탄환인 줄 알았습니다. 그 당시 온갖 과학기술들이 인류를 질병과 기아의 위협으로부터 획기적으로 구해낸 것이 사실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지금은 과학기술을 은탄환이라 생각하기엔 무리가 있습니다. 많은 과학기술의 성공이 우리의 삶을 풍요롭고 윤택하게 만든 것은 사실이나, 또 다른 실패의 원인이 되기도 했기 때문입니다. 우리의 문제는 우리가 더 과학적이지 못해서 해결되지 못하는 것이 아니니까요.

  문제는 은탄환 자체에 있다기보다, 은탄환에 대한 바램에 있다고 해야 할 것입니다. 은탄환을 원하는 바램은 은탄환처럼 보이는 무엇을 계속 만들어 내게 합니다. 이 은탄환을 향한 갈망은 이러한 과정을 통해 오히려 또 다른 유형의 문제를 만들어 내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은탄환의 딜레마입니다. 그러한 갈망이 다른 차원의 문제를 발생시켜 결국 해결책과 더욱 거리를 두게 만들고 만다는 겁니다. 인류의 역사에는 이러한 식의 접근이 상당히 많았습니다. 과학기술에 대한 일부의 맹목적 숭배도 그러한 모습 중 하나였고, 이전 세기의 막시즘, 종교나 신비주의에 대한 맹목적 접근도 마찬가지입니다. 돈과 우상에 대한 숭배 등도 은탄환을 원하는 갈망이라 말할 수 있다. 사실은 과학기술, 막시즘, 종교, 신비주의, 돈, 우상 등, 그 자체에 문제가 있었다기 보다는 그것을 바라보는 사람들의 마음가짐이 문제였던 겁니다.  

  문제가 복합적이고 다층적이면 그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의지가 약해질 수 있습니다. 갑자기 복합적이고 어려운 수학 문제가 던져지면 그것의 풀이를 쉽게 포기하듯이 말입니다. 은탄환을 원하는 사람들의 갈망이 문제인 이유는 그것이 문제를 일거에 초월해 버리려는 태도의 투사이기 때문입니다. 앞서 말했듯이, 그런 갈망은 문제 자체도 해결하지 못할 뿐 아니라 그 문제와는 다른 방향의 문제를 더불어 출현시키기도 합니다. 문제가 해결되기를 원하지만 그것의 해결방법으로 은탄환을 원하면 원할수록 문제는 더 복잡해지게 됩니다. 의도만으로는 소용없습니다. 더불어 수단도 적절해야 합니다. 비록 결과는 장담하지 못할지라도 말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떠한 태도를 취해야 할까요? 해봐도 소용없을 테니 일찌감치 포기하는 게 맞는 걸까요? 마치 수학시험에서 모르는 문제는 과감히 포기하고 아는 문제에 집중하는 식으로 말입니다. 그게 아니라면 우린 문제와 그 해결책에 대해서 어떤 태도를 취해야 하는 걸까요?

  은탄환이 없다라는 것을 인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사실에 대한 인정은 중요합니다. 그래야 더 이상 은탄환을 찾으려 하지 않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러한 과정을 거쳐 있지도 않은 은탄환을 찾는데 에너지를 쏟는 대신에 좀 더 현실적이고 도움이 되는 솔루션을 찾는데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태도는 적어도 있지도 않은 은탄환에 대한 갈망으로 생기는 문제는 피할 수 있게 합니다. 그리고 직면한 문제 그 자체에 집중할 수 있게 됩니다. 모든 문제를 예측하고 한방에 해결할 수 있는 솔루션은 없습니다. 사회, 그리고 개인의 문제 역시 복합적이고 다층적이기 때문에 결코 쉽고 간단하게 해결될 수 없습니다. 다시 말해서, 초월적 해결방법은 없다는 것입니다. 초월은 해결방법이 될 수 없습니다.

  우리는 확실하게는 아니지만 어렴풋이 경험적으로 알고 있습니다. 삶에 은탄환이 없다는 사실을요. 하지만 안다는 것과 바란다는 것은 다른 차원입니다. 은탄환이 없다는 사실을 알긴 하지만 동시에 은탄환이 있기를 바라기도 합니다. 양가(楊家)적입니다. 그 어려움을 다 견뎌내기 힘들기 때문에 우리의 삶에 그런 마법적 해결책이 있었으면 합니다. 우리에게 필요한 것 중에 하나는 문제를 인정하고 그 문제가 해결되기까지 문제가 주는 어려움을 견뎌내는 힘이라 할 수 있습니다. 우리에게 주어진 시간을 너무 짧게 볼 필요가 없습니다. 어려운 문제를 어려운 문제로 인정하고 그 어려움을 견디면서 풀어나가는 수밖에 없습니다. 그런데 그 ‘견딜 수 있게 해주는 힘’은 무엇일까요? 무엇이 우리를 그 어려움에서도 견딜 수 있게 해줄까요?



