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8/18 00:27:29
Name   세상의빛
Subject   하기 싫은 이야기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글 올립니다.
저번에 검진에 대한 글을 쓰고 기약 없이 시간만 보냈었는데, 이것저것 하느라 바빴습니다. 네. 핑계죠. 게으른 저를 반성합니다.

얼마 전의 일입니다. 64세의 여자 분이고, 우리 병원에서 검진을 받으셨습니다. 요새 몸이 이상이 있는 것 같아 궁금해서 검진을 받게 되었다고 말씀하시는 그 분은 수수한 옷차림이었지만 기품이 있으신 분이었습니다.

평소 주 3회 피트니스 센터에서 운동을 하며, 주말에는 골프를 즐기시는 분으로 평소 건강에는 자신 있었는데 12개월 전 당뇨병을 진단받고 나서는 몸이 이상해졌다고 합니다. 어떤 점이 이상해지셨냐고 여쭤보니 체중이 8Kg 빠지고, 혈당 조절이 잘 안된다고 합니다. 당뇨병이 있으면 체중이 빠지고 혈당 조절도 잘 안 될 수도 있다고 말씀드리니, 그 정도는 이제 본인도 잘 아니까 혹시 다른 원인은 없을까 물어보시더군요. 몇 가지 가능한 원인을 말씀드리고 검사 결과를 보자고 하였습니다.  그 후 일주일이 지나고, 전공의 선생님이 검진 결과 판정을 봐달라고 해서 보던 중 cancer list에 ‘pancreatic cancer(췌장암)’가 쓰여 있던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환자 명을 보니 그 분이더군요.

보통 검진 중 발견되는 암은 대부분 ‘조기 위암’이 대부분이고, 그 다음은 ‘진행성 위암’,‘대장암’, ‘갑상선암’ 등이 뒤를 따르는 편이죠. 물론 검진센터 별로 차이는 있습니다. 하지만 췌장암은 그렇게 흔하지는 않지만 잊을 만하면 튀어나오는 녀석입니다. 그리고 검진하는 의사 입장에서는 가장 골치 아픈 질환이기도 하죠.

건강 검진의 목적 중의 하나는 암의 조기 진단입니다. 빨리 발견하여 치료함으로써 높은 생존율의 향상을 기대하는 것이죠. 조기 암이라는 명칭이 붙으려면 발견된 암에 대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면 5년 생존율이 적어도 80-90% 정도는 기대되어야 합니다. 근데 췌장암의 5년 생존율은 5% 미만입니다. 또한 현재까지 췌장암에 대한 유일한 치료는 수술적 완전 절제 뿐인데, 수술을 받은 환자도 5년 생존율이 30%을 넘지 못합니다. 조기 위암 혹은 조기 대장암과 같이 좋은 예후를 보이는 조기 췌장암을 임상적으로 정의할 수 없는 문제가 있는 것이죠.

문제는 이 뿐만이 아닙니다. 췌장암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적절한 검사방법이 없습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선별검사(screening test)로 쓰일만한 검사가 없습니다. CT, MRI, MRCP(자기공명 췌담관 조영술), EUS(내시경 초음파) 등 여러 검사 방법이 연구되었지만 아직까지 선별검사에 적합한 검사는 없는 실정입니다. 위암과 대장암에서 내시경이라는 훌륭한 도구가 있는 것과는 정반대의 상황이죠.

다시 환자 분 이야기로 돌아가면, 전화로 검진 결과를 상담하기로 했던 환자 분은 질환이 질환이니만큼 제가 직접 전화 드려서 병원으로 오시라고 말씀드렸습니다. CT와 CA 19-9(췌장암 표지자인데 진단적 가치는 없는 검사입니다) 검사 결과를 설명해드렸습니다. “현재까지 의학으로는 환자 분의 병은 고칠 수 없다.” “죄송하지만 제 능력 밖의 문제라서 이 분야를 전공한 다른 의사를 소개시켜드리겠다.” 언제나 하기 싫은 말이지만, 꼭 드려야 하는 말씀이니까 최대한 충격을 덜 받으시도록 노력했습니다. 환자 분은 말씀이 없으셨습니다. 수분 간의 정적이 흐른 뒤 그 분은 다른 병원에 가서 진단을 다시 받아보겠다고 하시며 일어나셨습니다. 저는 말없이 그 분의 뒷모습을 바라볼 수밖에 없었습니다.

언젠가 국가 암검진에 췌장암이 들어가게 되는 그 날을 기대하면서 글을 마칩니다.



