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2/19 11:53:34
Name   ohmylove
Subject   [종교]나는 왜 기독교를 거부하게 되었나
솔직히 이 글 쓰면서 제 얕은 학문적 깊이가 드러날까봐 두렵긴 한데, 그래도 나름 대화의 장을 여는 정도로는 이 글이 가치가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
종교에 대해 비판하는 것이 불쾌하신 분은 이 글을 읽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태어나자마자 기독교 집안에서 태어났고 어릴때부터 성경 학교에 다니면서 기독교를 무비판적으로 수용했습니다.
어릴때 다른 애들은 딴짓도 하고 목사님 말씀도 잘 안 들었지만
저는 정말 열심히 목사님 말씀도 듣고 또 성경의 논리가 그럴듯해서 또 멋져서 진심으로 믿었습니다.
('아, 신이 인간을 사랑해서 이 세상에 친히 내려와 죽임을 당하셨구나. 멋있다.')

제 교회 사람들은 대부분 신실하게 기독교를 믿고(아니면 믿는다고 생각하고) 또 딱히 다른 사람들에게 큰 피해를 끼치지 않았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우리 교회에서 문제 일으키는 분들은 거의 없어요. 뭐 물론 대형교회의 예는 알고 있었지만 제가 직접 겪지 않다보니 실감이 안 났습니다.
또 예수천국 불신지옥을 교회 안에서 외치지만(이건 솔직히 교리 때문에 어쩔 수 없습니다.) 불교 등 다른 종교도 존중했고요.

문제는 성경의 말씀은 결코 완벽하지 못하다는 것이고, 기독교를 믿으면 상당부분 이 성경의 말씀을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일 수밖에 없다는 것입니다.
결국 성경은 사람이 썼기 때문이죠.
그리고 성경의 말씀을 왠만하면 곧이곧대로 해석하려는 게 기독교 신자의 당연한 마음이기 때문에,
만약 세상의 어떤 새로운 생각이 (곧이곧대로 해석할 때의) 성경 말씀과 충돌한다면, 그 새로운 생각과 성경 말씀 중 어느 쪽을 택할 것인가 고민할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진화론을 받아들일 수 없었습니다. 물론 무신론적으로 진화론을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요.(신이 최초에 빅뱅 이전의 무(無)의 상태를 만들었고, 빅뱅 후에 세계가 알아서 진화를 거듭했다 하는..) 그런데 제 생각에,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굳이 신의 존재를 도입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신의 존재가 없을 수도 있다는 걸 받아들이기 힘들었습니다. 또, 인격체가 아닌 존재가 단지 오랜 시간 동안의 진화로 이렇게 정밀한 생명체와 세계를 이룩해놨다는 걸 믿을 수가 없었습니다.

그런데 진화론을 조금만 봐도 그 논리적 전개의 아름다움이며 또 과학적 근거가 너무 탄탄하기 때문에, 결국 이를 받아들일 수밖에 없었습니다. 뭐, 정말 0.0000001%의 확률로 진화론이 틀릴 수도 있겠지만, 그것보다 성경이 틀릴 확률이 훨씬 높다고 판단했습니다. 그러고 나니 그 허무감에 정신을 차릴 수 없었습니다. 존재의 이유가 없는 것 같았습니다. 또 내가 죽어서 천국이든 지옥이든 못 가고 그냥 '없어진다'고 생각하니 힘들었습니다. 하지만 결국 생각을 고쳐먹었습니다. 이렇게 지극히 허무한 것도 끌어안을 수 있는 게 진정한 아름다움이구나, 하구요.

과학은 여러 사람이 자유롭게 많은 의견을 내놓고, 또 자신의 오류를 적극 수정해 지속적으로 update를 합니다. 반면 성경은 2천년 전의 version 그대로 있고, 시대에 뒤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도덕적인 것에 초점을 맞추자면, 특히 동성애 같은 게 문제가 되죠. 과연 동성애에 대해 어떤 생각을 가질 것이냐, 뭐 이런 판단을 고민할 수밖에 없어요. 오바마는 기독교인이나 동성애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이죠. 하지만 극단주의적인 기독교인들은 아니겠죠. 이렇게 고민하느니 그냥 세상 도덕을 받아들이고 맘편하게 열린 마음으로 사는 게 낫다고 봅니다. 성경의 도덕적 명령은 기독교인에게는 진리이나 일반 사람에게 폭력일 수 있겠죠.

