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8/02/27 09:25:53
Name   라밤바바밤바
Subject   순백의 피해자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순백의 피해자' 판타지가 만연해 있죠.
성폭력 사태에서는 피해자의 평소 행실을 들먹이며, 꽃뱀이겠지, 그럴만하니까 당해도 싸지, 피해자가 빌미를 줬네 등등등...
꼭 성폭력 사태는 아니더라도 왕따문제 등 다른 사회문제에서도 이런 편견이 꼭 끼어들어가있죠.

이 편견이 피해자를 은폐하고 가해자 입장에 힘을 실어준다는 걸 다들 인식하면 좋겠어요.

아래 퍼온글은 허지웅이 쓴 '순백의 피해자'라는 글입니다


(전략) 허지웅이 대학 시절 만났던 편의점 알바 여자 동료와 좋은 사이로 지냈음.
어느 날 그 친구는 계산대의 돈 30만원을 횡령했다는 의심을 받고 알바 짤림.
허지웅은 점장에게 항의해서 그 친구를 도와줌.







사흘 후에 출근했더니 점장이 없고 새로 뽑은 근무자가 일을 하고 있었다. 창고에 옷을 갈아입으러 들어갔다가 점장의 메모를 발견했다. 그 친구에게 삼십만 원을 빼지 않고 정산을 다 마쳤고 오해가 풀려 일이 잘 마무리되었으니 그렇게 알라는 내용이었다. 인수인계를 받고 계산대에 들어가 자리를 잡았다. 새 근무자가 유통기한이 지난 삼각김밥 하나를 집어 들어 비닐을 뜯더니 한입 가득 입에 물었다. 그리고 그 친구 이야기를 꺼냈다.





“점장님한테 원래 일하다가 잘린 여자애 이야기 들었어요. 전에 술집에서 일했었다면서요?”





나는 한참 가만히 서서 새로 온 근무자의 얼굴을 들여다보았다. 잠시 당황스러웠다. 처음 듣는 이야기였다. 그러나 전에 술집에서 일했든 청와대에서 일했든 그게 이 문제랑 무슨 관계가 있다는 건지 알 수가 없었다.





“그런데 그게 그거랑 무슨 상관이에요?” 새 근무자는 조금 당황하더니 인사를 하고 나가버렸다. 상황을 보아하니 그 친구가 점장에게 어떤 모욕적인 이야기를 들었을지 짐작이 되었다. 그 친구에게 잘 해결된 게 맞느냐는 문자를 보내보았지만 답은 오지 않았다. 나는 한 달을 더 일하고 편의점을 그만두었다. 그 뒤로 그 친구를 보지 못했다. 그러나 그 친구는 여러 모습으로 계속해서 내 앞에 나타났다.





배를 타고 가던 아이들이 사고를 당해 구조를 기다렸으나 어른들이 시키는 대로 하다가 어른들이 만들어놓은 시스템이 하나도 작동하지 않아서 목숨을 잃었다. 그 아이들의 아버지는 광장 위에 섰고 철저하고 공정한 조사를 요구했다. 그러나 ‘본래 가정에 소홀한 아버지였다’, ‘보상금을 노리고 그러는 것이다’ 등의 이야기들이 쏟아져 나오면서 위로는커녕 모욕을 당했다. 경찰의 물대포를 맞고 쓰러진 남자가 오랜 혼수상태 끝에 사망했다. 남자의 가족은 아버지의 존엄을 지키려고 분투했다. 그러나 금세 아버지의 ‘임종 순간을 지키지 않고 해외에 있었다’는 이야기가 쏟아져 나오면서 위로와 지지 대신 비아냥과 손가락질을 당했다.




순백의 피해자. 나는 순백의 피해자라는 말을 떠올렸다. 사람들은 순백의 피해자라는 판타지를 가지고 있다. 피해자는 어떤 종류의 흠결도 없는 착하고 옳은 사람이어야만 하며 이러한 믿음에 균열이 오는 경우 ‘감싸주고 지지해줘야 할 피해자’가 ‘그런 일을 당해도 할 말이 없는 피해자’로 돌변하는 것이다.

