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4/10/03 22:08:58
Name   타는저녁놀
Subject   흑백요리사 8~9화 팀전 우승팀 분석 (스포)
제목 스포가 될까봐 비껴 적었지만, "최현석은 고가 전략 만으로 승리했는가?" 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사실 이 글은 원래 화요일에 흑백요리사 나온 거 다 보고나서, 사람들 반응 보려고 디씨 흑백요리사갤러리 들어갔는데 (좋아하는 커뮤니티는 아니지만 이런 거 반응 보려면 디씨 갤러리만한 곳이 없으니 ㅎ) 최현석의 승리를 너무 폄하하는 느낌이어서 <최현석 팀이 가격 만으로 이긴 건 아님> 이라는 글을 올리고 잤다.

디씨에 안 맞게 너무 길게 써서인지 조회수도 안 올라가고.. 아오 디씨에 진지한 글을 길게 쓴 내가 바보지 ㅋㅋ 하면서 자러 갔는데요. 그런데 다음 날 보니, 여기저기 커뮤니티에서 제가 쓴 글이 돌아다니더라고요. 회원가입도 안 되어 있을 것 같은 펨코에 올라간 글은 조회수가 23만이 넘어가던데... (여담으로 블로그 7년 만에 50만 찍은 게 최근인데 ㅋㅋ;;)


계산은 챗GPT로 돌렸습니다. 수식이야 간단하고 계산 자체도 난이도가 높진 않지만 기본적으로 노가다로 풀어야 하는 번거로운 부정방정식이라 (뭐 간단하게 풀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도 모르겠는데 배운 적이 없어서...) 직접 계산해야 했으면 안 했을 것 같습니다. 이과생 같다는 댓글도 많았지만 문돌이입니다.


아래는 처음에 올린 글인데, 여기 다시 올리면서 약간의 추가적인 설명과 보정을 곁들인. (이탤릭으로)

애초에 반말로 작성된 글인데 다 고치긴 힘들어서 그냥 반말인 점은 양해를 부탁 드립니다.


=====================================================================

일단 처음부터 정답을 알고 시작한 건 아니었다. 팔리기도 많이 팔렸을 것 같은데? 하는 생각으로 시작했던 거였고. 계산하다보니 많이 팔렸다는 걸 알게 되었다.

우선 방송에서 주어진 정보는 메뉴당 가격(그러니 평균 가격도), 매출, 제일 많이 팔린 접시가 딤섬 39접시라는 정보. 소비자는 20명. 이 정보로 일단 대략 얼마나 팔렸을지 계산해봤다.

어차피 정확한 데이터는 알기 어렵기 때문에 그냥 매출을 평균 가격으로 팔아서 몇 접시나 팔렸을지 계산했다.


평균가격 / 매출 / 팔린 접시 (매출÷평균가격으로 어림계산)

에드워드 리: 24,300원 / 1,498,100원 / 61.7개

최현석       : 45,333원 / 4,774,000원 / 105.3개

트리플 스타: 25,333원 / 2,220,000원 / 87.6개

방출자 팀   : 22,000원 / 1,348,000원 / 61.3개



1. 최현석 팀이 팔기도 많이 팔았다.


고급화 전략이 먹히기도 한 거지만 훨씬 많이 팔았다.



2. 꼭 동일한 메뉴의 재주문이 아니더라도, '팀 단위' 재주문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대충 60개 팔린 건 이렇게 보면 됨. 20명이 각 식당 메뉴 3개를 전부 하나씩 시키면 당연히 개별 식당의 주문 수는 60건.

물론 어딘 안 시키고 어딘 덜 시키고 하는 사람도 있었겠지만.. 평균적으로는 어느 정도 수렴할 걸로 보고.

최현석 팀의 메뉴만 인당 평균 5개씩 먹었던 것. 기본 3개 (각 하나당) 시켜서 맛을 보고 추가로 2개를 더 주문했던 거지.


3. 트러플 금까스도 많이 팔렸다.


