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6/08/05 20:10:12
Name   April_fool
Link #1   http://www3.nhk.or.jp/news/html/20160804/k10010621901000.html
Link #2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8/04/2016080403143.html
Subject   인공지능 왓슨의 의학적 진단 보조 사례
방금 전에 어느 분이 티타임 게시판에 관련 글을 올리셨는데, 댓글을 쓰려고 했더니 어째선지 글이 사라졌네요. 그래서 제가 다시 올립니다.

[NHK] 人工知能 病名突き止め患者の命救う 国内初か
http://www3.nhk.or.jp/news/html/20160804/k10010621901000.html

내용을 요약하자면, 미국 IBM에서 개발한 인공지능 [왓슨]을 도쿄대학교 의과학연구소 부속병원이 도입하여 운용한 결과 진단하기 어려웠던 2명의 암 환자를 비롯하여 모두 환자 41명의 치료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었다는 것입니다. 이 중 NHK의 기사에서 중점적으로 소개된 사례를 구글 크롬의 번역기능으로 번역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인공지능에 의해 목숨을 구원받은 야마시타 아야코 씨(66)는 재작년 여름 경부터 컨디션에 이상을 느끼고 심한 빈혈로 진단되어 있었지만, 작년 1월 도쿄대 의과학연구소 부속 병원에서 급성 골수성 백혈병 진단을 받고 그날로 입원했습니다.

2종류의 항암제를 결합한 표준 치료를 받았지만 몸의 면역 기능을 담당하는 백혈구의 수는 회복되지 않고, 고열을 내고 의식 장애를 일으키는 등 죽음을 각오한 시기도 있었다고 말합니다.

병원은 회복이 보이지 않는 야마시타 씨의 병의 원인을 인공지능을 사용하여 찾았습니다. 우선 야마시타 씨의 유전자를 자세히 살펴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개소를 1500개 픽업했습니다.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관련되어 질병을 일으키는지 인공지능에게 분석시켰더니 불과 10분 후에 “STAG2”라는 유전자의 변화가 근본 원인을 만들어내고 있는 ‘이차성 백혈병’일 가능성이 높은 것을 간파한 것입니다. 따라서 병원은 다른 치료제로 바꾸는 등 치료 방침을 변경. 그 결과, 야마시타 씨의 몸은 서서히 회복하고 지난해 9월에는 퇴원할 수 있었습니다.

야마시타 씨는 “앞으로 1년 정도 있으면 이 세상에서 없어질 각오했던 시기도 있었습니다. 로봇이나 컴퓨터의 연구 성과를 올리는 데는 오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이렇게 급격하게 도움받는 것은 생각지도 않았는데, 지금 생활할 수 있는 것도 인공지능 덕분”이라고 말했습니다.
기사에 따르면 해당 병원은 IBM과 공동으로 암 환자를 진단하는 임상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고 하네요. 이 사례는 일본에서 인공지능이 사람의 생명을 구한 최초의 사례로 평가받는다고 합니다.

이런 종류의 유전정보 분석 또는 유사 사례 검색 등은 인공지능이 잘 할 수 있는 것이고, 이를 응용한 인공지능의 진단보조도구로서의 활용은 얼마 지나지 않아 국내에도 도입될 수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마침 한국IBM이 왓슨에게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고도 하니까요.



1


    Ben사랑
    인공지능이 아무리 발달해도, 인공지능은
    의사가 그걸 유용하게 사용할 도구이지,
    그것이 의사를 대체하진 않을 것 같아요.