0


    레이드
    저희 할아버님도 췌장암이셨기에.. 참 남의 말 같지가 않네요.. 후. 참 뒷맛이 씁쓸합니다.
    세상의빛
    환자와 가족이 감당해야 하는 무게는 잔인할 정도죠
    레이드님께 심심한 위로의 말씀을 드리겠습니다
    언젠가 이 질환도 극복할 그 때를 기다려야죠
    레지엔
    췌장암이 참 진짜 어이없을 정도로 황당한 질환이긴 하더군요. 자궁내막암으로 관찰하던 환자가 정기 관찰 도중에 한 4-5센티 정도 되는 췌장 종양이 발견돼서 리뷰해보니까 3개월 전에 1센티미터 미만, 그것도 영상 소견에서 저명하지도 않아서 리뷰 아니었으면 찾지도 못했을 거 하나 있어서 보고 있던 사람들이 진짜 다 \'헐...\' 이러고 있었습니다. 요새 혈청 검사 기반의 스크리닝에서 꽤 고무적인 결과물들이 나오고 있던데 아마 몇 년 이내에 국내에서도 췌장암 혈청 검사 스크리닝이 실험적 도입이 되지 않을까 그런 기대를 해봅니다.
    세상의빛
    네! 그동안 희망적인 결과는 거의 없었는데 저도 기대하고 있습니다 소화기 내과 친구에게 말로만 들었었는데 관련 논문 찾아서 읽어봐야겠습니다
    Beer Inside
    췌장암이 참 어렵지요.

    서울의 모 대학병원에서는 1기가 아니면 수술도 하지않고,
    2-3기에서 수술하다가는 환자에 수술욕심 때문에 살지도 못하는 환자 수술하자고 하는 것이 아니냐는 소리를 듣기 좋으니 말이지요.

    그런데, 국가 암검진에 췌장암이 들어갈 이유가 있을까요....

    검사를 해서 결과를 받아서 치료를 하면 생존률이 높아야하는데 그렇지 못하니까요.
    세상의빛
    잔인한 병이죠 의사든 환자든 할 수 있는 것이 너무 없으니까요 제가 근무하는 병원에서도 적극적으로 수술을 권하지는 않습니다 외과 선생님 말씀으로는 1기의 환자 분이 수술을 거부하는 경우가 점점 는다고 말씀하시더군요 몇달 질질 끌다가 다시 오셔서 검사했을 때에는 병이 진행해서 수술 불가 상태로 판명될 때 참 아쉬운 마음이 듭니다
    레지엔
    수술적 완전 제거 가능/불가능의 예후차이가 극심하다는 점에서 스크리닝 툴만 명확하면 오히려 폐암보다 조기검진의 경제적 가치가 더 있을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봤습니다. 케이스 자체가 적어서 계산을 돌려보긴 좀 어렵긴 했는데...
    Beer Inside
    그건 내과적인 생각이기는 한데, 실질적으로는 margin이 별로 없어서..... 수술에 들어가서 stage가 바뀌는 경우도 허다하니....

    그리고... 암도 어느정도 커야 specific하게 특정 단백질을 뿜어내겠지요.
    세상의빛
    여기에 댓글을 다는 것이 맞는지는 모르겠지만요^^
    글의 마지막 문장은 저의 개인적인 바람일 뿐입니다 조기 진단법이 개발되고 조기에 진단되었을 때 생존률이 비약적으로 올라갈 치료법이 개발되었으면 하는 소망이 있어서 적었습니다
    레지엔
    하긴 작으면 경계가 좀 애매하겠군요. 그런다고 마이크로도 췌장 다 들어낼 수도 없고(..)