방송에서는 거의 언급도 안 되었던 트러플 금까스. 과연 망했을까?

1) 제일 많이 팔린 게 정지선의 딤섬 39접시임.

2) 그러면 알밥과 랍스터 짬뽕의 맥스는 38접시. (동률은 없다고 봤을 때)

3) 알밥, 짬뽕을 38접시 팔았다고 가정하면 금까스는 대충 27접시 팔림. (딱 떨어지진 않음)

4) 알밥, 짬뽕이 그보다는 덜 팔렸다면 금까스는 더 올라가겠지.

실제로 계산을 돌려 보니

x=트러플 금까스, y=캐비어 알밥, z=랍스터 짬뽕

36x+58y+42z=4774

0≤x,y,z≤39 (그냥 동률도 나올 수 있다고 가정)


이거에 해당하는 정수해는 세 쌍이 나옴.

(x=37, y=34, z=35)

(x=38, y=37, z=30)

(x=31, y=37, z=36)

트러플 금까스도 최소 31, 최대 38 그릇 팔림.


이렇게 많이 팔렸는데도 불구하고 방송에 왜 안 나왔는지는 알 수 없다. 아마 다른 두 메뉴에 비해 특색이 덜하기도 하고, 만약 이것까지 잘 팔리는 걸 보여주면 1위 대결에 대한 긴장감이 아예 없었을 거다.


4. 애초에 맛이 좋았고, 평도 좋았던 것. 그리고 진짜 변별력은 희소성.


어차피 내 돈 나가는 거 아니니까 그 안에서 비싸다고 더 사먹었을까? 어차피 2만원을 내건 5만원을 내건 내 주머니에서 돈이 나가는 것도 아니고, 아낀다고 내 주머니로 남은 걸 챙겨주는 것도 아니다. 그냥 그 자리의 소비자 입장에서 가격이 먹을 메뉴를 결정할 때 어떤 변별력도 없었다고 보는 편이 더 낫겠다. 만약 나라면 어떤 걸 중요시해서 더 먹었을까 싶으면 맛과 희소성이다. 그곳에서만 먹을 수 있는 것 중에 맛있는 걸 먹어야겠지.

이 지점에서 동파육, 마파두부, 텐동 조합이 왜 최하위였는지 알 수 있다. 동파육과 텐동이라는 게 밖에서도 퀄리티 높은 걸 찾아먹을 수는 있으니까. 심지어 '줄 서서 먹는 집'이라는 건 바꿔 말하면 '줄 서면 먹을 수 있는 집'이 된다. 꼭 그 안에서 먹을 수 있어야 한다.

반대로 제일 많이 팔린 정지선 쉐프의 딤섬은 딤섬의 여왕이라는 이름값, 그 자리에서만 먹을 수 있는 딤섬, 많지 않아서 추가로 먹기 부담스럽지 않은 양이 되겠지.

'알밥'도 어떻게 보면 정말 평범한 메뉴여야 하는데, 사람들이 김에 주목하기 시작하면서 시식단이 희소성을 만들어낸 케이스로 볼 수 있겠다. 랍스터 짬뽕은 그냥 가성비도 뛰어났던 것 같고. 어떻게 보면 높은 가격은 스노비즘을 자극한 게 아니라 오히려 희소성을 강화시켜준 게 아닐까 싶기도.


5. 어떻게 그렇게 빨리 팔았을까?


2시간30분이라는 시간 동안 100개가 넘는 메뉴를 내보냈다. 메뉴 하나에 평균 1분30초 걸린 셈이다.


애초에 빨리 나갈 수 있는 메뉴 (알밥 특히) + '짬뽕'을 완벽한 프렙으로 패스트 푸드처럼 만들어 버림.



결론.

가격 및 판매 전략 설정도 좋았지만, 팀 단위 재주문도 많았고 (퀄리티가 좋아서 그랬겠지?) 주문도 빠르게 소화해내면서 매출 뿐 아니라 판매량까지 압도적으로 1등 함.

