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8/24 07:58:26
Name   Ben사랑
Subject   1) 테마레마, RST 활용한 독해모델의 개괄과 참고할 책,논문들 소개
저번에
https://kongcha.net/pb/pb.php?id=recommended&no=247
위의 글에서 한바탕 수능 영어 지문의 독해 가지고 난리가 났었죠.
그때
https://kongcha.net/?b=7&n=1395&c=12223
위와 같이 지문을 분석하고 독해했었는데요,


원래 3~4년 후에 언어학적, 사회과학적, 자연과학적 지식이 (나름) 충분하게 되었을 때, 한꺼번에 테마레마와 RST도 소개하려고 했는데,
3~4년은 너무 시간이 길어서,
지금은 제대로 된 설명은 자세히는 안 드릴 것이고 그 개괄적인 설명만 드릴 것이고, 대신에 테마레마와 RST에 대해서 디테일적으로 배울 수 있는 책과 논문을 소개하려고 이 글을 씁니다.

==============================================
==============================================

테마레마는
1. 화자가 독자에게 '어떤 대상(테마)'에 대해서 '그 대상이/을 무엇이다/어떠하다/어찌하다(레마)라는 가치있는 정보을 말하고자 하는구나,'를 (독자가 그 내용과 맥락으로부터 추론하여) 동적으로 집중, 분절하여 연결하는 텍스트언어학적 기법입니다.
이 '어떤 대상'은 테마입니다. 즉, 우리말로 화제입니다.
이 '어떤 대상'은 화자와 독자 간에 '이미 알고 있다고 합의된 것'입니다.(known)
혹은 이 '어떤 대상'은 화자와 독자에게 '새롭지 않은 낡은 정보'입니다. 즉 정보 가치가 떨어집니다. 새롭지 않은 말을 또 하니까.(old)
이 '어떤 대상'은 어떤 명칭, 대상의 형태를 띱니다.
이 '어떤 대상'간에도 상위 테마, 하위 테마가 있습니다. 더 넓은 범위, 더 높은 위계의 상위 테마가 더 좁은 범위, 더 낮은 위계의 하위 테마 여럿으로 뻗어나갈 수 있습니다.
반대로 레마는 우리말로 초점이며, 화자가 '독자는 아직 이것을 모를 것이라고 여긴다고 추측되는 것(unknown)' 동시에 '독자에게 새로운 정보가 될 것이라고 추측되는 정보(new)'입니다. 레마는 어떤 서술의 형태를 띱니다. 레마들 간에도 RST나 어떤 관계술어적인 상호관계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2. 또한 테마레마에서 가장 정갈한 유형이 있는데, 이 유형은 소수의 테마들로 다수의 레마들을 깔끔하게 묶어주는 겁니다. 저는 최종적으로는 이 유형의 테마레마 구조를 얻기를 선호합니다. 이는 화제 중심의 독해를 하자는 겁니다. 화제 중심으로 여러 정보를 묶자는 겁니다.
위의 1.처럼 그때그때 테마레마들을 판별해가면서 어느 정도 범위까지 독해를 다 한 후에(짧은 단락의 경우, 한 단락 정도?),
이때 이 범위의 내용과 구조가 어렴풋하게 잡혔을텐데, 이때
전체적인 관점에서, 즉 (각각의 진술의 관점이 아니라) 전체 담화의 관점에서 테마와 레마를 분절하여 연결합니다.
가급적이면 소수의 테마들(화제들)로 다수의 레마들을 묶을 수 있게 합니다.


3. (1.을 시행하는 도중에는=>밑에 소개하지만, "선적 표상 과정") 지금 읽는 테마, 레마가 이전에 있었던 어느 테마, 레마와 같은 내용인지, 유사한 내용인지, 상위-하위로 종속되는 내용인지, 비약되지만 하여튼 밀접한 관계가 있는 내용인지..에 집중하면서, '지금 읽는 독해단위(분절단위)를 이전 글에 있는 독해단위(분절단위)로부터 그 내용을 상속받는 그 양상'에 초점을 맞춥니다.
    (2.를 시행하는 도중에는=>밑에 소개하지만, "면적 표상 과정") 글쓴이가 이 큰 글의 영역에서 과연 전체적인 관점에서, 궁극적으로 어떤 테마에(화제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에 집중합니다. 그로부터 레마를 묶습니다.