    의료계에 대체적으로 긍정적일 듯 해요.
    April_fool
    문득 생각난 건데, 어쩌면 병원에서는 이런 인공지능보다 로봇 간호사나 로봇 간호조무사가 더 절실할지도 모르겠다는 생각도 들더군요. 어쨌든 의사들이 사용할 수 있는 도구가 늘어나는 것은 좋은 일이죠.
    Ben사랑
    간호사가 인간이 아니라 로봇이면 거부감 들 것 같아요.
    하지만 그 로봇간호사가 베이맥스라면....
    Event Horizon
    https://www.youtube.com/watch?v=vY1TegT4XAE
    《Big Hero 6》Baymax's "balalala~"
    베이맥스 로봇간호사라면 맨날 병원에 죽칠거에요 8ㅅ8ㅋㅋㅋ
    DrCuddy
    진단의학과 과장 닥터 하우스와 전문의 '왓슨' 조합이라니... 생각보다 빠르긴 하네요.
    April_fool
    이상, 마치 남 일처럼 말씀하시는 프린스턴 플레인스보로 병원장님이셨습니다.
    damianhwang
    시즌 7까지만 하고 8시즌에는 원장직 던지고 나가셨쥬;;
    쫑파티때오 안나오심 ㄷ ㄷ
    April_fool
    그랬던가요? 파이널 시즌까지 안 봤더니…
    damianhwang
    하우스-윌슨이 원래는 홈즈-왓슨을 오마쥬해서 만드려던 조합이었는데
    예상외로 진단의학 3총사 인기가 높아져서 윌슨이 좀 붕 떴쥬;;초창기에 ;;
    마냥 인공지능이라기보다는 유전자분석에 좀 더 가까운 사례긴 하네요. 저는 증상이나 이런걸로 찾은줄 알았는데....

    아마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개소' 라는 부분은 SNP/Indel 분석을 이야기한거 같네요. 저 사람에게는 1500여개의 유전자 변이 부분이 있는데 그중에 Stag2 gene 에 돌연변이가 있고 그 변이가 크리티컬한 걸 찾아낸 것 겉 같아요.

    사실 저정도의 분석은 인공지능이 아니어도 숙련된 Bioinfortatics 전문가가 있으면 가능합니다만, 10분만에 분석을 끝낸건 역시 인공지능 덕분이긴 하겠네요. ... 더 보기
    마냥 인공지능이라기보다는 유전자분석에 좀 더 가까운 사례긴 하네요. 저는 증상이나 이런걸로 찾은줄 알았는데....

    아마도 '변화가 일어나고 있는 개소' 라는 부분은 SNP/Indel 분석을 이야기한거 같네요. 저 사람에게는 1500여개의 유전자 변이 부분이 있는데 그중에 Stag2 gene 에 돌연변이가 있고 그 변이가 크리티컬한 걸 찾아낸 것 겉 같아요.

    사실 저정도의 분석은 인공지능이 아니어도 숙련된 Bioinfortatics 전문가가 있으면 가능합니다만, 10분만에 분석을 끝낸건 역시 인공지능 덕분이긴 하겠네요.

    이런 방식은 유전자에서 유발되거나 유전자로 인한 상호작용 때문에 유발된 질병의 검출엔 도움이 되겠지만 감염이나 기타 후천적 질병에 대한 진단은 아직은 어렵겠네요.
    April_fool
    기존에 가능한 것이었다고 해도, 인공지능에게 맡겨 시간과 비용이 크게 절약된다는 것은 보다 많은 사람들이 혜택을 받을 수 있다는 뜻이지요.
    Ben사랑
    사무직에게 워드 프로세서 같은 존재?
    April_fool
    그건 애증의 존재 아닌가효
    네 맞습니다. 사실 유전체 해독 데이터를 해석하는 과정 자체가 공수가 꽤 드는 작업이거든요.
    한 사람의 전문가가 인공지능만큼 빠른 해석/해독을 할 수 있더라도 결국 한 사람 뿐인지라, 그 만큼 몫을 해주는 소프트웨어 AI가 여럿 있으면 정말 좋을 것 같습니다.

    생각해보니 저도 써먹을 데가 있을거 같은데.. 한번 알아봐야겠네요.
    damianhwang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을 기계라는 도구를 통해 편하게 해주는 거면 괜찮은데;
    알파고처럼 지가 결정을 내려서 뭔가 쨔잔하고 내놓은걸 사람들이 ??? 하는 수준이 되면 그때는 문제가 좀 되겠죠..

