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6/29 13:23:54
Name   Neandertal
Subject   확신이 아집이 아니라 멋있을 때...
확신: [명사] 굳게 믿음. 또는 그런 마음.

사전에 나오는 확신의 의미입니다. 확신이라는 것은 대개 좋은 의미로 사용되곤 하지만 때로는 이 확신과 아집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 보니 문제가 생길 때도 있는 것 같습니다. 칼로 무 자르듯 정량적으로 나눌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보니 나는 확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 상대방이 보기에는 아집이나 고집으로 비춰지는 경우도 많이 있지요.

특히 인터넷 같은 곳에서 특정 주제로 논쟁이 벌어지면 이 확신과 아집은 위험한 줄타기를 하게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까딱 잘못하면 아집 쪽으로 넘어가서 자신도 모르는 사이에 "어그로 꾼"이 되기도 합니다.

하지만 때로는 확신이 아주 멋있는 장면을 만들어 낼 때도 있습니다. 원소주기율표를 만들어 낸 러시아의 화학자 멘델레예프가 바로 그런 확신을 멋있게 승화시킨 주인공이지요. 화알못이지만 화학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이 뭐냐고 물어 본다면 원소주기율표라고 답할 사람들이 많을 겁니다. 원소주기율표를 모르고 화학을 하겠다는 것은 드리블, 볼트래핑 기술 안 배우고 바르셀로나 1군에서 주전으로 뛰겠다고 하는 것이나 다를 바가 없지요.



멘델레예프...


이런 중요한 원소주기율표를 만든 멘델레예프는 정말 확신에 찬 사람이었습니다. 그가 쓸 만한 화학 교과서를 만들겠다고 다짐하고 그 프로젝트에 착수했을 때 가장 절실했던 문제는 그 당시까지 알려졌던 원소들을 어떻게 묶어서 해설을 해야 할까라는 것이었습니다.

그는 원자량에 따라 원소들의 화학적 성질이 유사하다는 점에 기초해서 원자량을 기준으로 해서 원소들을 같은 계열로 묶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그런 작업을 하다 보니 난관이 한 둘이 아니었습니다. 일단 알려지지 않은 원소들이 들어갈 자리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와 이미 알려진 원소들이 자신이 생각한 것과 원자량이 다른 경우들이 발생했기 때문이었지요.

하지만 그는 자신의 접근법이 맞는다는 확신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과감하게 아직 발견되지 않은 원소들이 들어올 자리를 남겨두고 원자량이 자신의 생각과 다른 원소들도 자신의 생각한 자리에 과감하게 배열했습니다. 자신의 접근 방법에 대한 뚜렷한 확신이 없었다면 하기 어려운 결정이었지요.

그런데 그의 이런 확신이 시험에 들 시기가 다가옵니다. 그가 원소주기율표를 만들다 보니 알루미늄 다음에 들어갈 원소가 비게 되었습니다(멘델레예프는 원소주기율표를 가로로 만들었기 때문에 요즘 기준으로 보자면 원소주기율표에서 알루미늄 바로 밑에 오는 원소에 해당합니다). 그 당시 그 자리에 들어갈 원소는 아직 발견되지 않은 상태였지요.

멘델레예프는 그런 원소가 틀림없이 있을 것으로 확신했고 아직 발견이 되지 않은 그 원소를 eka-aluminum이라고 명명했습니다. 그리고 그 원소는 빛나는 금속이고 열을 매우 잘 전달하며 낮은 녹는점을 가질 거라고 예측했습니다. 그리고 그 원소의 질량은 세제곱센티미터에 5.9그램이 될 것이라고 했습니다.

몇 년 후, 프랑스의 화학자 부아보드랑이 실제로 멘델레예프가 예측했던 것과 맞아떨어지는 금속 원소를 발견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하나 있었습니다. 그 원소는 다른 조건들은 다 멘델레예프가 말한 것과 맞아떨어졌는데 단 질량이 세제곱센티미터 당 4.7그램이었던 것이었습니다.

이 소식을 들은 멘델레예프는 즉시 부아보드랑에게 편지를 씁니다. 편지의 내용은 대충

"헤이 부라덜...자네의 샘플에 분순물이 들어간 게 확실함...정제 제대로 했음?...정제 다시 잘 해서 실험해 보기 바람...이상...
멘델레예프로부터..."

이랬습니다.

이 편지를 받은 부아보드랑은 어떻게 반응했을까요?

"아니, 이런 시베리안 허스키!...어디서 듣보잡이 실험을 제대로 했네 못했네 x랄이야?...뭐 정제가 어쩌고 어째?..."

