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7/02/04 15:47:00
Name   구밀복검
Subject   컨택트 단평(스포일러).
내일 팟캐스트 녹음 소재인데...어제 본 바로는 실망스러웠습니다.

(스포주의)









원작에서는 대상을 인과적으로 해석하는 인간과 전혀 다른 사고 체계를 갖춘 외계 존재를 루이스가 만나는 이야기를 통해 '시간을 비선형적으로 인지하여 사태를 바라보면 어떤 인식에 도달하는지'를 사고실험적으로 이야기합니다. 그렇게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시간적으로 중첩되어 있는 대상으로 볼 때 얻어지는 결정론/목적론적 인식을 제시하여, 인과관계와 자유의지를 근간으로 하는 일반적인 현실 인식의 자의성을 강조하면서 독자에게 사변적인 전복감을 주는 것이죠. 그리고 그것이 루이스가 자신과 딸의 인생을 그 자체로 긍정하는 것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지고요.

그런데 영화에서 이러한 [시간의 비선형성]이라는 소재는 고작 '미래시점에 샹진핑이 자신에게 알려주는 멘트를 예지한 루이스가 그에게 전화를 걸어 그 멘트 그대로 설득하고 인류 대타협 두둥'과 '사실은 처음부터 나온 딸내미 이야기는 과거가 아니라 미래 시점의 일이라능 반전 두둥' 정도로만 활용되지요. 한 마디로 영화의 핵심을 이루는 두 축인 [외계인과의 조우 서사][딸에 대한 어머니의 모성애 서사]가 필연성 있게 호응되진 않는 것이죠. 루이스가 과거와 현재와 미래의 모든 환희와 절망을 긍정하며 딸의 죽음으로 귀결되는 삶을 수행perform해 나간다는 이야기를 하는 데에 '루이스가 세계와 우주의 평화를 지킴 메시야 짱짱걸' 이야기를 할 필요는 없으니까요. 결국 따지고 보면 드래곤볼에서 트랭크스가 과거와 미래를 넘나들며 새로운 현실인식을 하게 되어 집으로 돌아와 인조인간과 셀을 무찌르고 엄마 부르마와 행복하게 살았습니다...수준의 오락적 쾌감을 관객에게 주려 했다는 것이고, 이는 장르코드 놀음일 뿐이죠. STAY!

또한, 원작에서는 루이스가 단일 시점에서 마치 '신'의 시점에서 과거와 현재와 미래를 한 점에 중첩시켜놓고, 딸의 탄생과 성장과 죽음을 동일 시점에서 바라보고 있다는 것을 텍스트로 전달하지요. 그런데 이것을 표현하기 훨씬 쉬운 영상 매체인 영화 – 컷분할이나 교차편집이나 오버랩만 해도 되니까 - 임에도 딱히 그런 씬이 없다는 점에서, 단순히 미래를 '알면서도' 정해진대로 인과율에 순종해나가는 것이 아니라 그 이상으로 '현재 자체'에 대한 관점이 달라진 루이스의 시선을 선명하게 전달하지 못한다 싶습니다. 원작을 떼어놓고 영화상의 묘사만 놓고 보면 루이스는 [성공한 카산드라] 이상이 아닌 것처럼 보이죠. EUREKA!

특히 정치드라마를 왜 굳이 집어넣었는지 잘 모르겠네요. 외계인의 도래에 대한 인간들의 혼란 섞인 반응과 [죄수의 딜레마]적 상황에 놓인 각국 지도자들의 정치적 치킨 게임은 원작에 전혀 없는 요소인데, 이것은 '진리와 이상에 도달하려는 과학자들의 순수하고 초월적인 열망과 이를 제약하는 불순하고 근시안적인 정치적 이권 다툼의 대립'이라는 진부한 코드 - 과학 포르노 - 로 귀결될 수밖에 없거든요. 실제로도 그렇게 흘러갔고요. 물론 이 소재는 진부하다 뿐 새롭게 변주할 여지가 없는 것은 아닐 텐데, 겨우 '루이스 님이 중국어도 잘하고 미래도 봐서 진핑이 형이 꺼벅 죽었음'이라니..특히 미국 못 살게 구는 하드트롤러로 중국을 묘사하는 것이나, 마지막에 모든 갈등이 해소되었을 때 전세계의 텔레스크린이 파도처럼 바뀌어나가는 연출을 볼 때는 배꼽이 사라지는 줄 알았습니다. 마치 1997년 작 인디펜던스 데이 같은 흔한 미국 짱짱국 영화에서 '여러분!!!!!!!!!!! 아메리카가 승리했습니다!!!!'가 전세계로 보도되는 수준...