    지금시대에 의학적 진단이라는게 결국 경험치, 통계를 이용한 사례분석과 실험, 전문가들의 협업을 통해 최종판단을 내리는건데 알파고같은 물건이 뭔지 모르겠지만 샤샤샤 이래버리면, 그땐 얘기가 달라질지도 모르죠..
    April_fool
    근데 언젠가는 닥칠 일 같아요.
    damianhwang
    그리 멀지 않았을 겁니다 ;-)
    Ben사랑
    강인공지능의 시대가 오지 않는 한 불가능합니다.
    damianhwang
    Strong AI까지 필요한 사항이 아닙니다;
    Evidence Based Medicine시대이니까요;
    근거수집하고 분석해서 해석하는 메타 분석은 사실 기계가 더 잘할.....;;
    알파고가 바둑두는거랑 큰 차이도 안날꺼고..
    사람의 경험치가 머신 러닝의 학습속도를 넘을수도 없을꺼구요;;;

    최종선택이 치료에 위해를 가했을 때 법적소지 문제가 있으면 있지...
    진단은 인공지능이, 수술은 로봇이, 약은 자판기나 3D 프린터가 주는 날이...
    제 은퇴전에 오지 않을까..그래도 은퇴는 하고 올려나. 하는데요 ^^;
    Ben사랑
    헐.. 그렇군요.

    근데 그쯤되면 의사들뿐 아니라 전세계 거의 모든 사람들이 실업자가 되어 있을듯..
    damianhwang
    알파고가 시키는 대로 바둑돌을 놔주거나..
    아니면 영화 매트릭스처럼 바이오 배터리가;;;; ㄷ ㄷ ㄷ ㄷ
    April_fool
    그러고보니 로봇이 인간처럼 유연하게 움직이게 만드는 것은 강인공지능 구현만큼이나 어렵다고 들었는데, 어쩌면 기계에 대한 인간의 비교우위는 진짜 [몸 쓰는 일]밖에 남지 않을지도 모르죠.
    Ben사랑
    인간이 무의식적으로 잘 수행하는 일들이 더 구현되기 힘들겠죠.
    본문과 댓글들 읽어보니 인공지능/로봇이 사람을 대체할 만큼 발전되면
    그때는 사회주의(더 나아가서는 공산주의?)의 실현이 가능하지 않을까.. 라는 생각도 드네요
    (제가 생각하는 이상적 사회가 이 쪽이라 더 이렇게 생각하는 듯 해요)
    생산적인건 다 기계가 하고 인간은 모~~~두다 백수되고 소비자로서만 남는 것.. 그렇게 되면 일률적 부의 배분이 가능하지 않을까 싶네요
    이론으로는 가능하지 않을까..? 싶은데 인간의 욕심땜에 그렇게 되진 않겠죠 ㅠ
    제가 글을 썼었습니다만, 핸드폰으로 쓴 글이어서 나중에 다시 제대로 쓰려고 지웠습니다.

    문헌 검색을 많이 한건 아닙니다만..

    원래 백혈병은 유전적 변형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때문에 stag2 gene의 mutation에 의해 일어난 leukemia를 2차성 leukemia로 부르는건 뭔가 이상합니다. 그리고 stag2에 의해 AML(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온건 맞는 것 같아요. 기본적인 치료와 다르지 않을텐데.. 다른 치료를 해서 좋아졌다고 하고, 뭔가 안맞는 부분이 맞습니다.

    보통 백혈병은 induction the... 더 보기
    제가 글을 썼었습니다만, 핸드폰으로 쓴 글이어서 나중에 다시 제대로 쓰려고 지웠습니다.

    문헌 검색을 많이 한건 아닙니다만..

    원래 백혈병은 유전적 변형에 의해서 일어납니다. 때문에 stag2 gene의 mutation에 의해 일어난 leukemia를 2차성 leukemia로 부르는건 뭔가 이상합니다. 그리고 stag2에 의해 AML(급성 골수성 백혈병)이 온건 맞는 것 같아요. 기본적인 치료와 다르지 않을텐데.. 다른 치료를 해서 좋아졌다고 하고, 뭔가 안맞는 부분이 맞습니다.

