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e | 17/02/01 04:36:22 |
Name | 새벽3시 |
Subject | 그러하다. |
새벽세시, 라는 사람이 책을 냈다고 한다. 그 사람이 인터넷 페이지 같은 것을 운영할 때도 종종 지인들이 "이거 너야?" 하고 묻고는 했다. 그 페이지들이 묶여 책으로 출간 되었나보다. 책으로 나오니 다시 또 묻는 사람들이 생겼다. 뭘 자꾸 바꾸지 못하는 성격이라 꽤 오랫동안 같은 닉네임을 여기저기에서 썼고 (심지어 여기 홍차넷에서도 쓰고 있고) 오늘 찾아 볼 책이 있어 들른 서점에 그 책이 있었다. 잠시 서서 읽어보니 비슷하다. 내가 생각하고 썼음직한 말들이 담겨있다. 그렇구나, 그래서 다들 물어봤구나, 하고 돌아섰다. 한때는 이런 글이 나온 책을 보면 화가 났었다. 내가 더 잘 쓰는데. 나도 쓸 수 있는데. 심지어 나는 사진까지도 내가 찍을 수 있는데, 라며. 왜 나는 등단도 못하고, 출판도 못하고, 아무도 읽어주지도 않는 글을 쓰며 계속 이렇게 살아야 하는지 화가 났다. 몇 년 전에는 더 이상 글을 쓰지 않겠다, 고 선언했다. 데뷔도 못한 글쟁이가 절필 선언해봐야 아무도 모르지만 스스로 그랬다.
착실하게 회사 다니면서 돈 벌고, 연애도 하고, 글 같은 건 그냥 취미로나 쓰거나 말거나 하며 살아야겠다고. 사람처럼 살아야겠다고. 그런데 그게 안 되더라. 안 쓰겠다고 하니 모든 게 다 글이었다. 집안은 온통 내가 쓰던 노트와 소설의 인쇄물이 들어차 있었고 내가 썼던 게 자기 위안이든 자기 비하든 일기장에나 쓰고 읽어야할 하찮은 글일지언정 내내 쓰는 것만 생각하며 살아와서 결국 나는 다시 글을 쓰기로 했다. 물론 절필을 아무도 몰랐던 것처럼 다시 쓰기 시작했던 것도 아무도 몰랐지만. 써도 괴롭고 쓰지 않아도 괴롭다면 뭔가 하는 쪽이 나은 것 같아서. 최근에는 몇 남지 않은 글을 쓰는 친구와 로맨스 소설에도 도전해봤다. 사실 그 쪽으로 재능이 보이던 친구를 밀어주다가 얼결에 끌려들어가게 됐는데 써보니 이것 역시 쉽지가 않다. 계속 글을 쓴다고해도 상황은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글 쓴다, 고 말해도 아직도? 라는 대답을 듣는데 게다가 로맨스 소설을 쓴다, 고 말하면 사람들은 대부분 같은 표정을 짓는다. 그 표정 속에 어떤 말들이 내포되어 있는지 알기에 불쾌하지만 쓰고 있는 나조차도 최근에야 인식이 바뀌었기에 그 시선을 탓 할 수도 없다. 그저 친구 녀석과 "우린 문학계의 불가촉천민이야." 라는 말로 농을 하고 넘긴다. 그래도 같이 농담 할 친구가 있어서 다행이라는 생각을 하며. 그렇게 글을 쓴다. 쓰고 있다. 물론 여전히 종종 질투에 휩싸이고, 말도 안 되는 책이 출판되면 화가 나고, 이런 인재를 못 알아보나-하며 한탄하지만 그래도 괜찮다. 나는 여전히 쓰고 있으니까. 내가 글을 쓰는 이유는 한결 같다. 공감해주고 싶어서. 세상에 이런 생각을 하고, 이런 감정을 느끼는 사람이 나 혼자 뿐이라 나만 미친 사람 같고 절망에 휩싸여 죽고 싶기만 한 그 사람에게 공감해주고 싶다. 적어도 그렇게 몇 사람은 세상에 혼자가 아닌 기분으로 살아갈 수 있게 하면 좋겠다. 그러니 괜찮다. 등단을 못 해도, 화려하지 않아도, 가난하고 불편해도 나는 계속 글을 쓰고 있으니까. 아, 물론 돈도 벌고, 종이책도 내고, 베스트셀러도 되고 그럼 더 좋을 것 같다. 13
이 게시판에 등록된 새벽3시님의 최근 게시물
|