과학적으로나 도덕적으로나 기독교를 받아들일 하등의 이유가 없기 때문에(아니 받아들이면 더 안 좋아진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저는 기독교를 거부하게 되었고, 몇년째 교회를 다니지 않습니다. 하지만 아직도 누가 예수님에 대해 욕하고 저주할 때 반사적으로 분노가 끓어오르는 건 어쩔 수 없네요. 왜인지는 모르겠습니다.



0


    ohmylove
    제가 바빠서 리플을 당장 달기 어렵습니다. 저녁에 다시 올게요.

    ..솔직히 두렵군요. 엄청 욕을 먹을 것 같아서;;
    글쎄요. 저는 기독교인이지만 이 글에 반감은 없구요.

    반대의 경우라면 욕을 먹을 수도 있지만 이 포지션이라면 욕을 먹을일은 없을 것 같은데요?

    요즘 국내에서 기독교에 대한 평가는 그야말로 땅에 떨어져있는 느낌이라...
    ohmylove
    응원 감사합니다.
    눈부심
    겁 먹지 마시라고 일단 댓글부터 다는..^^
    새의선물
    저는 무신론자기는 한데, 제 생각으로는 진화론을 믿는가 밎지 않는가 하는건 사실 신의 존재를 인정하냐와는 별 상관없는 이야기이기는 해요. 프란시스 콜린이 born again christain이라고 나온거에 대한 비판이 쉽지않은 지점이기도 하고요.
    ohmylove
    진화론을 믿으면서 신의 존재를 인정할 수도 있지만, 별 필요없다고 보는 쪽입니다.
    다람쥐
    종교를 태어나면서부터 같은 종교적 배경의 가족 집단과 함께 경험하면 그건 그 사람에겐 일종의 문화가 되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종교적 교리와 다른 것은 불편하게 되는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사촌과 결혼한다고 생각하면 이상하지만 일본에선 자연스러운 일인 것 처럼요. 전 종교의 이런 작용에 반대하는건 아닙니다 저는 국교를 가지는거나 태어날때부터 한 종교를 믿는 것도 긍정적이라고 생각하는 편이거든요
    어쩌면 지금 기독교를 믿지 않지만 기독교 배경에서 자라나고 체화된 이념이 있기 때문에 예수님 욕에 분노를 느끼는 건 아닐까 싶어요
    이러나저러나 종교는 일단 믿는 자신에게 위로가 되어야 하고 나아가 세상에 보탬이 된다면 더 좋은 거니 본인에게 종교가 위로가 되지 않았다면 과학을 따질 필요도 없이 믿을 수 없겠지요
    ohmylove
    네.. 그런 것 같습니다. 더 이상 종교에게 마음을 기대기에 너무 비뚤어졌나 봅니다.
    유신론적 진화론을 받아들이면 신앙과 과학 모두를 잡을 수 있다는 견해도 있습니다. 저는 애초 무신론자라서 딱히 필요를 느끼지 못합니다만... https://namu.wiki/w/유신론적%20진화론
    ohmylove
    본문에 잘못 썼네요.
    \'물론 무신론적으로 진화론을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요.\'
    ->\'물론 유신론적으로 진화론을 받아들일 수도 있겠지만요.\'
    sungsik
    이성적인 생각과 행동을 쫓으려는 건 굉장히 훌륭한 생각이지만,
    역설적으로 그건 인간이란 존재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비이성적이고 비논리적이기 때문에 훌륭한 행위로 여겨진다고 봅니다.

    일례로 어떤 특정 주제에서 아무리 논리적으로 완벽해 보이는 철학자나 과학자도 일상생활에선 비이성성과 비논리성이 난무하기 마련입니다.
    사람이란 것 자체가 비논리성이 필수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존재인데, 그런 비논리적인 사람들이 믿고 의지하는 종교가 비논리적이고 과학적이지 못한다 한들 개인적으로 그게 그렇게 커다란 문제인가 싶긴 합니다.
    ... 더 보기
    이성적인 생각과 행동을 쫓으려는 건 굉장히 훌륭한 생각이지만,
    역설적으로 그건 인간이란 존재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비이성적이고 비논리적이기 때문에 훌륭한 행위로 여겨진다고 봅니다.

    일례로 어떤 특정 주제에서 아무리 논리적으로 완벽해 보이는 철학자나 과학자도 일상생활에선 비이성성과 비논리성이 난무하기 마련입니다.
    사람이란 것 자체가 비논리성이 필수적으로 내재되어 있는 존재인데, 그런 비논리적인 사람들이 믿고 의지하는 종교가 비논리적이고 과학적이지 못한다 한들 개인적으로 그게 그렇게 커다란 문제인가 싶긴 합니다.