여하간 <인터스텔라>나 <미스터 노바디>, <나비효과>와 같이 시간 비틀기에 따른 인과의 전복을 가지고 마케팅했던 장르물들과 본질적으로 차이가 없다 싶네요. 제작 발표 났을 때부터 손에 꼽아 기다렸는데 입맛이 씁니다..



5


    잘 읽었어요. 드니 빌뇌브가 어떤 sf를 만들었으까 대충 짐작은 가는데 스펙타클이나 편집은 어때요? 건질 게 그래도 좀은 있지 않을까 싶은데..
    원래 제안이 봉준호한테 왔었는데 봉감독이 시나리오가 맘에 안 든다고 고치려다가 제작사의 수정불가 입장으로 결렬되었다는 이야기가 있잖아요. 빌뇌브도 수정을 못 하고 찍었을까 궁금하네요.
    글구 복검님은 왜 꼭 보고 안 좋았던 영화만 후기를 쓰세요. 카산드라 같이 ㅋㅋ
    구밀복검
    빌뇌브가 프리즈너스 맹그느라 바빠서 초안은 제작사가 만들어주고 나중에 빌뇌브가 각본 수정했다고 해요.
    음향은 관습적이지만 충분히 호평할만하고..헵타포드나 제반 구조물이나 사건을 묘사하는 비주얼은 원작의 서술과 상이하긴 하지만 소재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괜찮은 수준이지요. 다만 헵타포드와 루이스 파티의 만남과 그에 대한 루이스의 언어학적 관찰을 세세하게 묘사하는 원작의 분량을 영화에서 압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헵타포드와의 대면-루이스와 주변 인물들의 반응-헵타포드와의 대면2-리리액션 이런 식으로 편집한 뒤 일정 타이밍 후 ... 더 보기
    빌뇌브가 프리즈너스 맹그느라 바빠서 초안은 제작사가 만들어주고 나중에 빌뇌브가 각본 수정했다고 해요.
    음향은 관습적이지만 충분히 호평할만하고..헵타포드나 제반 구조물이나 사건을 묘사하는 비주얼은 원작의 서술과 상이하긴 하지만 소재에 부합하지 않는 것은 아니며 괜찮은 수준이지요. 다만 헵타포드와 루이스 파티의 만남과 그에 대한 루이스의 언어학적 관찰을 세세하게 묘사하는 원작의 분량을 영화에서 압축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 헵타포드와의 대면-루이스와 주변 인물들의 반응-헵타포드와의 대면2-리리액션 이런 식으로 편집한 뒤 일정 타이밍 후 내레이션으로 설명하고 넘어가는 정도인데, 의도는 이해 가지만 굉장히 단조롭더군요. 외계인과 만나는 긴장감을 연출하다가 컷하고 설명충 놀음하고 다시 신기방기하게 외계인 만나고 대충 관객 너그들도 감 잡았을 테니 말로 때우고 넘어가겠단 식이라. 패턴이 반복되면서 경직된 인상 주다가 순식간에 느슨해지죠.

    보고 안 좋았던 영화만 후기 쓰는 이유라면 뭐.. 보고 좋았던 영화들에 대해서는 대충 끼적이는 것을 기피하다보니 수다 떨 수 있는 것은 졸범작들 뿐이겠죠. 밀가루 반죽으로 만두나 칼국수를 만들기가 귀찮다면 수제비나 만들게 되는 셈..
    음 그 언어학 테마를 깊이 파고들거나 하진 않았나 보네요. 그럼 여타의 외계인 조우물들과 크게 다를 게 없어질 텐데 아쉽네요. 사실 저는 테드 창 단편집에서 네 인생의 이야기보다는 지옥은 신의 부재가 소설로선 더 좋았고 사피어 워프 가설을 원용해서 주인공의 인지 변화를 설명하는 부분도 원래 좀 무리가 있어 보였어요. 각본을 쓸 때 그 부분을 어떻게 발전적으로 요리할까 궁금했는디 말씀해 주신 걸 보면 빌뇌브 이 인간이 그닥 공을 안 들인 듯?! 감히...

