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6/06 01:05:44
Name   히하홓
File #1   1.PNG (116.2 KB), Download : 36
Subject   [진짜 통계의 오류] 설계의 오류



어떤 상황에서 실험, 조사를 하고 있다고 합시다.

변수는 3가지 C, T, K가 있고 Y라는 결과들을 조사할것입니다. 

각 변수 C,T,K는 -(마이너스) 이거나 +(플러스)로 설정할수있습니다. 즉 변수마다 2가지의 수준이 존재합니다. 

그러므로 총 경우의 수는 2^3=2*2*2=8이 나오겠지요. 

그래서 총 8번 조사를 한 결과가 사진 1 가장 윗 사진 에 나와 있습니다.


각변수들을 -,+ 2가지 수준으로 나뉘기 때문에

각 변수들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8개의 결과에서 

C를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바꿨을때, Y의 변화량  4가지= ( 8 나누기 2) 

T를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바꿧을때,  Y의 변화량  4가지= ( 8 나누기 2) 

K를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바꿨을때, Y의 변화량  4가지= ( 8 나누기 2)

 을 정리한것이 사진1의 밑의 3 육각형입니다.



평균적인 각 변수들의 효과를 알아보려면 이 4개의 변화량의 평균값을 구하면 됩니다! 


즉 변수 C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변할때의 효과는 (-6-7-4-3)/4 =-5 가 되는 식이죠.

즉 

해석 1: 변수 C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변하면 y는 5만큼 떨어진다! 라고 해석하면 될것같습니다만.. 


이러한 해석은 오류가 있습니다. 

바로 이 효과들은 나머지 변수들을 고정시켰을때의 효과입니다! 

즉 올바른 해석: 나머지 변수 (T,K)가 변하지않고 고정시켜놓고, C가 마이너스에서 플러스로 바꾸면 Y는 -5만큼 떨어진다!

가 올바른 해석입니다. 

왜 그러냐고요? 변수 C와 T, K들은 interaction(교호작용,상호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쉽게 적으면 T가 플러스일때 T가 마이너스일때에 따라 C의 변화에 따른 Y의 값의 변화량이 바뀔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림1의 우측 하단 그림에서 T가 마이너스일때는 K가  변하면 Y가 -8,-9  변화량이 감소하지만 T가 플러스일때는 Y가 증가함을 볼수있습니다. 이런 경우죠)  


해석 1처럼 하고싶다면 다른 변수들의 상태가 어떻게 되든 변수 C의 효과가 항상 같다! 

다시 말해 변수 C는 Y에 가법적으로 (additively)하게 영향을 미쳐야한다는 가정하

(사칙연산에서 곱셈은 곱해지는 수에 따라 효과가 바뀌지만 더하기는 뭐에 더하든 더하는 수의 효과는 같죠! )

에서만 해석 1처럼 해석을 할 수있습니다. 










진짜 하고 싶었던 말은  한국 국가 대표에서 탐욕을 부리는 손흥민을 뺀다면 

손흥민에 몰린 수비덕에 좋은 활약을 보이던 선수가 부진한 활약을 보일수도 있다는 말을 적고 싶었네요 


PS 혹시 여기 



0


    손흥민은 황희찬을 해리케인으로 보이게 하는 최면을 누가 좀 걸어줬으면 좋겠더군요. 어디까지나 서브웨폰으로 써먹을 선수인데 본인이 팀의 주무기인줄 아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628 과학/기술[진짜 통계의 오류] 설계의 오류 1 히하홓 18/06/06 6215 0
    7536 과학/기술본격(영어)듣기시험 평가 얘니 v 로렐 분석 13 다시갑시다 18/05/18 5167 5
    7512 과학/기술인공위성이 지구를 도는 방법과 추락하는 이유 17 곰곰이 18/05/13 20934 17
    7462 과학/기술[통계의 오류] 흑인이 백인보다 사형 판결을 잘 받는가? (심슨의 역설.) 20 히하홓 18/05/01 9838 3
    7130 과학/기술인공지능 로봇 소피아의 방한 행사 소동 4 맥주만땅 18/02/17 6504 0
    7124 과학/기술카팩 고장난 문제 해결한 썰 10 Toby 18/02/16 11481 5
    6997 과학/기술국뽕론 43 기아트윈스 18/01/25 7899 36
    6946 과학/기술망중립성 + P2P웹호스팅 + 인터넷글쓰기 + 가상화폐 = ??? 4 몽유도원 18/01/15 5105 1
    6926 과학/기술거리함수 이야기 (1) 14 유리소년 18/01/10 17841 9
    6709 과학/기술물리법칙은 자연에 존재한다 vs 인간이 만든 것이다 19 벤젠 C6H6 17/12/05 6090 0
    6457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아이러니, 말도 안 돼 25 다시갑시다 17/10/24 7613 18
    6407 과학/기술How to 목성이 지구를 지키는 방법 28 곰곰이 17/10/11 12128 14
    6362 과학/기술SF속 우주선이 현실로? 2 키스도사 17/10/02 5331 0
    6212 과학/기술FDA, 특정 인공심장박동기의 해킹 위험성 제기 19 April_fool 17/09/02 6946 0
    6044 과학/기술알쓸신잡과 미토콘드리아 7 모모스 17/08/02 9662 10
    5926 과학/기술뫼비우스의 띠에 대한 오해 바로잡기 17 유리소년 17/07/11 9306 11
    5812 과학/기술태초에 집사로 임명 받았으니, 대대손손 지갑으로 모실지어다 3 다시갑시다 17/06/20 5343 5
    5551 과학/기술[사진]광학렌즈의 제조와 비구면렌즈(부제 : 렌즈는 왜 비싼가) 9 사슴도치 17/05/01 7113 7
    5447 과학/기술음수X음수는 왜 양수인가요? 37 캡틴아메리카 17/04/15 7415 13
    5439 과학/기술NASA 중대 발표!!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에서 물흔적 발견 2 커피최고 17/04/14 5832 0
    5285 과학/기술명왕성이 행성 지위를 상실한 이유와 복귀 가능성 15 곰곰이 17/03/24 8746 13
    5236 과학/기술과학계에 업적을 남긴 여성학자중에는 수학자가 참 많아요. 48 barable 17/03/19 7074 3
    5170 과학/기술당신의 발자국 4 김피곤씨 17/03/13 4131 4
    5077 과학/기술외계 행성 중 ‘지구형 행성’ AKA 골디락스 행성 구별법 8 곰곰이 17/03/04 8150 10
    4996 과학/기술외계 행성을 (진지하게) 발견하는 방법 8 곰곰이 17/02/24 6230 9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