    애당초 종교와 과학은 바라보는 방향 자체가 다르다고 봅니다.
    현대에와서 과학의 중요성이 너무나 커져서 모든 걸 과학적으로 분석하려 드는 경향이 있고, 거기에서 가장 크게 충돌하는 게 종교인데..
    공격하는 쪽이나 받아치는 쪽이나..개인적으로 왜 그러나 싶습니다.

    비슷한 예로 누군가가 묻지도 않았는데 사랑이란 것도 호르몬과 뇌파에 의해 생겨나는 현상 어쩌고 그러면서 사랑이란 건 실제하지 않는 것.. 뭐 이딴 소리를 하면
    그냥 살포시 가운데 손가락을 들며, \'그래서 뭐 어쩌라고\'를 말해주고 싶어요.
    저에게는 종교도 그 범주에 든다고 봅니다.
    ohmylove
    종교의 경전은 글자 그대로 해석하면 정말 문제가 생길 경우가 있으므로,
    애당초 종교를 믿지 않아서 그 경우를 원천 차단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sungsik
    인간이 종교가 없으면 무언가 더 나은 세상이 될 거라는 믿음 자체가 환상에 가깝고 자기과신에 가까운 일일 뿐이죠.
    소노다 우미
    문득 생각해봤는데, 종교가 사람에 미치는 영향이라는건 장거리 연애중인 커플과 비슷하다고 느끼게 되네요. 만날수는 없고 일방적으로 소식만 듣지만 그래도 커플이니 솔로보다는 나은 상황. 하지만 얀데레가 되어 모든걸 상대방에게 맞추려고 하면 결국 큰 피해가 오는...
    1
    ohmylove
    제가 연애는 잘 몰라서...;; 답변 감사합니다.
    기독교는 해석학보다 커요.
    성경은 여러 성경관과 다양한 해석이 있습니다. 교회내의 이 다양한 사람들을 기독교인이라는 하나의 그룹으로 묶어 부르기위한 조건은 예수를 사랑하는가로 보입니다.
    ohmylove
    참고로 저희 부모님은 저와 달리 계속 기독교를 믿고 계시지만, 문제될 생각, 행동을 전혀 보이시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저는 생각이 편협해서 경전에 쓰여있는 성경을 거부하지 않으면 그 동성애에 대한 구절을 거부할 수가 없더군요.

    그래서 성경을 거부했습니다.
    교회를 1년에 세네번가는 가라신자입니다만 진화론을인정하더라도 신앙을 버리지 않아도 될거같습니다. 그냥 창세기에 나온 천지창조 7일은 상징적인 의미이고 신이 계획대로 진화과정을 주관하였다 생각하면 되는거아닌가요?
    ohmylove
    뇌과학을 보면 영혼의 실재성도 부정되는 현 상황이라.. 더 부정적이 됩니다.
    Last of Us
    기독교 내에서도 성경 해석이 엄청 갈리고, 성경도 인간이 썼구나 싶은 부분들이 보여서 신은 완벽하겠지만 종교는 완벽한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습니다
    ohmylove
    전 신이 계시다면 기독교의 인격신이 아니라, 과학의 모든 물질과 공간과 시간을 일관성 있게 주관하는 그런 자연법칙적 신의 모습을 하고 계실 것 같습니다.
    realise
    사실 글쓰신 분 같은 경우면 그래도 뭐 스스로를 긍정적으로 바라보시는 편이죠. 근데 뭐라해야하지... 주위에 모태신앙으로 자라다 나이먹고 돌아서서 어린 시절을 교회때문에 낭비했다라고 교회 극렬 안티로 돌아서는 사람을 몇 봐서 좀 안타깝긴 하더군요.
    ohmylove
    교회 극렬 안티는 아닙니다. 위 리플에도 달았지만 제 부모님이 기독교를 믿고 계시고 나름 기독교의 긍정적인 면도 많이 봅니다.
    파란아게하
    저는 유아영세, 첫영성체, 견진까지 받고 성당 다니다가
    중2 어느날 문득 안 다니게 됐습니다.
    내가 나도 믿지 않는데, 누굴 믿으랴
    라는 중2 병스런 생각과 함께 빠이빠이
    ohmylove
    저도 한 중학교 때부터 안 다닌 것 같네요. 부모님이 신앙을 막 강요하지는 않으셨습니다.
    개신교에 대해 부정적인 생각을 가지고 있고 독립한 이후로 거의 교회에 가지 않고 있지만 그래도 아직은 기독교인이라고 가끔 생각될 때가 있습니다.
    자의든 타의든 어렸을 때부터 오랜 시간동안 교회를 다니면서 생각했던 것들이 쉽게 없어지진 않는 것 같네요.
    살아온 날들의 반이상을 속해있던 곳이고 아직도 그 접점을 버리지 못하고 있는 곳이라서 그려러니 하고 있습니다.
    ohmylove
    저도 어떤 동질감, 소속감 같은 걸 느끼고 있습니다.
    본문만 보아서는 성경의 논리에 대해서 자세히 탐구해보시는 시간은 아직 가지시지 못한게 아닐까 싶은데요. 중요한 문제라고 생각하신다면 좀 더 탐구해보시는 건 어떨까 싶네요.
    저는 C.S Lewis가 쓴 \'순전한 기독교\'라는 책을 읽어보시길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ohmylove
    인터넷에 검색해보니 엄청 유명하고 좋은 책 같군요.