    근데 혹평을 보고 영화를 보면 영화가 더 잼있어요. 본인에겐 수제비라도 결과적으론 충분히 공익활동인 것. 그래도 버드맨 리뷰 이후에는 뭐가 나올까 기다려져요.
    strelka
    원작에서는 인식의 변용에 대한 묘사가, 사피어-워프 가설로 알려져 있는 강력한 언어적 상대성(언어가 바뀌기만 해도 세계관이 전복된다느니 언어가 사고에 선행한다느니)보다는, 그쪽 유파를 발전시켰다 할 수 있는 인지언어학자들이 주장하는 체험주의적 시각에 가까워 보였어요. 그렇기에 아예 인류 보편과 판이할 수밖에 없는 외계인의 언어와 사고를 받아들이는 것도 제게는 큰 무리 없었고요. [인류와 헵타포드들의 조상들이 처음으로 자의식의 불꽃을 획득했을 때는 양 종족 모두 동일한 물질 세계를 지각했지만, 지각한 것에 ... 더 보기
    원작에서는 인식의 변용에 대한 묘사가, 사피어-워프 가설로 알려져 있는 강력한 언어적 상대성(언어가 바뀌기만 해도 세계관이 전복된다느니 언어가 사고에 선행한다느니)보다는, 그쪽 유파를 발전시켰다 할 수 있는 인지언어학자들이 주장하는 체험주의적 시각에 가까워 보였어요. 그렇기에 아예 인류 보편과 판이할 수밖에 없는 외계인의 언어와 사고를 받아들이는 것도 제게는 큰 무리 없었고요. [인류와 헵타포드들의 조상들이 처음으로 자의식의 불꽃을 획득했을 때는 양 종족 모두 동일한 물질 세계를 지각했지만, 지각한 것에 대한 해석은 각자 달랐다. 궁극적인 세계관의 상이함은 이런 차이가 낳은 결과였다. 인류가 순차적인 의식 양태를 발달시킨 데에 비해, 헵타포드들은 동시적인 의식 양태를 발달시켰다. 우리는 사건들을 순서대로 경험하고, 그것들 사이의 관계를 원인과 결과로 지각한다. 헵타포드들은 모든 사건들을 한꺼번에 경험하고, 그 근원에 깔린 하나의 목적을 지각한다. 최소화, 최대화라는 목적을.] 완전 인지언어학 방식의 서술이죠. 근데 한참 뒤에 나온 영화에서 '헵타포드 어 배웠더니 꿈도 외계인처럼 꾸네' '그거 사피어 워프 가설?!' 하면서 다소 철 지난 이론 언급하니 깨긴 하더군요...;;
    호라타래
    저는 원작을 읽으며 사피어-워프 가설만 생각했는데, 이 댓글에서 발전된 개념을 얻어가네요. 감사합니다. 나중에 글 한 번 파주신다면 행복할 것 같아요 +_+
    아 글쿠나 인지언어학으로 설명하신 게 더 나아요. ㅎ
    근데 저의 독자로서 궁금증..이라기보단 의아함은 하나의 문자언어를 (아마 소리말은 끝까지 따라하지 못했던 거 맞죠?) 터득했다고 해서 의식의 양태까지 변화할 수 있는가 하는 거였어요. 소설은 그에 대한 대답을 소설적 장치로 내놓아야 하고, SF는 거기에다 과학적 해명을 더해 내놓아야 하지요. 주인공이 헵타포드 B를 터득하는 데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 기억이 잘 안 나지만, 어쨌건 주인공은 꾸준한 학습과 천재성을 통해 그 언어를 모방할 수 있게 되었을 거예요. 그런데 그 언어 체험... 더 보기
    아 글쿠나 인지언어학으로 설명하신 게 더 나아요. ㅎ
    근데 저의 독자로서 궁금증..이라기보단 의아함은 하나의 문자언어를 (아마 소리말은 끝까지 따라하지 못했던 거 맞죠?) 터득했다고 해서 의식의 양태까지 변화할 수 있는가 하는 거였어요. 소설은 그에 대한 대답을 소설적 장치로 내놓아야 하고, SF는 거기에다 과학적 해명을 더해 내놓아야 하지요. 주인공이 헵타포드 B를 터득하는 데 얼마나 오래 걸렸는지 기억이 잘 안 나지만, 어쨌건 주인공은 꾸준한 학습과 천재성을 통해 그 언어를 모방할 수 있게 되었을 거예요. 그런데 그 언어 체험이 선형 언어로 조건지워진 인간 의식의 양태를 뛰어넘어 미래를 기억할 수조차 있게 하는 체험으로 독자에게 받아들여지려면 뭔가 소설적으로 체화된 계기(피와 살)가 좀 부족하다... 말하자면 뼈대만 있는 '설정'에 가깝지 않나 하는 느낌이었거든요. 테드 창의 장점이 여느 sf 작가들과는 달리 내러티브와 과학을 얽는 변주에서 앙상한 뼈대를 다짜고짜 들이대지 않는 것인데, 저로서는 좀 아쉬웠어요.