4. 각 레마마다 이 레마는 이 테마에 어떤 의의가 있는것인지 그 책의 텍스트-활자 위에 (메모)하면서 읽습니다. 자신의 관점에서 프레임을 씌우는 거죠. 왜냐하면 하나의 테마에 너무 많은 레마들이 주렁주렁 달려있으면, 각 레마마다 프레임을 씌우지 않으면 그 레마들이 정리가 안 되기 때문에.



1.의 과정은 연필이냐 샤프로,
2.의 과정은 진한 색연필로 하면 좋습니다.

테마레마가 어떤 유형과 도식으로 전개되며, 또 어떤 식으로 그 내용을 상속받는지 등등에 대해서는 밑에 소개하는 책이나 논문들 참고.



==============================================
==============================================


RST는 글쓴이가 어떤 A명제와 어떤 B명제를 어떤 의미관계로 연결하여서, A명제와 B명제 중에 어느 명제에 힘을 더 실어주는지(글쓴이의 마음이 어느 명제에 더 가 있는지)에 대한 텍스트언어학적 기법입니다. 테마레마 기법이 화제 중심의 독해기법이라면, RST는 독자가 '글쓴이가 어느 명제에 더 가치를 두는지 그 마음을 읽어보겠다'는 독해기법이죠. 즉, 바꾸어 말하면, 자료가 충분치 않거나 맥락이 충분치 않아서 글쓴이의 마음을 명확히 알 수 없는 글의 부분에는 쓸 수 없는 기법입니다. 모든 독해기법에는 각각마다 철학이 있고 또 제한요건(적용영역의 한계)가 있는 법이죠.


RST는 한마디로 말하면 이런 컨셉입니다.

A명제가 B명제를 [Means] 관계로 보조한다.고 독자가 판단내릴 수 있다. => A명제는 B명제에 어떤 수단, 도구적인 것이 됩니다. 혹은 A명제는 B명제의 실현을 위한 메커니즘적인 것이 되죠.(의미관계) => A명제는 B명제에 보조 역할을 합니다. 그런데 A명제는 B명제에 대한 보조 명제일 뿐이지만, [Means]관계는 Subject Matter Relations관계이기 때문에, A명제는 잊어버려도 될 만큼 (일단 원칙상으로는) 가벼운 가중치의 명제가 아닙니다. 최종적으로 글을 요약할 때 기억해야 한다는 거죠. 대체적으로 요약문에 포함시켜야 한다는 겁니다.(의미관계로부터 힘관계를 판단내릴 수 있다.)

위와 같이, A명제보다 B명제가 힘이 세다고 판단내려졌습니다. 또 다른 글의 영역에서, C명제보다 D명제가 힘이 세다고 판단내려졌습니다. 어찌어찌 해서 B명제와 D명제 간의 수사관계를 고려할 경우가 생겼습니다. 이때 B명제보다 D명제가 힘이 세다고 판단내려졌습니다. .... 이렇게 더 중요한 명제들을 찾아 올라가는 거죠. 그렇게 해서 어떤 글의 부분적인 영역에서 가장 힘센 명제를 찾을 수 있고, 또 힘센 명제와 힘약한 명제 간의 힘관계, 수사적인 의미관계들이 이루는 구조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RST는 A명제와 B명제가 왜 그런 관계인지 그 판단의 이유는 제공하지 않습니다.(그 판단의 이유가 될만한 것들은 일단 해당 문서가 속한 학문분야 고유의 논리, 또 맥락, 그리고 텍스트언어학text linguistics의 텍스트성, 담화분석discourse analysis적 독해방식의 기반이 되는 철학들 등등이 있겠죠.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자신만의 언어학적 감(感)이 있겠죠.) 다만, RST에는 여러 수사적인 관계들([Means]관계, [Interpretation]관계,...등등)이 있고, 이런 수사 관계들의 종류가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이 한정된 선택지들 가운데서 우리가 A명제와 B명제 간의 수사적인 관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 범주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다는 거죠. (말도 안 되는 비유이긴 하지만,) 막연하게 글로 써야 하는 주관식보다 선택지가 한정된 객관식이 쉽잖아요?