그러나 순백의 피해자란 실현 불가능한 허구다. 흠결이 없는 삶이란 존재할 수 없다. 설사 흠결이 존재하지 않을 경우에도 얼마든지 인과관계를 만들어내 낙인찍을 수 있다. 나쁜 피해자, 착한 피해자를 나누고 순수성을 측정하려는 시도의 중심에는 의도가 있다. 피해자의 요구나 피해자가 상징하는 것들이 강자의 비위에 거슬리는 것이라면, 그런 피해자는 언제 어디서 어떤 방식으로든 너무나 손쉽게 나쁜 피해자로 전락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들은 간과한다. 순백의 피해자라는 요건을 충족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으며, 그 자신 또한 언젠가 피해자가 되었을 때 순백이 아니라는 이유로 구제받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말이다. 나는 그 친구를 더 열심히 돕지 못했다는 이유로 종종 참을 수 없이 부끄러워진다. 우리가 제대로 지켜주지 못했던 그 많은 피해자들을 떠올려보자. 어쩌면 우리는 어느 누구에게도 도움을 청할 자격이 없는 사람들인지도 모르겠다.
허지웅 작가

원문보기:
http://www.hani.co.kr/arti/specialsection/esc_section/766464.html#csidx3ebc33429500688857f531ebc56dc8d onebyone.gif?action_id=3ebc3342950068885





12
  • 춫천
  • 좋은 글입니다


사이버 포뮬러
허세라고 욕 바가지로 먹긴 하지만 전 허지웅 글 중에서 몇 개는 참 좋다고 생각해요.
가족에 대해서 쓴 글들도 그렇고..
2
자일리톨
허지웅씨는 SNS 외의 공간에서는 글을 참 잘쓰는군요. 잘 읽었습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337 일상/생각왜 쓸데없이 정직했을까?? 4 염깨비 18/04/05 4418 1
7336 일상/생각다이렉트 자동차 보험 갱신한 이야기 3 Toby 18/04/05 4081 0
7335 일상/생각이정도면 사는데 문제 있는거 맞죠? 3 덕후나이트 18/04/05 4705 0
7328 일상/생각기득권의 권력 유지를 저항하려면... 6 풀잎 18/04/04 4754 8
7322 일상/생각가방을 찾아서 : 공교로운 일은 겹쳐서 일어난다. 10 化神 18/04/03 4785 9
7319 일상/생각저는 소를 키웁니다. 21 싸펑피펑 18/04/02 5948 47
7297 일상/생각동생의 군생활을 보며 느끼는 고마움 6 은우 18/03/29 5153 6
7290 일상/생각서른의 반격 7 nickyo 18/03/27 5094 18
7289 일상/생각정장의 기억 7 nickyo 18/03/27 4736 11
7284 일상/생각잘 하는 일 8 nickyo 18/03/26 5129 8
7278 일상/생각사람을 채용하면서 느끼는 점 22 Leeka 18/03/25 5931 2
7275 일상/생각인터넷의 페미니즘 논란 보면서 드는 여러가지 생각들 8 벤쟈민 18/03/24 5069 3
7271 일상/생각3월은 탈주의 달... 4 BONG 18/03/23 5232 0
7270 일상/생각과거 겪었던 미투와 펜스룰... 3 행복한고독 18/03/23 7833 2
7268 일상/생각해무(海霧) 2 Erzenico 18/03/23 4217 6
7261 일상/생각대학생활 썰..을 풀어 봅니다. 28 쉬군 18/03/22 8989 7
7259 일상/생각팬의 죽음을 알게 된 지하 아이돌의 일기 6 Azurespace 18/03/21 9694 8
7256 일상/생각부드러운 남성: 새로운 남성성에 대한 단상 83 다시갑시다 18/03/20 8133 15
7252 일상/생각고증을 지키지 않는게 고증이 아닐까? 3 히하홓 18/03/18 6040 1
7250 일상/생각인권과 나 자신의 편견 1 Liebe 18/03/18 4322 10
7240 일상/생각사장님께 드리는 말 4 하얀 18/03/16 4856 11
7237 일상/생각저는 홍콩으로 갑니다 9 HKboY 18/03/15 4874 4
7235 일상/생각왜 일본 애니에선 성추행을 성추행이라 부르지 않을까요? (추가) 19 덕후나이트 18/03/14 14326 1
7228 일상/생각공부는 어느정도 레벨을 넘으면 꼭 해야하는 것같습니다. 6 란슬롯 18/03/12 4380 3
7225 일상/생각미국여행 2달간 갔다왔습니다. + 미국인이 좋아할 한국 관광? 2 히하홓 18/03/12 539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