    구밀복검
    굳이 해석해보자면 '이미 인류든 헵타포드든 선형적인 인과 인지와 비선형적인 목적 인지 양자 모두 가능했는데, 인류의 경우 진화 과정에서 목적적 인지와 관련된 유전자가 유전적 부동 등의 요소에 의해서 거진 소실되고 일부 개체만이 잠재적 활성화가 가능한 정도가 되었으며 이에 해당하는 게 루이스. 이 이야기 이해됨? 그럼 너도 비선형적 인지 체계가 활성화 가능한가부다 님 인간 휴화산인 듯염'라는 식으로 어떻게 자질구레하게 해명할 수는 있을 것 같네요. 어쨌든 소설에서 목표로 하는 것은 비선형적 인지에 대한 사고실험이 주는 생경함과 전복감이니 큰 상관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저 주먹구구 설정을 추가하면 인과관계상의 안일함은 상당 부분 해소되지만, 고작해야 저 정도 설정을 덧붙이고 말고에 따라 작품의 가치가 크게 달라질 것은 없다 싶어요.
    아 말씀하신 그 설정...이라기보단 힌트는 소설에 포함돼 있었던 거 같아요. 같은 그림이 보는 방식에 따라 젊은 여자로 보이기도 하고 노파로 보이기도 하는 형태 반전이 예로 나왔지요. '아 그런 모델이구나' 하고 막연하게 느낌은 오는데, 그 '다르게 보이는' 비선형적 인지라는 게 과연 인간에게 어떻게 체감되는가를 아주 생생하게 느끼진 못했다는 것이 안타까웠어요. 딸의 미래를 '기억하며' 말하는 2인칭 서술이 그 체험의 겉모습을 간접적으로 전시하긴 하는데 사실 그 딸래미 서술들도 독자적 내러티브로는 별로 매력적이지 않지요...
    그렇지만 좋은 작가예요. (빠심)
    구밀복검
    뭐 그렇죠. 굳이 모성애 서사로 귀결되어야할 필연성도 없고요. 그저 통시적인 것을 공시적으로 압축했을 때에 보편적으로 호응할 만한 것이 자녀 양육이라는 정도의 통속성 이외에는 이유를 발견하기 어렵죠. 그래서 저도 <당신 인생의 이야기> 단편집 중 <당신 인생의 이야기>는 평작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드니 빌뇌브에 맞는 소재라면 <바벨탑>이 아니었나 싶어요. 아마 빌뇌브 식 바벨탑 묘사만으로도 8할은 먹고 들어갔을 텐데. 드니 빌뇌브가 이전에 연출한 단편 <다음 층>과도 맞닿는 구석이 있기도 하고요. 거기다 중동, 인간의 분열, 천상에 도달하고자 하는 초월/상승/정복욕, 원점 회귀 같은 소재는 <그을린 사랑>을 연상시키는데다 시의적인 주제고요. 윤리주의적인 작가론적 접근 좋아하는 저널들이 앞다투어 추켜세웠을 듯..
    strelka
    오... 타임라인에 기다린다고 쓴 단평이 낮잠 자고 오니 올라왔군요. 역시 고수이시니 대강 수제비만 만들어 오셔도 퀄러티가 되는. ㅎ 원작에서는 사건의 진행을 전부 예상하더라도 말을 꺼내면 그리고 꺼내야만 곧 행동이라는 speech act의 개념까지 빌려서, 루이스가 단순히 결정된 미래에 순종하고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삶을 긍정하고 살아간단 걸 잘 드러내 주는데... 영화의 묘사만 놓고 보면 '외계어 배웠더니 미래를 보는 초능력이 생겨서 그걸로 지구를 구함' 수준이라 아쉽더라고요. 뭐 그래봐야 원작 빠심과 개인사 뽕에 취해 굉장히 즐겁게 보기야 했습니다만. ㅋㅋ
    저도 스피치 액트로 그자들의 언어를 설명하는 부분이 가장 좋았어요. ㅎㅎ
    구밀복검
    네...따지고 보면 헵타포드와의 대면의 의미는 '헵타포드 때문에 발생한 지구인들의 분열을 헵타포드 덕에 얻은 세계 인식을 통해 수습'인 셈이니, 사실상 재귀적인 순환 논리인 셈이죠. 애초에 헵타포드가 지구에 안 왔으면 루이스가 예지력 활용해서 하드캐리 할 필요도 없었을 테니..'구원을 받으려면 먼저 죄를 지어야 한다'가 생각납니다. 샹진핑 장군이 미래 시점에서 루이스에게 자신이 들었던 이야기를 반복해주는 것도 작위스러웠다 싶고...