RST 수사 관계의 종류에 대해서는 다음 글 참고. 글을 이 글 포함해서 두 개를 올렸거든요.

==============================================
==============================================


김재봉 교수님의 모델에서, 자신의 책(밑에 소개)에서, 테마레마를 일단 중심으로 글의 구조를 짜면서 독해를 하고, 중간중간에 또 최종적으로 RST를 거기에 곁들이는 식으로 독해를 하면 좋다는 결론이 내릴 수 있습니다. 각 테마와 레마들의 수사적인 관계를 RST로 엮으면서, 각 테마와 레마 간에 글쓴이의 의도를 느낄 수 있는 매개체가 되는 RST관계를 추가시키는 거죠. 그리고 이 테마레마의 화제 중심 구조와 RST의 수사적 구조를 모두 고려해서 분절구조의 도식을 그립니다. 그냥 가장 힘센 화제를 중심으로 힘센 화제 -> 힘약한 화제 -로 뻗어나가는 트리tree 모양의 graphic organizer 생각하시면 됩니다. 화제들 간에 상하 관계가 있는 것, 각 레마마다 프레임을 씌운 것, 또 RST의 힘관계 이 모든 것이 분절구조의 도식을 확립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
==============================================

또 밑에 소개될 김도남님의 표상 방식이 정말 독해할 때 본질적으로 도움이 됩니다.
이미지 표상, 스키마 표상, 명제 표상에 대해서 설명해주시고 계세요.

이미지 표상은 자기 머릿속에 어떤 심상 공간을 설정해놓고 독자가 그 안에서 뛰어다니면서 표상하는 것이고요.
스키마 표상은 선지식을 활용하여 표상하는 것이고요,
명제 표상은 언어학적인 혹은 추상적인 개념의 형태로 표상하는 것입니다.
각 표상마다 적용되는 영역이 다르죠.


특히 명제 표상에 대해서 제 나름의 논리로 설명드리자면,

점적 표상 - 지금 읽을 각 어구들을 읽을 때, 그것들을 대충 의미론적 혹은 통사론적으로 분절하여 밑줄치고 그 어구의 이해가 요구하는 단편적인 언어학적 지식 및 관련 분야의 선지식 및 그 맥락 하에서 대충 생각하고 넘어감.
=>
선적 표상 - 점적 표상된 각 어구들을 관련한 언어학적 지식 및 관련 분야의 선지식 및 그 맥락 하에서 한번에 둘씩 짝지어서 1:1 matching(테마레마, RST)하면서 의미를 이해해나감.
=>
지금 독해하고 있는 글의 영역의 구조와 내용이 서서히 보이게 되는 단계에 이르름. 어느정도 가정적으로 짐작되는 단계에 이르름.
=>
면적 표상 - 지금 독해하고 있는 글의 영역을, 그 하위 영역 여럿으로 덩어리지어 쪼개면서(의미론적으로 서로 긴밀히 응집해있는(즉, 하나의 부분적으로 큰 의미단위를 형성하고 있는 글의 덩어리 각각으로 쪼개라는 것) 전체적인 담화 관점에서 테마레마와 RST관계를 새로 조직함.
=>
지금 독해하고 있는 글의 영역의 구조와 내용이 확립됨. 물론 다른 독해하고 있는 글의 영역의 표상에 의해 수정될 여지가 있지만 하여튼.
=>
입체적 표상 - 지금 독해하고 있는 글의 영역에서, 내가 실제로 실생활에, 현실에 쓸만한 정보 혹은 내가 지(知)적으로 관심있는 정보만을 명시적으로 뽑고, 그 이외의 정보들은 대충 두리뭉실하게 처리한다. 인간이 그 모든 정보들을 다 동시에 뚜렷하게 생각할 수 있을만큼 똑똑하지 않기 때문이다.
=> 다른 글의 영역도 다 독해한다. 때에 따라 다른 글의 영역에 의해서 이 글을 독해한 것에 스키마적인 수정이 들어갈 수 있다. 이 글 전체의 독해 끝.
=> 실생활에, 현실에, 나의 생각의 지평에 이 글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
==============================================