이렇게 폭발했을 수도 있었을 것입니다. 화학자에게 정제를 제대로 했냐고 물어보는 건 어떻게 보면 화학자로서의 기본 자질 문제를 거론한 것이나 마찬가지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부아보드랑은 그렇게 속이 좁은 사람이 아니었나 봅니다. 그는 멘델레예프의 충고를 받아들여서 이번에는 정제를 아주 확실하게 하고서 실험을 다시 했습니다. 아니나 다를까! 이번에 추출된 원소의 질량은 정확하게 세제곱센티미터 당 5.9그램이었습니다. 멘델레예프의 예측이 맞은 것이고 그의 원소주기율표의 신뢰성이 담보되는 순간이었습니다.

부아보드랑은 멘델레예프가 예측하고 자신이 발견한 원소의 이름을 갈륨(gallium)이라고 지었습니다. 라틴어로 프랑스가 갈리아(Gallia)인데 자신의 발견한 원소에 자신의 나라 이름을 붙인 것이었지요.

멘델레예프는 원소주기율표를 만든 공로로 노벨 화학상을 받았고 1963년에는 그의 이름을 딴 원소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바로 원자번호 101번 멘델레븀이 바로 그것이지요. 자기보다 두 번호 앞 원소가 아인시타이늄(einsteinium), 원자번호 112번이 코페르니슘(copernicium)이니 이 정도면 확신을 밀어붙인 결과로 나쁘지 않은 것 아닌가 합니다.



0


    레지엔
    갈륨이 겁내 비싸다던데...

    근데 확실히 이런 예전 과학자들의 일화를 보면 증거가 불충분한 상태에서 이론적/공상적으로 끼워맞춘 결과가 의외로 세상을 설명하는데 잘 맞아떨어지는데 놀라곤 합니다. 갈수록 이러기가 어려워지고 있어서...
    realise
    저도 이 일화 알고나서,
    과학자들 미친 거 아니야 ㅡㅡ? 싶었다능... 저 걸 예상한다는 게 말이 되냐능...
    곧내려갈게요
    이거 좀 놀랍네요. 원자량이야 그렇다 치지만, Al Ga In 으로 가면서 crystal structure도 다 달라지는데 밀도를 어떻게 예측했지??
    darwin4078
    제가 고등학교 졸업하면서 화학 원소주기율표도 안외우고 졸업했지 말입니다. 이과였는데 말입니다.
    저때는 선택과목 그런거 없고 무조건 지학, 물리, 화학, 생물 다 했어야 했지 말입니다.
    당시 중2병 변종 고2병 말기여서 나는 이과지만 이딴거 공부 안하고도 졸업 할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랄까. 한마디로 미친거죠. ㅠㅠ

    대학교 들어가서 기초화학 수업을 듣는데 애로사항이 꽃피었죠.
    결국 1학기 화학 D-를 맞고 이래선 안되겠다고 생각하고 과탑성적을 찍던 여학생에게 화학과외를 해달라고 부탁했고,
    그러면서 썸을 타..기... 더 보기
    제가 고등학교 졸업하면서 화학 원소주기율표도 안외우고 졸업했지 말입니다. 이과였는데 말입니다.
    저때는 선택과목 그런거 없고 무조건 지학, 물리, 화학, 생물 다 했어야 했지 말입니다.
    당시 중2병 변종 고2병 말기여서 나는 이과지만 이딴거 공부 안하고도 졸업 할 수 있다고 생각했었다...랄까. 한마디로 미친거죠. ㅠㅠ

    대학교 들어가서 기초화학 수업을 듣는데 애로사항이 꽃피었죠.
    결국 1학기 화학 D-를 맞고 이래선 안되겠다고 생각하고 과탑성적을 찍던 여학생에게 화학과외를 해달라고 부탁했고,
    그러면서 썸을 타..기는 개뿔, 과외 하다가 니가 병신이네 내가 병신이네 겁나 싸우고 과외는 1달만에 파토났지 말입니다.

    그러다...
    Beer Inside
    절단신공?
    마르코폴로
    이뻤나요?
    darwin4078
    아뇨. 단언컨대 안이뻤습니다. 진짜에요. 예쁘고 공부 잘하는 여자가 얼마나 있겠어요.
    근데 아무리 예뻐도 \'아니, 이거를 모르고 어떻게 수능을 봐? 너 진짜 수능으로 온거 맞어? 기부입학 아냐?\' 이런 얘기를 진지하게 하는데 썸이 생기겠어요? 지금 다시 생각하니 또 화가 나네요. 제가 수학, 과학 이쪽은 병신 맞지만, 병신이라고 하는건 참을 수 없습니다.
    외노자
    그러다... 결혼했나요?
    darwin4078
    2학기가 넘어가고 2학년이 되었습니다.