    지금 혈청 기반 검사의 경우는 뭐 말씀하신대로 크기가 좀 유의미한 팩터긴 한데, 일단 마이크로튜머에서도 가능할 수 있는 그런 개연성이 발견된 것들이 있습니다. 노멀 레인지 자체가 낮아서 민감도가 높고 대신 뭐 특이도는 그만큼 손해보긴 하는데...
    다람쥐
    얼마전 친한 오빠의 할머니가 돌아가셨습니다. 사인은 뇌출혈이었는데 10년전 췌장암을 앓으셨을때 온 가족이 할머니가 돌아가실것이라고 생각하고 마음의 준비를 했다가 완치 판정을 받고 건강히 10년을 사셨다가 돌아가셨다 하더군요.
    몇년 전 백혈병의 경우 골수이식을 받고 완치 판정을 받아도 5년내 재발률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었습니다. 한번 골수 맞는것 찾기도 어려운데 두번은 더 어렵지 않을지, 아니 그 전에 골수이식이 두번이나 가능하기는 한 건지 온갖 생각이 다 나더군요.
    조혈모세포기증목록에 이름을 올리면서는 내가 골... 더 보기
    얼마전 친한 오빠의 할머니가 돌아가셨습니다. 사인은 뇌출혈이었는데 10년전 췌장암을 앓으셨을때 온 가족이 할머니가 돌아가실것이라고 생각하고 마음의 준비를 했다가 완치 판정을 받고 건강히 10년을 사셨다가 돌아가셨다 하더군요.
    몇년 전 백혈병의 경우 골수이식을 받고 완치 판정을 받아도 5년내 재발률이 상당히 높다는 것을 알고 충격을 받았었습니다. 한번 골수 맞는것 찾기도 어려운데 두번은 더 어렵지 않을지, 아니 그 전에 골수이식이 두번이나 가능하기는 한 건지 온갖 생각이 다 나더군요.
    조혈모세포기증목록에 이름을 올리면서는 내가 골수를 이식해준 환자가 치료되어 건강하게 살고 있겠지 라는 믿음이 있었는데 그 환자가 몇년 후 다시 백혈병으로 사망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마름이 무거웠습니다.
    가끔 \'생존률\'이 숫자로 무겁게 마음을 짓누르지만 그래도 생명의 힘을 믿어야 하겠죠.
    세상의빛님도 이름처럼 아프신 분들에게 힘이 되어 주시는 분입니다. 그분의 쾌차를 빕니다
    세상의빛
    과분한 칭찬 감사합니다 더 노력해야겠네요^^
    *alchemist*
    저런 감정적인 부분들이 참 힘드시겠습니다...
    췌장암이라고는 다행히 저랑은 아직 관계가 없었고 잡스옹이 걸렸었던 병이라고만 알았는데... 이런 병이었군요...
    고생하셨습니다.
    세상의빛
    이 업을 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겪는 것입니다 많이 무뎌진 탓인지 제가 힘든 것은 없습니다 당사자인 그 분이 겪는 괴로움을 조금이나마 공감해드리고 싶을 뿐입니다
    Mellow Logic
    서양 고등학생이 단독 연구해서 저렴하고 빠른 췌장암 진단지를 만들었다고 Ted에서 들었는데 그 방법은 아직 사용할 수 없는건가요???

    생각나서 검색해보니 잭 안드라카라는 학생이네요...
    세상의빛
    임상에 쓰이려면 수많은 검증을 거쳐야 하겠지만 대단한 학생이네요 저도 ted 찾아보겠습니다 좋은 정보 감사드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441 의료/건강[약쟁이] 이히히히히히… 약빨 쥑인다… 이히히히히히… 9 April_fool 15/11/03 13498 0
    1395 의료/건강흡연으로 인한 방사능 내부 피폭에 관하여. 17 아케르나르 15/10/30 12143 0
    1271 의료/건강의심스런 엘리자베스 홈즈의 테라노스 15 눈부심 15/10/16 12864 0
    1091 의료/건강항생제 이야기 25 모모스 15/09/24 15686 3
    1018 의료/건강모유를 먹은 신생아가 마약남용으로 사망하다니... 14 Beer Inside 15/09/17 8631 0
    1010 의료/건강몇명의 환자에게 같은 약을 주면 한명이 치료될까? 35 Beer Inside 15/09/16 7710 0
    962 의료/건강미국 의료비 60 눈부심 15/09/10 5990 0
    948 의료/건강태양=비만을 피하는 방법 19 마르코폴로 15/09/07 6105 0
    942 의료/건강후쿠시마 원전 사태와 소아 갑상선암에 관련된 중간 리포트가 나왔습니다. 29 레지엔 15/09/07 6961 2
    863 의료/건강똥 도너 20 눈부심 15/08/29 6640 2
    849 의료/건강커피가 건강에 끼치는 영향에 대한 최신 지견 46 레지엔 15/08/26 8833 0
    809 의료/건강하기 싫은 이야기 16 세상의빛 15/08/18 6515 0
    740 의료/건강젊은 피를 수혈받으면 젊어질까. 32 눈부심 15/08/06 8553 0
    648 의료/건강의학은 과학인가 예술인가? 49 Beer Inside 15/07/24 8499 0
    640 의료/건강생명의 서(書) - 병원 임상 실습을 돌면서 느낀 점 29 삼공파일 15/07/24 8206 0
    587 의료/건강기억하지 못하는 놈에게 자비란 없다... 24 Neandertal 15/07/14 7532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