위는 제가 실제로 독해할 때 책의 각 구절을 분절하고 연결하고 또 메모도 하고 한 사진입니다. 저는 일단 책에 이러한 난도질을 한 후, 별도의 저만의 노트를 꺼내서 여기에 저만의 언어로 다시 요약, 구조화하여 책의 내용 및 생각할 거리를 정리합니다.

==============================================
==============================================


한 3~4년 후에 제대로 된 통합적인 언어학적 독해이론을 소개할 건데, 일단 테마-레마와 RST만이라도 아시면 웬만한 비문학적인, 학술적인 쓰여진 문서에 대한 독해에는 상당히 도움이 됩니다. 이걸 제가 디테일적으로 자세히 가르칠 능력과 시간이 아직은 안 되고, 관심있으신 분은 제가 다음에 소개하는 책과 논문을 스스로 찾아서 공부하시면 좋겠습니다.

-텍스트언어학 및 텍스트언어학적 독해모델의 큰 틀을 잡게 해주는 책들 -
고영근 - 텍스트 과학(텍스트언어학의 개괄 설명, 기본개념 설명)
김재봉 - 텍스트 요약 전략에 대한 국어교육학적 연구(테마레마 -> RST -> 분절구조 확립이라는 김재봉 교수만의 독해모델 소개. 단, 설명이 부실하고 또 혼잡하여서, 반드시 다음에 소개하는 논문들을 읽어야 한다.)

-테마레마 관련 논문들 -
이삼형 - 텍스트 구조 분석 연구
오현아 - 표현 문법 관점의 문장 초점화 교육 내용 연구
이희자 - 주제부 전개로 본 텍스트 구성 연구

-RST 관련 웹사이트, 논문들 -
http://www.sfu.ca/rst/01intro/intro.html
http://www.sfu.ca/rst/01intro/definitions.html
윤석민 - RST와 국어의 텍스트 분석
정여훈 - 수사구조이론과 한국어 텍스트 분석의 실제
최승기 - 응집성 관계와 수사구조이론의 인과성과 주관성에 대한 비교 연구

- 표상방법 관련 논문 -
김도남 - 독자의 의미 표상 방법 고찰


대학교 다니시는, 혹은 다니셨던 분들은 자신의 모교로 가셔서 그 모교의 특정 pc에서 논문을 공짜로 다운받으실 수 있는 분들이 대부분일 겁니다.

솔직히 저것보다 더 많은 책과 논문을 읽었지만, 정수만을 뽑자면 저 정도면 테마레마, RST 활용한 독해 관련 공부는 충분할 것 같네요.




테마레마, RST 관련해서 리플로 질문 받습니다. 짧은 답변 정도는 해드릴 수 있으니.



0


    Ben사랑
    저는 전공자가 아니기 때문에, 상당히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감안하시고 봐주세요.
    Ben사랑
    독해의 예시까지는 요구하지 말아주세요. 힘듭니다..

    대신 소개해드린 책과 논문들 곳곳에 부분적으로 예시들이 많아요.
    Ben사랑
    많은 댓글은 큰 힘이 됩니다.

    일찍 일어나서 오랜 시간을 공들여서 글을 작성했거든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사진이 거꾸로 나오네요.
    Ben사랑
    네.. 그런데 회전하기가 귀찮아서 대충 올렸습니다.