    그리고 말씀드리다보니 생각난 건데, 이 영화에서 비선형성을 강조하기 위해 상하좌우의 구분을 해체... 더 보기
    네...따지고 보면 헵타포드와의 대면의 의미는 '헵타포드 때문에 발생한 지구인들의 분열을 헵타포드 덕에 얻은 세계 인식을 통해 수습'인 셈이니, 사실상 재귀적인 순환 논리인 셈이죠. 애초에 헵타포드가 지구에 안 왔으면 루이스가 예지력 활용해서 하드캐리 할 필요도 없었을 테니..'구원을 받으려면 먼저 죄를 지어야 한다'가 생각납니다. 샹진핑 장군이 미래 시점에서 루이스에게 자신이 들었던 이야기를 반복해주는 것도 작위스러웠다 싶고...

    그리고 말씀드리다보니 생각난 건데, 이 영화에서 비선형성을 강조하기 위해 상하좌우의 구분을 해체하려 했죠. 대표적인 것이 헵타포드의 선체로 들어가는 시퀀스였고요. 중력이 사라지면서 방향과 평형의 감각도 전혀 달라지게 되지요. 근데 이런 시도를 전경과 배경에 대해서도 했으면 훨씬 재미있겠다 싶네요. 즉 원과 근을 뒤바꿔 버리는 식으로 3차원적인 비선형성에 대해서 시각적으로 묘사했다면 흥미로웠을 것 같습니다. '헵타포드에게 현재와 과거와 미래가 중첩되듯 원근법도 전복될 수 있는 것'이라는 이야기를 해봄직 했을 테니까요. 그럼 원근법을 근간으로 삼고 있는 영화라는 매체에 대한 메타적 접근이 되었겠죠.
    잘 읽었습니다 ㅎㅎ
    저는 컨택트 보면서 들었던 생각이 딱 두가지였는데요
    "뭐지..."
    "뭐야..."
    였어요;;;
    원작을 보지 않아서 그런 것일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아무튼 한번 더 봐야 뭔가 이런저런 생각을 해볼 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그래서 일단 와드 박고 갑니다 ㅎㅎㅎ
    ㅇㄷ
    봉준호 감독이 각색이 구려서 손대겠다고 했던 데에는 다 이유가 있었군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5383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4/06 3293 0
    5373 영화CGV 1 Day Free Pass - 2 8 17/04/04 4714 0
    5371 영화CGV 1 Day Free Pass - 1 6 17/04/04 4939 0
    5323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3/30 3560 0
    5305 영화미녀와 야수 약간 좀 아쉬운 (뒷북)(스포) 5 우주견공 17/03/27 3961 0
    5271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3/23 3081 0
    5262 영화<로건>에 담긴 세 가지 이야기 (스포) 10 리니시아 17/03/22 5858 1
    5233 영화미녀와 야수(약스포) 1 제주감귤 17/03/19 4288 0
    5201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3 AI홍차봇 17/03/16 3371 0
    5140 영화<나이트크롤러>를 봤습니다. 12 에밀 17/03/10 5363 1
    5119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1 AI홍차봇 17/03/09 2810 0
    5096 영화신고지라 개봉에 맞추어 2 블라스트 17/03/07 3642 0
    5076 영화23 아이덴티티(약 스포) 4 제주감귤 17/03/04 6957 1
    5072 영화스포일러 있는 로건 이야기 12 엘에스디 17/03/04 5165 1
    5048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3/02 3260 0
    5035 영화<라푼젤>을 봤습니다. 14 에밀 17/03/01 8398 0
    5026 영화<싱글라이더>를 봤습니다. (스포 많아요. ㅠ.ㅠ 죄송) 10 에밀 17/02/27 8547 1
    4974 영화1955년 영화 <바람난 여자> 16 은머리 17/02/23 6121 2
    4969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1 AI홍차봇 17/02/23 3247 0
    4905 영화최근 본 영화 3편의 아주 개인적이고 짧은 감상 2 잠못드는밤 17/02/17 3775 0
    4885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2 AI홍차봇 17/02/16 3193 0
    4832 영화<미드나잇 인 파리> - 2011년, 우디 앨런 감독 10 에밀 17/02/10 5390 0
    4827 영화컨택트(2016) _ 세 가지 아쉬운 점 (스포o) 5 리니시아 17/02/10 5571 2
    4814 영화이번 주 CGV 흥행 순위 AI홍차봇 17/02/09 2920 0
    4780 영화컨택트 보고 왔습니다 19 Raute 17/02/05 408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