    보통 백혈병은 induction therapy를 시행하고 consolidation therapy를 하는게 원칙이에요. 2가지 항암제를 맞았다는 것은 induction therapy를 했다는 이야기 깉아요. 그 다음에 골수 기능이 회복이 안되었었던 상황 같은데.. 저기에 또 항암제를 투여할 리가 없습니다. 어쩌면 induction이 되고 consolidation으로 hsct(골수이식)을 시행하려고 했었던 단계였는데.. gene을 보고 hsct는 안하기로 한건지 모르겠습니다. 그런데 그러러면 stag2 gene이 재발을 거의 안하는 gene이어야 하는데, 제 지식에(해리슨 수준이다 보니 구식이긴 하죠)는 low risk가 아니었었습니다.

    자세한 사항을 님 글을 통해 알았으니 나중에 자세히 찾아보고 추가글을 올리도록 할께요.
    Ben사랑
    추가글 미리 감사합니다.
    여러 관점으로 이 사안을 접근하고 싶군요.
    April_fool
    의알못이긴 하지만, 혹시 이런 건 아닐까요?
    이차성 백혈병이라는 것은 항암치료의 부작용에 의해 발생하는 백혈병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백혈병을 관해유도하기 위해 투여한 항암제가 오히려 stag2라는 유전자를 건드려버린 희귀한 경우인데, 그걸 왓슨이 짚어냈다는 것이 아닐까요?

    p.s.
    저도 추가글 기대하고 있습니다. 두근두근.
    지금 논문 찾아보고 있는데요.. 지금까지의 느낌은..

    secondary AML은 MDS 혹은 MPN과 같은 질환들이 원래 있었거마 이전 항암 치료를 했던 사람들이 걸리는 AML을 말하는데.. 예후가 안좋습니다. 그래서 완치를 목표로 치료하지 않아요. 그리고 표현도 컴퓨터가 쓰기에는 너무 문과적이에요. 사람들이 쓰는 그대로를 입력했기 때문인지 모르죠.

    어쨌던 이 환자는 AML로 진단받은 거는 맞는 것 같고, normal karyotype을 보였던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gene sequencing을 하는데, 아직까지 ... 더 보기
    지금 논문 찾아보고 있는데요.. 지금까지의 느낌은..

    secondary AML은 MDS 혹은 MPN과 같은 질환들이 원래 있었거마 이전 항암 치료를 했던 사람들이 걸리는 AML을 말하는데.. 예후가 안좋습니다. 그래서 완치를 목표로 치료하지 않아요. 그리고 표현도 컴퓨터가 쓰기에는 너무 문과적이에요. 사람들이 쓰는 그대로를 입력했기 때문인지 모르죠.

    어쨌던 이 환자는 AML로 진단받은 거는 맞는 것 같고, normal karyotype을 보였던 것 같습니다. 이럴 경우에는 gene sequencing을 하는데, 아직까지 whole gene sequencing을 하지는 않아요. 연구 목적으로나 하지.. 보통 중요한 gene들만 합니다. 예후를 알기 위해서 하게 되죠.

    최근 whole gene연구를 많이 하면서 MDS도 사실 암이다.. 라는 이야기가 솔솔 나오고는 있고, 이 환자도 아마 보통 하는 수준에서의 유전자 검사에서는 특별한게 안나왔던지 싶습니다. 그래서 완치를 목표로 induction(관해 유도. 관해란 암세포가 없어지는 것 정도로 이해하시면 될 듯 합니다)을 하고 이후 이걸 공고히 한다고 해서 공고 치료, consolidation therapy를 하게 되는데.. 이 consolidation이 gene을 보고 결정합니다. 예후가 좋은 사람들은 그냥 항암치료를 하고 예후가 중간 이하인 사람은 골수 이식을 해요. 왜냐하면 골수 이식이 위험하기 때문이죠....

    이 환자는 그래서 induction을 하고 골수 이식을 하려고 했는데.. 아마 induction하고 고생 많이 하신듯 합니다. 보통 induction 하게 되면 백혈구 0 되고 열도 펄펄 나고 무균실에 계속 있고.. 엄청 고생하거든요. 그리고 이제 골수이식은 골수에 핵폭탄을 터트리고 회복 불능으로 만든 후에 남의 골수를 이식하는 건데요..

