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12/16 22:16:49
Name   명동의밤
Subject   비논리적 일침 문화
여러 사이트에서 이재명, 이준석이 차례로 거론되고 있는데 많은 생각이 듭니다.

인터넷 공간에서 제가 가장 해롭다고 느끼는 문화 중 하나가 있습니다. [비논리적 일침 문화]라 일단 부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번 사건에서 이를 대표하는 예로 들자면, "대선 때로 다시 돌아가도 윤석열을 찍겠다." 같은 단발성 발언이 있습니다. 이 주장을 말하는 게 잘못되었다는 건 아닙니다. 다만 저는 저 주장이 [비논리적 일침 양식] 말고 다른 양식으로 발화된 걸 못보았습니다. (홍차넷에서는 이런 댓글을 본 적이 없으므로, 이 예시는 다른 맥락에서 가져온 것입니다. 혹시 해당 댓글이 있었다면 저격 의도가 아님을 밝힙니다.) 제 경험으로는 이러한 말투가 일베에서 시작되어 특히 펨코 등 남초 커뮤니티에서 널리 퍼진 것 같습니다. 물론 펨코가 일베의 후손이라는 주장은 아닙니다. 또한 여초 사이트도 각자의 문제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다만 "비논리적 일침 문화"는 남초 커뮤니티에서 더 자주 나타난다고 느껴집니다.
이러한 "비논리적 일침 문화"는 인터넷 담론 형성에 크게 유해하다고 생각합니다.


이 "비논리 일침 문화" 말투는 인터넷 담론 형성에 굉장히 유해합니다. 첫째, 마땅히 검증받아야 할 주장을 텍스트가 아니라 전제로 밀어넣어 버립니다. 제가 든 예시에서는 ① 경제나 민생이 내란보다 더 큰 문제인가? ② 이재명의 민생과 경제에 끼칠 위험성은 정말로 내란을 일으킬 윤석열을 뛰어넘을 정도인가? ③ 자신이 받은 정보는 과연 공정하고 정당한 맥락에서 형성되었는가? 이런 것을 '마치 당연히 증명된 증거인양' 다루게 된다는 점이죠. 이런 점에서 주장을 반박하면 또 다른 "비논리적 일침"이 이어집니다. "기축 통화를 믿는데 능력이 있다구요?" 당시에 전경련 보고서를 인용하여 우리나라 원화 가치가 충분한 잠재력을 가질 수 있었음을 구구절절 말하고 나면 더 말을 하지 않습니다. 자기 메시지는 가성비 좋게 다 전달을 했거든요.


둘째, 주장을 덜어내서 논리는 가벼워졌는데 메시지 전달력은 도리어 강해집니다. 한 두 마디로 메시지가 축약되니까 인상에 깊게 남아버리기 때문이죠. 마지막 댓글 사수, 은근한 긁어대기, 부정적 정보 사용하기, (여러 명이 뭉쳐) 논리 없이 동조하기랑 섞이면 터무니 없는 주장도 절반쯤 되는 인상을 남기게 되죠. 담론장에서 덜 검증된 주장이 더 검증하려는 노력을 가진 주장을 밀어내 버립니다.


셋째, 담론장을 극단화시키거나 망치기가 굉장히 쉽습니다. 자기가 편한 담론장에서는 반대 의견을 조기에 진압시킬 수 있습니다. 자기 [진영]에 잠재적으로 반대할 담론장에서는 네~다섯명만 있어도 담론장을 망가뜨릴 수 있습니다. 실제로 가입이 열려 있는 여초사이트에서 이런 경우를 많이 봅니다. 젠더 이슈, 정치 이슈에서 남초 특유의 말투, 남초 특유의 논리를 가진 분들이 비논리적 일침을 내뱉고 뭉치는 경우가 많다고 느낍니다.

이런 말투를 잘 쓰는 정치인이 이준석이지요. 그리고 제가 느끼기에는 이준석의 지지자도 저런 말투를 굉장히 잘 씁니다. 자기 편이 뭉치고 의견을 키우는 데에는 좋은데, 젠더 이슈에서 다른 진영에 선 이들은 또 크게 분노하곤 합니다. 저 같은 청년층 남성 민주당 지지자도 (드물지만) 이준석을 크게 증오합니다. 말하자면 내 담론 공간을 [댓망진창] 만드는게 그와 그의 지지자일테니까요.


https://www.youtube.com/watch?v=SnowtdLD4sM&t=48s
이재명과 윤석열의 차이



위의 영상은 그래서 제 문제의식에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해 인용합니다.

이재명은 행정 경력을 두루 갖췄으며 그 안에서도 많은 경쟁자들 가운데 두각을 드러내었다. [대선 때로 다시 돌아가도 윤석열을 찍겠다]는 당신의 의견은 하나의 주장으로 존중을 하나, 그 전제로 들어가있는 극단적 주장이나 근거에 동의하기 어렵다. 행정 경험과 그에 따른 차분한 일처리는 윤석열이 이재명만큼이나 엉망일 수 있다는 주장을 약화시키는 근거일 수가 있다.



