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06/13 23:22:23수정됨 |
Name | kpark |
Subject | 삼성서울병원, 부분폐쇄 - 외래/입원/수술 중단 (언론보도자료 추가)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0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알려진 대로라면 내부적인 삽질이 얼마나 있었을 지 몰라도 이 이송요원건 빼고는 삼성병원이 크게 잘못했다고는 생각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삼성이 뚫린게 아니고 대한민국이 뚫렸다는 말에 동감하기도 했고요. 이 14번 환자가 삼성 아닌 다른 빅3에 갔어도 비슷한 결과..혹은 더 심한 결과가 났을거에요. 그런데 뭐 이 껀에 대해선 빼도박도 못하죠.
일부에서 \'삼성\' 이미지를 연장해서 병원을 공격하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여튼..
그러고 수술은 어짜피 이번 주에도 거의 안돌아가고 있어서.. 하루에 10개도 못했다는 이야기를 듣긴 했어요.
일부에서 \'삼성\' 이미지를 연장해서 병원을 공격하는건 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여튼..
그러고 수술은 어짜피 이번 주에도 거의 안돌아가고 있어서.. 하루에 10개도 못했다는 이야기를 듣긴 했어요.
삼성병원과 아무 관계 없습니다. 오히려 경쟁관계에 있습니다. 항상 삼성병원이 실제 역량보다 삼성 그룹 이미지로 고평가받는다고 생각했었어요.
제 말씀은 응급실내 감염에서는 어쩔 수 없었으나, 이송요원 감염관리에 대해선 책임이 있다는 내용이고요.
충분히 그 맥락에 대해선 이전에도 말씀드렸다고 생각합니다. 전원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14번 환자를 메르스라고 추정하긴 불가능합니다. 그 시기에. 하루에 발열환자 몇십명 오는데 접촉력 없이 알 방법은 없습니다. 그 접촉력을 제공하는건 보건당국이고요. 그리고 평소 응급실 관리가 왜 그러냐... 더 보기
제 말씀은 응급실내 감염에서는 어쩔 수 없었으나, 이송요원 감염관리에 대해선 책임이 있다는 내용이고요.
충분히 그 맥락에 대해선 이전에도 말씀드렸다고 생각합니다. 전원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14번 환자를 메르스라고 추정하긴 불가능합니다. 그 시기에. 하루에 발열환자 몇십명 오는데 접촉력 없이 알 방법은 없습니다. 그 접촉력을 제공하는건 보건당국이고요. 그리고 평소 응급실 관리가 왜 그러냐... 더 보기
삼성병원과 아무 관계 없습니다. 오히려 경쟁관계에 있습니다. 항상 삼성병원이 실제 역량보다 삼성 그룹 이미지로 고평가받는다고 생각했었어요.
제 말씀은 응급실내 감염에서는 어쩔 수 없었으나, 이송요원 감염관리에 대해선 책임이 있다는 내용이고요.
충분히 그 맥락에 대해선 이전에도 말씀드렸다고 생각합니다. 전원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14번 환자를 메르스라고 추정하긴 불가능합니다. 그 시기에. 하루에 발열환자 몇십명 오는데 접촉력 없이 알 방법은 없습니다. 그 접촉력을 제공하는건 보건당국이고요. 그리고 평소 응급실 관리가 왜 그러냐는 말씀은 요즘 한국 병원 상황을 아신다면 함부로 말 못합니다, 새벽 세시에 외래환자 MRI 찍는 나라에요. 그러면서도 매년 적자는 적자대로 납니다. 삼성이 돈만 버는 이미지라고 일반적으로 보이진 몰라도, 실제로는 삼성병원은 적자폭 가장 크고 인건비 비중이 높아서 타 병원에서 타산지석으로 삼아요. 오히려 삼성병원은 의료계에선 경원당한면이 있습니다. 환자에 대한 서비스 문화 도입으로 다른 병원들 힘들게 한 과거가 있죠. 초창기에 보호자 없는 병동 시도하다가 무참히 꺾인 전례도 있습니다. 너무 도식적으로 보는 세태가 답답합니다. 무슨 핸드폰 팬덤도 아니고.
제 말씀은 응급실내 감염에서는 어쩔 수 없었으나, 이송요원 감염관리에 대해선 책임이 있다는 내용이고요.
충분히 그 맥락에 대해선 이전에도 말씀드렸다고 생각합니다. 전원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14번 환자를 메르스라고 추정하긴 불가능합니다. 그 시기에. 하루에 발열환자 몇십명 오는데 접촉력 없이 알 방법은 없습니다. 그 접촉력을 제공하는건 보건당국이고요. 그리고 평소 응급실 관리가 왜 그러냐는 말씀은 요즘 한국 병원 상황을 아신다면 함부로 말 못합니다, 새벽 세시에 외래환자 MRI 찍는 나라에요. 그러면서도 매년 적자는 적자대로 납니다. 삼성이 돈만 버는 이미지라고 일반적으로 보이진 몰라도, 실제로는 삼성병원은 적자폭 가장 크고 인건비 비중이 높아서 타 병원에서 타산지석으로 삼아요. 오히려 삼성병원은 의료계에선 경원당한면이 있습니다. 환자에 대한 서비스 문화 도입으로 다른 병원들 힘들게 한 과거가 있죠. 초창기에 보호자 없는 병동 시도하다가 무참히 꺾인 전례도 있습니다. 너무 도식적으로 보는 세태가 답답합니다. 무슨 핸드폰 팬덤도 아니고.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