19
  • 명탐정코난에서 은탄환얘기가 나오더니 이런얘기였군요
  • 좋은 이야기 감사합니다.
  • 곱씹어보게 되는 글 감사합니다
  • 아 .. 이가슨 탐 조은 글입니다


CONTAXS2
회의때 써먹어야겠다!
뭔지 너무 알고싶네요. 그게 뭔지...
곰돌이두유
희망이요. 내일은 오늘보다 나을 거라는 희망.
절름발이이리
대개는 해결책과 무관하게 견딜만한 문제를 견디는 것이지요.
레지엔
은탄환이 없을 경우 축성받은 말뚝을 사용하거나 심장을 꺼내고 목을 자르거나 알파를 찾아서 죽이고 알파의 피를 먹이는 방법이 있...
두번째 문단 발췌해서 개인적으로 가지고있어두 되겠읍니까?? 요즘 너무 공감가서 배경사진으루 쓰고싶네욤 ㅜ
맥주만땅
하지만 우리는 은탄환을 가지고 있다는 정치인에게 표를 주고 은탄환을 쏴 보라고 하지요.

그 탄환이 누구를 죽일지는 모르지만....
""현실을 설명하는 유일무이한 방법은 없다.
(There is no unique picture of reality.)"

호킹이 한 말이라고 합니다. 일맥상통하는 이야기로군요, 인식론과 방법론의 차이는 있습니다마는.
곰곰이
구구절절 와닿습니다. 여러 번 다시 읽어야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복잡한 문제에 대한 복잡한 해결책을 찾고 거기서 촉발된 또 다른 문제에는 또 다른 해결책이 필요하고, 그렇게 우주의 엔트로피는 조금 더 증가하고, 인류는 소멸의 길에 한걸음 더 다가서게 되는 걸까요? 흐흐흐
문제에 마주했을 때 견디지 못하고 도망가거나, 도망갈 수 없는 문제 앞에서 이른바 '마음이 무너진 사람들'이 생기는 반면 그렇지 않은 사람들이 항상 있어왔고 이들에 대한 논의는 영웅과 인내에 관한 오래된 떡밥이 아닌가 생각합니다.

역경이나 어려운 문제 내지는 스트레스 상황에 부딪혔을 때 이 문제에 맞서 해결해보려는 속성을 자아탄력성이라 하는데, 이게 가정에서 신뢰와 지지를 받고 자란 사람에게 높게 나온다고는 하는데 막상 주변 사람들을 보면은 온갖 역정을 겪으면서 자란 사람들이 문제를 더 잘 견디는 것 같은 느낌도 듭니다;;

이도저도 아니면 유전자탓(...)으로 몰고 가서 태어날 때마다 고통의 역치값이 다른 걸지도 모르겠다고 결론을 내려야 할 지도 모르겠습니다.
칼라제
제가 특정 이데올로기를 신봉하는 사람들을 싫어하는데 그 이유를 잘 얘기해주셨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8690 IT/컴퓨터미소녀 캐릭터를 채색해주는 인공지능 3 토비 18/12/27 8452 3
8689 일상/생각전여자친구의 현남친의 지인이 된 이야기 1 Xayide 18/12/27 4365 0
8688 음악이어폰 너머로(나의 아저씨 트리뷰트ㅋ) 4 바나나코우 18/12/27 3963 1
8687 꿀팁/강좌GIF 이미지 리사이즈 하기 4 토비 18/12/27 5944 5
8686 게임[LOL] 12월 27일 목요일 오늘의 일정 10 발그레 아이네꼬 18/12/26 4052 1
8685 일상/생각아무것도 아니라고 생각했던 때가 있었습니다. 1 Nuwara Eliya 18/12/26 5053 0
8684 음악[팝송] 알렌 워커 새 앨범 "Different World" 2 김치찌개 18/12/26 4117 0
8683 오프모임송년회 벙 & 전시관람 15 무더니 18/12/26 4799 5
8682 기타요즘 보고 있는 예능(2) 김치찌개 18/12/26 3614 0
8681 일상/생각통영 여행에서 알아두면 좋을 꿀팁들. 7 메존일각 18/12/25 4092 17
8680 게임[LOL] 12월 26일 수요일 오늘의 일정 13 발그레 아이네꼬 18/12/25 3954 0
8679 정치최근 논란이 된 유시민 발언 영상 및 전문 31 化神 18/12/25 6049 5
8678 게임[LOL] 12월 25일 화요일 오늘의 일정 4 발그레 아이네꼬 18/12/24 3385 0
8677 스포츠휴식기에 돌입한 라 리가와 분데스리가 5 손금불산입 18/12/24 4198 0
8676 일상/생각(4mb 짤) ebs 다큐 '자본주의' 5부작 요약글 19 벤쟈민 18/12/24 7444 4
8675 게임최고의 올스타 게임. 슈퍼 스매시 브라더스 얼티밋 후기 2 Leeka 18/12/24 4301 2
8674 게임[LOL] 12월 24일 월요일 오늘의 일정 2 발그레 아이네꼬 18/12/23 3652 3
8673 게임수렵의 시간이다! 몬스터 헌터 : 월드(MHW) 리뷰 2 Weinheimer 18/12/23 5272 5
8672 방송/연예2018 연예대상 KBS 6 헬리제의우울 18/12/23 4204 2
8671 영화보헤미안 렙소디 12회차 (서면CGV 싱어롱) 후기 + 알겠슘돠 18/12/23 3657 0
8670 오프모임[급모집] 12/22(토) 점심 식사 or 차 함께 하실 분?! 17 18/12/22 4418 2
8669 음악동사묘 바나나코우 18/12/22 3808 3
8668 기타홍차넷 아바타 온천 - 2 11 温泉卵 18/12/21 4763 13
8667 일상/생각한국의 주류 안의 남자가 된다는 것 30 멜로 18/12/21 6573 49
8666 정치스물 다섯 살까지 저는 한나라당의 지지자였습니다 (6) 5 The xian 18/12/20 3977 2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