8
  • 비논리적 일침은 역시 준황 ㅋㅋ


재밌다재밌다
추천수로 보상을 받는 않는 커뮤니티도 비슷한 사람끼리 모이면 의견이 한쪽으로 편향되는데, 펨코는 추천수로 보상까지 주어지니 논리는 불분명하면서 주장만 강한 글이 많아지는 것 같습니다. 글이 길면 댓글로 꼬투리 잡는 사람이 늘어나니 논리는 생략되고, 주장이 강할수록 많은 호응을 받는거 같습니다. 비논리적 일침이 제가 생각한 불분명한 논리와 강한 주장이라면 이준석 보다는 논리와 대책 없이 선언만 하는 수많은 정치인들이 되야 하는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2
당근매니아
독성 높고 결론만 치고 빠지는 전략은 화법의 차이일 뿐 어디서나 발생한다고 봅니다. 뭐 여초 안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만, 윤씨가 선거 당시 [여가부 폐지] 써놨던 게 비판하시는 문화의 정점일 수 있겠네요.
3
박지운(박지운)
그때 코치했던 게 누구였냐 보면 흠
명절은추석
”검찰 공화국 개추“
3
개인적으로는 그런 분들과의 대화는 피곤합니다.

'설득할 생각도, 들어줄 생각도 전혀 없는데' 자꾸 말을 걸어요
그게 아니면 도무지 한 소리 하지 않을수 없는 헛소리를 하던지요.
2
노는꿀벌
막줄 이랑 윤 바뀐거 아닌가용?
그러네요
대신 여초에는 비논리적인 공감문화가 있죠. 두루두루 양면성이 있다고는 봅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08 정치윤석열이 새해 초 작성한 '국민께 드리는 글' 전문 [장문] 14 카르스 25/01/15 1504 0
15207 정치민주당을 칭찬한다 13 명동의밤 25/01/15 2523 34
15206 정치[불판] 1/15 (수) 윤석열 체포영장 2차집행 106 일리지 25/01/15 3476 0
15203 사회생활시간조사로 본 한국 교육의 급격한 변화와 (잠재적) 문제 3 카르스 25/01/13 1392 2
15202 꿀팁/강좌전자렌지로 탕후루 만들기 레시피 수퍼스플랫 25/01/11 1531 7
15201 도서/문학'압도감'으로 정렬해본 만화 300선 25 심해냉장고 25/01/11 2032 10
15200 스포츠[MLB] 저스틴 벌랜더 1년 15M 샌프란시스코행 1 김치찌개 25/01/10 1024 0
15199 도서/문학만화책 티어리스트 500종(중에 안본게 대부분인) 33 kaestro 25/01/10 1891 1
15198 육아/가정유튜버 귀곰님 리뷰제품들 사용후기 14 swear 25/01/10 2193 8
15197 문화/예술남한산성. 12 닭장군 25/01/08 1455 0
15196 정치계엄과 헌재 관련 학창시절 헌법 수업때의 2가지 기억 7 파로돈탁스 25/01/08 1451 11
15194 과학/기술AI는 신이야! 13 세모셔츠수세미떡 25/01/07 1473 4
15193 사회AI와 함께 알아보는 음악 저작권 45 토비 25/01/07 1359 2
15192 일상/생각대체 여기가 어딘지는 모르지만 도달했습니다 8 골든햄스 25/01/07 1794 20
15191 정치탄핵심판의 범위 및 본건 탄핵심판의 쟁점 5 김비버 25/01/06 1286 14
15190 댓글잠금 정치시민의 책임은 어디까지일까 52 Daniel Plainview 25/01/06 2995 24
15189 일상/생각집안에 기강이 안선다고 한마디 들었어요.ㅠㅠ 15 큐리스 25/01/06 1687 2
15188 IT/컴퓨터인공지능 시대,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말빨" 4 T.Robin 25/01/05 1448 7
15187 정치어떻게 내란죄가 입증되는가 10 매뉴물있뉴 25/01/04 2034 11
15186 일상/생각공백 없는 이직을 하였읍니다. 11 Groot 25/01/04 1606 21
15185 정치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제2차 변론준비기일 방청기 8 시테 25/01/03 1500 25
15184 일상/생각요즘 느끼는 소소한 행복 5 큐리스 25/01/03 1133 10
15183 정치한국 정치에 대해 또 다른 주제로 투표하는 미국분들 1 kien 25/01/03 1376 0
15182 기타요즘 보고 있는 예능(17) 김치찌개 25/01/02 991 0
15181 방송/연예2024 걸그룹 6/6 6 헬리제의우울 25/01/01 1365 2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