    2학년때는 유기화학이 등장합니다. 기초화학 D-는 솔직히 그러려니 하는데, 동기여학생한테 과외 받으면서 받았던 치욕을 잊지 못하고 있었던 저는 진짜 다른거 다 팽개치고 한놈만 팬다는 심정으로 유기화학만 팠습니다. 그리고 학기말.
    절대평가로 학점이 나오는 유기화학에서 A+가 딱 2명 있었는데, 과외해주던 동기여학생과 저였습니다. 당시 그 과탑여학생의 눈빛을 저는 잊지 못합니다. 딱, \'뭐야, 이 병신이 나랑 학점이 똑같다고?\'의 눈빛...-_-;

    유기화학만 A+고 나머지 전과목 ... 더 보기
    2학기가 넘어가고 2학년이 되었습니다.

    2학년때는 유기화학이 등장합니다. 기초화학 D-는 솔직히 그러려니 하는데, 동기여학생한테 과외 받으면서 받았던 치욕을 잊지 못하고 있었던 저는 진짜 다른거 다 팽개치고 한놈만 팬다는 심정으로 유기화학만 팠습니다. 그리고 학기말.
    절대평가로 학점이 나오는 유기화학에서 A+가 딱 2명 있었는데, 과외해주던 동기여학생과 저였습니다. 당시 그 과탑여학생의 눈빛을 저는 잊지 못합니다. 딱, \'뭐야, 이 병신이 나랑 학점이 똑같다고?\'의 눈빛...-_-;

    유기화학만 A+고 나머지 전과목 재시라는 기록을 세운건 함정. 그리고, 과탑여학생의 \'이 병신이 그러면 그렇지.\'하는 눈빛을 받은건 덤. ㅠㅠ

    멘델레예프 이 개객끼!! 너땜에 대학생 되서도 수헤리베붕탄질산플네나마알규를 외웠다규!! ㅠㅠ
    *alchemist*
    수헬리베붕탄질산플은 이과생의 기본 소양이지요. 안 지키셨으니 학점은.. 지못미 다윈4078님.. ㅠㅠ;
    이런, 제일 궁금한 부분이 안나왔네요...
    darwin4078
    안예뻤고 학부시절 내내 썸한번 없었습니다.
    마르코폴로
    네온, 크립톤, 아르곤, 제논 같은 것들을 처음 들었을때 칼칼나마알아철이나 외우던 문과생에겐 문화컬쳐였는데 갈륨, 아인시타이늄 같은 것들도 있었군요.
    이과 망했으면...
    구세계 초기부터 눈팅유저였는데, 네안데르탈님의 글은 항상 재미있게 읽고 있습니다.
    삼공파일
    화학 전공으로서 사실 주기율표 외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고등학교 때 경시대회 볼 때부터 화학과 4학년 졸업할 때까지 주기율표는 항상 기본으로 주고 시험 봤거든요. 무기화학 시간에 주기율표 쪽지시험 볼 때는 빼고요.

    새로운 원자들이 한참 발견되면서 원자를 어떤 규칙으로 배열하겠다는 시도는 먼저 있어 왔습니다. 원자량 순으로 7번 반복된다는 7음계 규칙 같은 가설이 여러 개 제시되었는데 뜬구름 잡는 얘기로 끝나고 말았죠. 멘델레예프도 원자 구조에 대한 이해는 없었지만 원자량 순서도 배열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8번째에 성질이 ... 더 보기
    화학 전공으로서 사실 주기율표 외울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고등학교 때 경시대회 볼 때부터 화학과 4학년 졸업할 때까지 주기율표는 항상 기본으로 주고 시험 봤거든요. 무기화학 시간에 주기율표 쪽지시험 볼 때는 빼고요.

    새로운 원자들이 한참 발견되면서 원자를 어떤 규칙으로 배열하겠다는 시도는 먼저 있어 왔습니다. 원자량 순으로 7번 반복된다는 7음계 규칙 같은 가설이 여러 개 제시되었는데 뜬구름 잡는 얘기로 끝나고 말았죠. 멘델레예프도 원자 구조에 대한 이해는 없었지만 원자량 순서도 배열해야 한다고 생각했고 8번째에 성질이 반복된다는 점에 주목했습니다. 갈륨을 예언할 수 있었던 것도 그 때문이었죠.