맹세하거니와 나는 지금 내 손으로 쓴 것을 단 한 마디도 믿지 않는다. 나 자신이 뻔뻔스런 거짓말을 늘어놓고 있는 것만 같아 마음에 걸린다. '뭣 때문에 이런 걸 썼는가?'라고 당신들은 물을 것이다. '너는 생활에 굶주리고 있기 때문에 인생의 여러 문제를 혼란스런 논리로 해결하려 한다. 입으로는 대담한 소리를 뇌까리면서도 줄곧 겁을 먹고 변명을 한다. 아무것도 겁날 게 없다고 ... 더 보기
맹세하거니와 나는 지금 내 손으로 쓴 것을 단 한 마디도 믿지 않는다. 나 자신이 뻔뻔스런 거짓말을 늘어놓고 있는 것만 같아 마음에 걸린다. '뭣 때문에 이런 걸 썼는가?'라고 당신들은 물을 것이다. '너는 생활에 굶주리고 있기 때문에 인생의 여러 문제를 혼란스런 논리로 해결하려 한다. 입으로는 대담한 소리를 뇌까리면서도 줄곧 겁을 먹고 변명을 한다. 아무것도 겁날 게 없다고 호언하면서도 우리의 환심을 사려고 한다. 너는 너 자신의 농담이 재미도 없고 아무것도 아니라는 걸 잘 알고 있으면서도 그 문학적 가치에 사뭇 만족해하고 있다. 너는 하잘것없는 허영심에 사로잡혀 자기의 진실을 자랑하려고 시장 바닥에 전시해 오히려 망신만 당하고 있다. 뭔가 정말로 하고 싶은 말이 있으면서도 너는 두려움 때문에 그 마지막 한마디를 감추고 있다. 너는 그럴 결단력이 없는 겁쟁이이기 때문이다.' 물론 이와 같은 당신들의 말은 지금 나 자신이 지어낸 것이다. 도대체 나는 뭣 때문에 당신들을 '여러분'이라 부르며 독자를 대하기라도 하는 태도를 취하는 걸까. 내가 하려는 고백은 활자로 인쇄해서 남에게 읽게 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 그저 머릿속에 한 가지 공상이 떠올라서 그걸 실현하고플 뿐이다. 누구나 절친한 친구 이외엔 아무에게도 털어놓을수 없는 일이 있다. 그것도 아주 은밀히 고백할 수밖에 없는 일, 심지어는 자기 자신에게조차 고백하기 두려운 일. 나 자신도 최근에 지난 어떤 일을 회상하기로 결심했고 불안감 때문에 항상 피해 왔지만 그걸 회상하는데 그치지 않고 글로 남겨 놓기로 결심한 지금으로서는 과연 나 자신에 대해 숨김없는 태도를 취하고 모든 진실을 꺼려하지 않을 수 있을는지 스스로 그것을 시험해 보고 싶은 심정이다. 인간은 자기 자신에 관해선 반드시 거짓말을 하기 마련이므로 정확한 자서전이란 있을 수 없다. 루소가 참회록에서 자신을 헐뜯는 것도 허영심 때문에 거짓말을 하고 있는 것이다. 나는 그것이 어떤 종류의 허영심인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나는 다만 나 자신을 위해 쓸 것이다. 따라서 이 글의 형식에 그 어떤 구속도 받고 싶지 않다. 순서니 체계니 아랑곳않고 그저 생각나는 대로 써 나갈 뿐이다. 당신들은 나의 말꼬리를 잡고 늘어지면서 '네가 정말로 독자를 염두에 두지 않는다면 그런 설명이나 변명을 뭐하러 하느냐'고 따질지도 모른다. 내가 겁쟁이어서일수도 있고 아니면 내가 이 글을 써 나가는 데 있어 예의를 지키기 위해서 일부러 눈앞에 대중을 상상하고 있는지도 모른다. 대중을 위해서가 아니라면 구태여 종이에 옮겨 적을 것 없이 마음속으로 죄다 상기하면 족하지 않은가. 물론 그렇다. 하지만 종이에 적으면 어쩐지 엄숙해지는것 같다. 뭔가 그럴듯해 보이고 자기비판도 철저해질거 같고 그럴싸한 말도 떠오를거 같다. 그러니까 한 번 그렇게 해본다고 해서 나쁠건 없지 않은가. 무엇보다도 나는 언제나 심심하니까. 뭔가를 글로 쓴다는 건 정말 일답게 느껴지니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