    저 사진 자체가 중요한 게 아니라, 자기 나름대로의 테마레마-RST의 기호를 개발해서, 책 위에다가 표시한다는 사실 자체를 보여주고 싶었기 때문에..
    Ben사랑
    저는 학원 갈게요~ 그동안 댓글 많이 달아주세요. 홍차넷 회원 여러분들 늘 감사합니다.
    홍차넷이 홍보에 관대하기는 합니다만 관련없는 내용에도 특정인에 대한 내용을 끼워넣는 것을 지양해주시기 바랍니다.
    제재를 논의하는 상황까지 이어지기 보다는 그 전에 회원 스스로가 조심해서 활동해주시는게 더 바람직 할 것 같습니다.
    Ben사랑
    네. 알겠습니다. 삭제할게요.
    Ben사랑
    known한 테마 개념과 old한 테마 개념,
    그리고 unknown한 레마 개념과 new한 레마 개념은

    그때그때 서로 불일치할 수도 있고 또 이것 말고도 각론이 많은데,
    그건 학자들이 할 일이고, 일반인에게는 별로 중요하지 않을듯.(제 나름대로의 경험적 판단으로)
    세계구조
    어렵군요 ㅠ
    Ben사랑
    이게 예시랑 같이 보여드렸어야 하는데.. 말로만 설명하다보니까요ㅠㅠ 그래도 소개해드린 책이나 논문 등에 독해 예시가 많이 나와있어요. 혹시 관심 가져주시는 것이라면, 한번 보시는 걸 감히 추천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448 과학/기술SEWOL X 40 하니n세이버 16/12/26 7787 0
    4355 과학/기술걱정의 구체성이 불안 및 인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4 NightBAya 16/12/11 4571 2
    4252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금수저와 집사 13 Event Horizon 16/11/29 6490 8
    4024 과학/기술혈우병과 무당 라스푸틴 2 모모스 16/10/28 9187 6
    4002 과학/기술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6 모모스 16/10/25 8103 15
    3994 과학/기술[토막상식]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대하여 19 April_fool 16/10/24 19599 1
    3979 과학/기술네안데르탈인을 복제할 수 있다면? 12 눈시 16/10/21 4702 1
    3955 과학/기술나이아 (Naia) 의 소녀와 자연계의 덫 모모스 16/10/19 5845 4
    3933 과학/기술아르마딜로와 한센병 1 모모스 16/10/17 14177 3
    3907 과학/기술어린 데니소바인 (Denisovan) 소녀의 치아 2개 7 모모스 16/10/14 6016 2
    3866 과학/기술산호초와 진딧물 5 모모스 16/10/10 6092 2
    3847 과학/기술판다와 비만 3 모모스 16/10/07 6105 5
    3834 과학/기술플로레스섬에서의 왜소화 vs 거대화 6 모모스 16/10/05 7642 5
    3759 과학/기술혼외 정사 (Extramarital Sex, EMS) 의 과학 27 모모스 16/09/23 7608 9
    3750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월급 D 루팡 29 Event Horizon 16/09/22 5953 10
    3714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더 퍼스트 어벤져 36 Event Horizon 16/09/16 6248 12
    3568 과학/기술2)RST 관계들의 정의들. 6 베누진A 16/08/24 7354 0
    3567 과학/기술1) 테마레마, RST 활용한 독해모델의 개괄과 참고할 책,논문들 소개 11 Ben사랑 16/08/24 10123 0
    3455 과학/기술인공지능 왓슨의 의학적 진단 보조 사례 33 April_fool 16/08/05 5818 1
    3438 과학/기술여성의 오르가즘은 왜 생겼나? 46 April_fool 16/08/03 7948 0
    3400 과학/기술도핑테스트와 질량분석기 5 모모스 16/07/30 6001 9
    3396 과학/기술창백한 푸른 점 6 April_fool 16/07/29 7100 3
    3036 과학/기술The Big Alien Theory 4 NightBAya 16/06/16 4703 0
    2953 과학/기술Re : Re : 국내의 에너지 산업 혹은 태양광산업 동향은 어떤가요? 30 고양이카페 16/06/06 5758 9
    2929 과학/기술what3words - 전세계 공통 주소체계 19 April_fool 16/06/01 6558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