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1/17 17:29:05
Name   darwin4078
File #1   리만가설.JPG (45.4 KB), Download : 3
Subject   수학계에 천지개벽할 사건이 일어났네요.


http://www.bbc.co.uk/programmes/p03891wc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contents_id=42140

논문이 나온게 아니라 뭐라 말하기 어렵지만, Dr. Opeyemi Enoch이라는 나이지리아의 교수가 150여년만에 리만가설을 풀었다고 합니다.


리만가설은...

http://navercast.naver.com/contents.nhn?rid=22&contents_id=42140

를 참조해주시구요.



이것도 재미있네요.

이게 사실이라면 전세계의 암호체계는 큰 혼란에 빠지게 되겠군요.




0


    Beer Inside
    허위라는 소문이
    darwin4078
    그렇죠?
    수알못인 저도 긴가민가해서 수잘알 홍차클러분들의 의견을 듣고 싶어서 일단 올려봤습니다.
    Beer Inside
    나이지리아를 무시하는 것 같지만 수학의 천재도 어느 정도 토양이 좋아야 나오지요.

    러시아처럼 유명한 컴퓨터 없이도 우주선을 날리던 나라이거나 미분방정식을 손으로 직접 풀어가면서 사진기용 렌즈를 깍던 독일이나.....

    저도 수알못이기는 한데 암호체계자체가 리만가설에 바탕을 두었기 때문에 리만가설이 풀렸다고 해서 달라질 것이 없다고 하더군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이게 사실 저 같은 모태 문과 일반인도 손쉽게 풀 수 있지만 여백이 부족해 누구나 증명을 생략한다는 그 가설이지요?
    세츠나
    그건 페르마 대정리 아닌가요?
    수박이두통에게보린

    (....)
    제가 문과여서요..
    매일이수수께끼상자
    아, 이거... 난 또 뭐라고...
    블랙비글
    믿음이 안가네요... BBC 만 아니었어도 전혀 믿지 않았을텐데, BBC 에서 확인은 하고 내보낸 기사겠죠?
    darwin4078
    그러니까요. 저도 BBC만 아니면 뭔 개소리여, 했을텐데 BBC라서..ㅠㅠ
    레지엔
    저자 신뢰도가 너무 후져서 아닐 것 같다 합니다.

    그리고 뭐 풀려도 이거 자체로 지금의 키-키 매칭이 깨지는건 아니라서 암호체계가 작살난다고 하기엔 좀 어렵다는군요.
    리만가설이 소수의 약수는 어쩌구.. 하면서 숫자 엄청 크게 가는 그건가요??
    세상의빛
    저도 전공자는 아니지만, 리만가설은 제타함수의 비자명한 근의 실수부는 1/2이다라는 내용입니다 써놓고도 이 내용이 확 와닿지는 않는... 그런 어려운 내용입니다 네이버 캐스트에 정경훈 교수님이 연재하신 글이 있습니다 읽어보시면 좋을 듯 합니다
    J_Square
    리만가설의 의의는 소수prime의 분포 파악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관심이 많았습니다.
    지금은 다른 방법들로 소수의 분포의 성질을 많이 밝혔기 때문에 예전만큼 중요한 아이템은 아닌 것으로… 물론 그 상징성은 여전히 공고합니다만.
    J_Square
    리만가설 증명설은 거의 연례행사라… 크크 몇년전에 건국대 교수 어떤 분도 기사 냈다가 쑥 들어가셨죠.
    찾아봐야겠지만… 만약 의미 있는 결과라면 저 지금 논문미팅하고 왔는데 교수님이 뒤집어지셨을텐데 안 그러시드라구요 크크
    논문도 없다면 아직까지는 의미 없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저렇게 띡하고 발표할만한 사항도 아니고…
    그 은둔형 외톨이 페렐만도 푸엥카레 컨젝션 증명할 때 논문 내고 학회 발표 다 했습니다.

    결정적으로 뭐 이미 학계에서는 리만 가설은 다른 정리나 이런 쪽으로 우회해서 생각할 때 거의 맞다고 믿는 영역이기 때문에... 더 보기
    리만가설 증명설은 거의 연례행사라… 크크 몇년전에 건국대 교수 어떤 분도 기사 냈다가 쑥 들어가셨죠.
    찾아봐야겠지만… 만약 의미 있는 결과라면 저 지금 논문미팅하고 왔는데 교수님이 뒤집어지셨을텐데 안 그러시드라구요 크크
    논문도 없다면 아직까지는 의미 없다고 보는게 맞습니다. 저렇게 띡하고 발표할만한 사항도 아니고…
    그 은둔형 외톨이 페렐만도 푸엥카레 컨젝션 증명할 때 논문 내고 학회 발표 다 했습니다.

