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5/04/10 00:48:37수정됨 |
Name | 셀레네 |
Subject | 지난 일들에 대한 복기(직장내 괴롭힘에 대한 판단) |
직장 내 괴롭힘이 인정받으려면 업무의 관계성과, 행위의 지속성 여부와, 증거자료가 법적 기준으로 부합해야 한다는 조건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한 두번 폭언을 당하고 스트레스 받았다고 해서 괴롭힘이 인정되지는 않고 욕설이나 폭언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증거와 주변 증언이 있어야 겨우 인정받고 만다고 하네요. 그러나 처벌은 커녕 문제를 제기한 사람이 바보가 되고 퇴사를 하는 게 대다수가 겪는 현실이며 심하면 동종업계에서도 일도 못하면서 변명만 늘어놓는 애로 낙인 찍혀 매장 당하고요. 장난삼아 악용하는 사람들도 많아서 인정받기가 꽤 까다롭습니다. 사실 제가 전 직장에서 겪었던 일들이 업무를 핑계 삼아 이루어진 괴롭힘인지 정당한 질책인지 판단이 서지 않을 때가 많았습니다. 하루에도 몇 번씩 저 자신을 검열한 적도 많았고요. 업무적인 바운더리 내에서 이루어졌기 때문이고 업계 사람들 절반이 그러한 폭언과 비난을 일하다가 겪는 하나의 에피소드 혹은 통과의례 정도로 인식하고요. 네가 원인 제공자다. 네가 적성에도 맞지 않는 일을 했기 때문에, 그렇게 행동하기 때문에 그들이 너를 비난하는 거다. 혹은 일만 잘했으면 아무도 너를 건드리지 않았겠지. 네가 일을 못했으니까 그 사람들 욕할 거 아냐. 상사가 너 때문에 회사가 피해를 입는다는가 죽고싶다느니 ~같은 뭐 어쩌구 하는 말을 할 때마다 사무실 그 누구도 말리거나 한 마디도 하지 않았고 각자 자리에서 일만 했습니다. 그리고 아무렇지도 않게 그 사람과 깔깔거리며 스몰토크를 하더라고요. 제 역량의 부족함을 스스로 인지하기도 했었고 상사가 그 바닥에선 에이스 소리를 듣는 작자고 신고를 하지 못했던 것도 아마 그런 이유들에서 였을겁니다. 또 쓸만한 증거자료를 많이 확보하기가 어려운 환경이기도 했고 병원에서도 법원 제출용으로 진단서를 써주기를 꺼려하기도 했었어요. 이제와서 지나간 일 뭐하러 꺼내는가 싶지만 앞으로 어디를 다니든지 비슷한 일들을 겪었을 때 어떻게 판단하고 대처해야 하는지 생각해둘 필요가 있어서 글을 썼습니다.. 복기하는 거죠. 뭐. 5
|
제가 몸담았던 업계 쪽에는 예전만큼 미련은 없습니다. 자리가 있다면 가는거고 아니면 말고 식입니다. 꼭 붙어있어야 겠다라는 마음은 아닙니다. 제가 할 수 있는 업무라면 다른 업계로 가도 괜찮습니다. 시간제나 계약직을 하면서 좀더 추수리는 방향으로 갈 생각도 있습니다. 일하면서 학업을 다시 시작하려는 계획도 머릿속에 짜두었고요. 다만 어딜 가도 비슷한 사람들은 있으니까..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