    지금 하고 있는 일도 있고 다른 읽을 책도 있어서 이걸 사서 읽기는 힘들 것 같고, 대신 인터넷의 여러 관련 문서들을 읽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뷰코크
    [이런 식으로 생각하면 굳이 신의 존재를 도입할 이유가 없었습니다.]
    신의 존재여부는 믿음이지 신의 존재를 도입할 이유에서 찾아지는 건 아니죠. 오히려 그런 이유를 찾아야 하는 것은 무신론적인 발상인데요?
    \'~한 데서 신이 계심을 느낀다\'라는, 신의 존재에 대한 자신의 경험적 체험(어떤 의미에서는 기적의 체험)을 요구하는 분들이 많은 것 같아요.
    뇌과학이 영혼의 실재성을 부인한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븐 알렉산더의 나는 천국을 보았다라는 책도 한번 참고해보시면 좋을것같습니다.

    무신론자였던 하버드 신경외과의사가 사고로 인해 임사체험을 겪고난 후에
    자신의 체험이 뇌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신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는 그런내용인데요
    신경외과 의사였던만큼 자신의 체험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자 여러 가설을 제시하지만, 그 중 어떤 가설도 과학적으로 자신의 체험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책입니다.

    임사체험이 실재인지 아닌지는 우리가 그것을 겪어보지 않는 이... 더 보기
    뇌과학이 영혼의 실재성을 부인한다고 생각하신다면 이븐 알렉산더의 나는 천국을 보았다라는 책도 한번 참고해보시면 좋을것같습니다.

    무신론자였던 하버드 신경외과의사가 사고로 인해 임사체험을 겪고난 후에
    자신의 체험이 뇌과학으로 설명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고 신의 존재를 인정하게 되는 그런내용인데요
    신경외과 의사였던만큼 자신의 체험을 과학적으로 설명하고자 여러 가설을 제시하지만, 그 중 어떤 가설도 과학적으로 자신의 체험을 설명하지 못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책입니다.

    임사체험이 실재인지 아닌지는 우리가 그것을 겪어보지 않는 이상 책만 읽어서 알 수는 없지만, \'내세 경험은 뇌에 기반한 환상\'이라고 믿던 신경외과의사가 신을 믿게 되는 과정은
    비과학적이라고 쉽게 무시하기는 어려운 내용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구약은 아브라함과 모세가 쓴것이 아니고 신약은 예수님이 쓴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경은 많은 오류가 있다고 합니다.(이 책 저 책에서 봐서 출처는 기억이..ㅠ)

    예를 들어 구약의 탈출기에는 신이 모세에게 자신의 이름을 야훼라고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데 야훼는 영어로 번역하면 I am that I am입니다.
    이는 \'나는 존재다\', \'나는 있는 나다\'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는데요,
    신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존재\'이고, 어떤 개체나 형상 또는 속성으로 한정 지을 수 없으며 심지어 말로 그것을 설명하려고 하면 ... 더 보기
    그리고 구약은 아브라함과 모세가 쓴것이 아니고 신약은 예수님이 쓴것이 아니기 때문에, 성경은 많은 오류가 있다고 합니다.(이 책 저 책에서 봐서 출처는 기억이..ㅠ)

    예를 들어 구약의 탈출기에는 신이 모세에게 자신의 이름을 야훼라고 설명하는 부분이 있는데 야훼는 영어로 번역하면 I am that I am입니다.
    이는 \'나는 존재다\', \'나는 있는 나다\' 등으로 다양하게 번역되는데요,
    신은 모든 것을 포괄하는 \'존재\'이고, 어떤 개체나 형상 또는 속성으로 한정 지을 수 없으며 심지어 말로 그것을 설명하려고 하면 할수록 그 정체에서 멀어지기 때문에
    그렇게 표현하였다고 합니다. 그런데 구약에서는 아주 많은 대목에서 이 야훼가 인격신의 모습으로 등장합니다. 형상과 인간적 한계를 지닌 존재로 말이죠.