    이 환자는 처음에 골수 이식을 계획했다가 유전자 검사 몽땅 나갔다가 예후가 안좋은 MDS 연관된 백혈병으로 생각이 되어서.. 그냥 항암 치료만 약하게 한다는 이야기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즉 Happy ending은 아니네요..

    그런데 stag2가 secondary AML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직 연구가 더 되어야 하지 않을까 싶네요..아무튼 좀 더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괸련 논문 자체가 많지는 않고. 결정적으로 리뷰 논문이 없어서.. 확답하기 어렵습니다.
    닥터 왓슨 작년 부터 꽤 공격적으로 프로모션을 하고 있죠. 세컨드 오피니언으론 이미 2천년 초반에 유방촬영술 CAD(computer aided diagosis)가 FDA공인을 받았고요. 왓슨은 그 범용성이 기대되긴 합니다.
    April_fool
    [한겨레] ‘닥터 인공지능’, 의사가 놓친 결핵을 찾아내다
    http://www.hani.co.kr/arti/science/science_general/755594.html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825 과학/기술물리학/수학 포스터 9 뜻밖의 17/02/10 13323 1
    4527 과학/기술공감 파우더, 미신적인 논쟁과 원격치료 2 ORIFixation 17/01/03 5081 4
    4448 과학/기술SEWOL X 40 하니n세이버 16/12/26 7798 0
    4355 과학/기술걱정의 구체성이 불안 및 인지적 평가에 미치는 영향 4 NightBAya 16/12/11 4574 2
    4252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금수저와 집사 13 Event Horizon 16/11/29 6501 8
    4024 과학/기술혈우병과 무당 라스푸틴 2 모모스 16/10/28 9193 6
    4002 과학/기술신내림 약물과 무당, 주술가, 버서커 6 모모스 16/10/25 8107 15
    3994 과학/기술[토막상식] 정확도(accuracy)와 정밀도(precision)에 대하여 19 April_fool 16/10/24 19618 1
    3979 과학/기술네안데르탈인을 복제할 수 있다면? 12 눈시 16/10/21 4709 1
    3955 과학/기술나이아 (Naia) 의 소녀와 자연계의 덫 모모스 16/10/19 5848 4
    3933 과학/기술아르마딜로와 한센병 1 모모스 16/10/17 14186 3
    3907 과학/기술어린 데니소바인 (Denisovan) 소녀의 치아 2개 7 모모스 16/10/14 6025 2
    3866 과학/기술산호초와 진딧물 5 모모스 16/10/10 6096 2
    3847 과학/기술판다와 비만 3 모모스 16/10/07 6111 5
    3834 과학/기술플로레스섬에서의 왜소화 vs 거대화 6 모모스 16/10/05 7646 5
    3759 과학/기술혼외 정사 (Extramarital Sex, EMS) 의 과학 27 모모스 16/09/23 7623 9
    3750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월급 D 루팡 29 Event Horizon 16/09/22 5962 10
    3714 과학/기술양자역학 의식의 흐름: 더 퍼스트 어벤져 36 Event Horizon 16/09/16 6254 12
    3568 과학/기술2)RST 관계들의 정의들. 6 베누진A 16/08/24 7367 0
    3567 과학/기술1) 테마레마, RST 활용한 독해모델의 개괄과 참고할 책,논문들 소개 11 Ben사랑 16/08/24 10141 0
    3455 과학/기술인공지능 왓슨의 의학적 진단 보조 사례 33 April_fool 16/08/05 5826 1
    3438 과학/기술여성의 오르가즘은 왜 생겼나? 46 April_fool 16/08/03 7955 0
    3400 과학/기술도핑테스트와 질량분석기 5 모모스 16/07/30 6008 9
    3396 과학/기술창백한 푸른 점 6 April_fool 16/07/29 7112 3
    3036 과학/기술The Big Alien Theory 4 NightBAya 16/06/16 4717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