    아, 참고로 갈륨은 녹는점이 가장 낮은 금속입니다. 손에 올려 놓고 있으면 녹아요.
    darwin4078
    그렇군요.
    화알못이라 주기율표는 외워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반성합니다. ㅠㅠ
    삼공파일
    생각해보면 딱히 써먹을 데 없지 않으셨나요? 주족원소 20개 정도야 따로 외울 필요 없고 문제 자주 나오는 1족 2족 16족 17족은 기억하게 되고 전이금속도 문제 나오는 건 몇개 없고요. 1번부터 줄줄 외우는 건 무기화학 전공자나 필요할까 한데, 옛날식 교육의 폐혜 같습니다. 흐흐.
    darwin4078
    잠깐만요, 주족원소 20개는 기본으로 외우는 거고, 1,2,16,17족은 그냥 외워지는 거고, 전이금속 몇개 외우면 된다구요?
    따로 외울 필요 없고, 하다보면 기억하게 되고.. 따로 외울 필요 없고, 하다보면 기억하게 되고.. 따로 외울 필요 없고, 하다보면 기억하게 되고.. 따로 외울 필요 없고, 하다보면 기억하게 되고..

    크...크크크...크크크크크크... 아놔...ㅠㅠ 흐콰하고 싶네여...
    2막4장
    꽤나 재미있네요. 멘델레예프가 만든 주기율표가 점점 확장되고 있다죠...
    가속기 때문에 잠시 10의 마이너스 몇승 초동안 존재하다가 사라지는 원소들..
    의미가 있는진 모르겠지만, 세상에 없거나 극극극히 희박한 존재라 뭔가 신기합니다.
    제가 아는 대머리 중에 가장 멋있.....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831 일상/생각확진자 급증하네요.. 5 마음아프다 21/06/30 3740 0
    6189 일상/생각확실히 고등학교때 친구들이 제일 오래가긴하는거같네요. 19 콩자반콩자반 17/08/28 6468 3
    467 기타확신이 아집이 아니라 멋있을 때... 20 Neandertal 15/06/29 8631 0
    9043 과학/기술화학 전공하면서 들은 위험했던 썰 몇가지 29 Velma Kelly 19/04/05 6471 15
    12114 일상/생각화천대유.. 몰라요.. 37 Picard 21/09/27 5404 1
    7661 기타화창한 날은 안개가 많이 낀다! 핑크볼 18/06/11 4692 3
    3092 기타화제의 어떤 사진 25 눈부심 16/06/22 5746 0
    7862 방송/연예화전소녀의 우주소녀 병행활동 문제 2 Toby 18/07/16 5489 1
    5283 사회화장실을 엿본 그는 왜 무죄판결을 받았나 13 烏鳳 17/03/24 6019 27
    6542 일상/생각화장실에 갇혔던 이야기. 10 프렉 17/11/06 5134 7
    3445 정치화장실 낙서로 보는 남녀 정치관심도 차이 5 뷰코크 16/08/04 6707 0
    11786 의료/건강화이자, AZ, 델타(인도 변이)에 매우 효과적 3 다군 21/06/15 5162 1
    12538 기타화이자 백신 어린이도 맞는다, 5~11세 적응증 확대 6 알탈 22/02/23 4693 0
    1780 기타화이버글라스를 조심해야 하는 이유(feat. 난방텐트) 5 홍차먹다빨개짐 15/12/15 28996 0
    10949 창작화성의 언어학자 - 단수와 복수 8 아침커피 20/09/11 5189 7
    14075 게임화성남자 금성여자 in 스타교육 - 2 - 5 알료사 23/07/30 2984 12
    13964 게임화성남자 금성여자 in 스타교육 19 알료사 23/06/08 4892 8
    11404 사회화성 묻지마(?) 폭행 사건 영상 4 열대맛차 21/02/09 5081 0
    11207 IT/컴퓨터화상으로 알고리즘 스터디를 시작할까합니다. 6 kaestro 20/12/09 4717 1
    4143 의료/건강화병과 우울증 3 모모스 16/11/12 6951 8
    5963 일상/생각화랑곡공방 6 우리아버 17/07/17 4925 2
    15262 정치화교는 상속세를 내지 않는다는 말 13 당근매니아 25/02/11 3089 17
    15035 일상/생각화 덜 내게 된 방법 똘빼 24/11/11 1023 16
    14210 도서/문학홍학의 자리 ㅋㅋㅋㅋ 미쳤어요...^^;; 4 큐리스 23/10/20 2379 0
    10849 기타홍콩인들의 마음을 보여준 하루 344% 주가 상승 7 다군 20/08/10 5213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