    즉 성경은 맞다 틀리다를 논하기 전에, 그 안에서 신에 대한 양립할 수 없는 인식들을 함께 담고 있는 모순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모순은 성경 저자들이 모세가 야훼라는 이름으로 신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 바를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으로 보입니다.
    이런 모순에도 불구하고 성경을 문자그대로 받아들이라고 하는 목회자는, 사실상 성경을 이해하고 있지 못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제대로 된 교회의 많은 목사님들이나 신부님(저는 가톨릭 신자입니다;) 들은 철학과 종교학, 성서학을 공부하면서 성경의 수많은 오류들에도 불구하고
    예수님이나 모세 같은 선지자들이 실제로 전하고자했던 바를 올바르게 이해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아닌 사람도 많겠지만요)
    그렇기 때문에 ohmylove님이 인식하고 있는 문제는 기독교 자체의 문제라기보다는, 본질을 이해하지 못하고 문자에만 얽매이는 일부 신자들인 것 같습니다.(일부라기에는 역사도 길고 숫자도 많기는 합니다만..)
    ohmylove님은 그런 교회의 문제 때문에 교회는 다니지 않고 있지만, 예수님께서 전하고자 했던 그 본질만은 무의식적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에 그런 일들에 분노하시는건 아닐지요

    개인적으로 저도 ohmylove님과 상당히 비슷한 과정을 거쳤어서 장문의 댓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쓰고보니 쑥스럽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4789 철학/종교[강의록] 조선 유교이야기 23 기아트윈스 17/02/06 5690 9
    4480 철학/종교산타가 없다는 걸 언제쯤 아셨어요? 42 기아트윈스 16/12/30 5088 8
    4395 철학/종교국회의원 장제원 23 tannenbaum 16/12/16 5750 0
    3742 철학/종교다윗왕과 밧세바 이야기 구약 시대의 가장 큰 섹스 스캔들 16 기쁨평안 16/09/21 7058 8
    3642 철학/종교손오공과 프로도 배긴스 31 기아트윈스 16/09/04 6829 17
    3544 철학/종교주디 버틀러가 말하는 혐오언어의 해체 73 눈부심 16/08/21 8965 3
    3533 철학/종교분할뇌 문제와 테세우스의 배 패러독스 35 April_fool 16/08/18 6328 0
    3519 철학/종교우리나라의 근현대사에 대해서 15 Ben사랑 16/08/15 7105 0
    3516 철학/종교중2병의 원인에 대해서 제 멋대로 고찰 13 Ben사랑 16/08/15 6572 0
    3389 철학/종교. 51 리틀미 16/07/29 7295 5
    3137 철학/종교제가 느낀 것 주절주절 7 전기공학도 16/06/27 6223 1
    2716 철학/종교개신교 저격 이단, 신천지 93 ArcanumToss 16/04/30 8154 3
    2573 철학/종교종교, 도덕적 결벽증의 저항 2 커피최고 16/04/08 6132 1
    2458 철학/종교진화론을 인정하는 창조론들 41 Toby 16/03/23 9487 0
    2307 철학/종교매너의 진화 9 눈부심 16/02/28 6674 7
    2043 철학/종교인류의 진보, 미래는 낙관적인가-하편 25 눈부심 16/01/17 7003 2
    2042 철학/종교인류의 진보, 미래는 낙관적인가-상편 10 눈부심 16/01/17 7838 2
    1889 철학/종교恥不脩 不恥見汙 5 삼공파일 15/12/30 8597 8
    1863 철학/종교<크리스마스 기념> 알기 쉬운 종교와 사회 이야기 8 삼공파일 15/12/24 7255 3
    1816 철학/종교[종교]나는 왜 기독교를 거부하게 되었나 33 ohmylove 15/12/19 8952 0
    1763 철학/종교과학의 역사로 읽어보는 형이상학의 구성과 해체 30 뤼야 15/12/13 8794 6
    1706 철학/종교5분으로 완성하는 현대 철학 족보 15 삼공파일 15/12/04 9615 0
    1705 철학/종교정신분석학 관련 읽으면 재밌는 글 8 삼공파일 15/12/04 9716 1
    1700 철학/종교무위자연에 대한 착각 4 커피최고 15/12/04 7221 1
    1585 철학/종교사사키 아타루 [야전과 영원]이 출간되었습니다. 21 뤼야 15/11/18 9574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