    결정적으로 뭐 이미 학계에서는 리만 가설은 다른 정리나 이런 쪽으로 우회해서 생각할 때 거의 맞다고 믿는 영역이기 때문에,
    사실이라고 증명된다고 해서 큰 문제가 생기는 것도 아니구요. RSA가 다 뚫리는 것도 아니고…
    축하축하 똑똑하네 고생했어 교과서에 실리겠어~ 이런 분위기가 될듯? 오히려 이게 아니라는 얘기가 나와야 학계가 뒤집어지는 상황이랄까…
    사실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도 증명했다는 사실 자체가 중요한 건 아니었거든요.
    증명과정에 쓰인 여러 기술, 방법론 등이 아주 현대수학의 정수여서 주목받은 거죠.
    J_Square
    http://www.vanguardngr.com/2015/11/nigerian-solves-156-yr-old-riemann-mathematics-hypothesis/

    찾아보니 컨퍼런스 발표까지는 했네요. 보통 peer review에 반년~1년은 걸리니 결과를 보는 것으로…
    P-NP 문제도 예전에 해결했다는 기사 종종 나왔죠.
    완전 검증 끝나기전까지는 그냥 설레발입니다.
    단디쎄리라
    어.. 음.......... 리만 가설이 뭔지도 잘 모..모르겠어서.... 이.. 이과 망했으면..

    리만 가설에 대해선 http://www.pgr21.com/pb/pb.php?id=freedom&no=43042 요걸 참조해보시는 게 좋겠네요. 저 같은 분들은..
    다윈님께서 빼먹으신 듯 합니다. 옆동네에도 쓰셨는데 ^^; 재밌는 글 감사합니다.
    하니남편
    이과 망했으면...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2894 과학/기술보톡스 (Botox) 7 모모스 16/05/25 8237 2
    2860 과학/기술외계로부터의 생명 전달 (리뉴얼버전) 5 모모스 16/05/22 8237 2
    2828 과학/기술세상에서 가장 강력한 독 - 황금독화살개구리 4 모모스 16/05/17 18159 3
    2821 과학/기술이공계 병역특례 2023년 폐지 51 kpark 16/05/16 7520 0
    2759 과학/기술배틀크루저와 자연선택 12 모모스 16/05/07 7209 5
    2757 과학/기술설사하면 왜 "죽"을 먹어야하나? 35 모모스 16/05/07 15359 0
    2752 과학/기술쌀, 보리, 밀 이야기 (자화수분-자웅동주식물) 3 모모스 16/05/06 10337 5
    2742 과학/기술코카인과 코카콜라 8 모모스 16/05/04 8676 1
    2738 과학/기술미토콘드리아 (Mitochondria) 와 인류의 여정 5 모모스 16/05/03 9500 4
    2566 과학/기술적록색맹과 Vitamin C 이야기 19 모모스 16/04/07 8957 9
    2482 과학/기술전문성없이 쓴 짧은 MOF 이야기 8 NightBAya 16/03/27 15623 0
    2303 과학/기술맛없는 것 투성이었던 옛날 17 눈부심 16/02/28 5725 5
    2285 과학/기술보스톤 다이나믹스로봇의 오늘자 동영상 21 눈부심 16/02/24 5525 0
    2247 과학/기술이론물리학 vs 신경생물학 ... and 실존주의 23 리틀미 16/02/18 6351 15
    2242 과학/기술알파고vs이세돌 대국을 기대하며.... 33 커피최고 16/02/16 6765 4
    2227 과학/기술모든 물리는 국소적이다. 22 눈부심 16/02/15 8121 5
    2209 과학/기술왜 최근에 빌 게이츠, 엘론 머스크, 스티븐 호킹 등 많은 유명인들이 인공지능을 경계하라고 호소하는가? 46 절름발이이리 16/02/12 10408 7
    2053 과학/기술우주의 끝을 찾아서... 5 아케르나르 16/01/18 5640 1
    2021 과학/기술지루함에 대한 과학적 고찰 29 눈부심 16/01/13 5960 1
    1839 과학/기술엘런 머스크 스페이스 X의 팰컨 9, 로켓 회수 성공시키다 16 눈부심 15/12/22 7791 3
    1735 과학/기술재밌는 사이트 하나 소개해드립니다. 11 darwin4078 15/12/09 9138 1
    1732 과학/기술침팬지의 놀라운 작업기억력 16 눈부심 15/12/08 8683 0
    1577 과학/기술수학계에 천지개벽할 사건이 일어났네요. 19 darwin4078 15/11/17 8161 0
    1434 과학/기술콩고 사람의 로켓 무한도전 - 트로포스피어 시리즈 로켓 7 April_fool 15/11/03 10520 0
    1354 과학/기술지구의 온난화와 빙하기 4 모모스 15/10/27 18889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