빨리 내보낼 수 있는 메뉴 선정에, 주문량 소화해낼 수 있는 완벽한 준비.

그냥 모든 면에서 압도해버렸어.

처음엔 단순히 방송 이해도가 높고, 공격적인 전략이 잘 맞아 떨어졌다고 생각했는데.. 끝나고 나서 보니 상당히 확률 높은 전략이었고 (당연히 모든 정보를 알고 시작하는 게 아닌 이상, 완벽한 전략을 짤 수는 없고) 전략이 잘 맞아 떨어졌을 때 완벽한 준비로 그걸 소화해냈다. 진짜 이거야말로 최현석의 짬에서 나온 바이브가 아닐까.






3


    '300만원 예산으로 2시간 30분 동안 팔아라'가 미션인데,

    승우아빠가 옛날에 계산한거 보면
    레스토랑에서 식재료 원가가 대충 35% 정도 되니까
    매출을 900만원은 올려야 정상적인(?) 업장이 되는거죠.

    그럼 2시간 30분 동안 900만원 어치를 팔아야 하는거고,
    그러려면 대충 1분에 6만원 씩 팔 수 있는 메뉴를 만들어야 하니
    최현석 팀을 제외한 다른 팀이 애초에 너무 싸게 책정한 셈인거죠.
    타는저녁놀
    맞습니다. 그래서 최현석이 무작정 고가를 매긴 것도 아니었다고 봅니다. 아마 더 지니어스였으면 말씀하신 것들 인터뷰로 깔아줬을지도요. ㅋㅋ
    저는 애초에 방출팀의 존재 자체가 심각한 공정성 훼손이라고 봅니다.

    결국 헤드셰프들로 지목된 사람들(최현석, 에드워드 리, 트리플스타)은 다 살리고 싶으니까 팀마다 1명씩 쩌리를 모아서 매출 하위권 팀을 구성해버린 느낌이 강합니다.

    랜덤으로 방출한 것도 아니고, 각 팀에서 가장 필수적인 사람이 아닌 사람으로 구성한 것.
    처음부터 끝까지 3명으로 4명과 대결한 것.
    준비시간 역시 부족했고, 이미 첫번째 식당 준비로 몸이 피곤한 상태에서 다시 재오픈 시킨 것.

    에서 이미 매출 꼴지로 방출팀을 밀어버리겠다는 제작진 의... 더 보기
    저는 애초에 방출팀의 존재 자체가 심각한 공정성 훼손이라고 봅니다.

    결국 헤드셰프들로 지목된 사람들(최현석, 에드워드 리, 트리플스타)은 다 살리고 싶으니까 팀마다 1명씩 쩌리를 모아서 매출 하위권 팀을 구성해버린 느낌이 강합니다.

    랜덤으로 방출한 것도 아니고, 각 팀에서 가장 필수적인 사람이 아닌 사람으로 구성한 것.
    처음부터 끝까지 3명으로 4명과 대결한 것.
    준비시간 역시 부족했고, 이미 첫번째 식당 준비로 몸이 피곤한 상태에서 다시 재오픈 시킨 것.

    에서 이미 매출 꼴지로 방출팀을 밀어버리겠다는 제작진 의도가 너무 강하게 느껴졌고, 솔직히 황당하기 그지없습니다.

    이에 비해 <메뉴-가격> 존재를 알고 들어갔다는 건 큰 메리트가 아니었다고 보고요. (고객이 정확히 얼마씩 들고오는 게 오픈된 상황도 아니었죠) 최소한 준비할 시간을 넉넉히 줬거나 아니면 한명을 더 맞췄거나 하는 점이 필요했다고 봅니다.

    심지어 나중에 살릴 때는 기여도를 따지면서 살린 것도 심사위원들의 주관적 판단이었죠... 결국 헤드셰프들은 다 살았고, 나머지는 뒤에서 준비만 하다가 떨어지고 말았죠.

    최현석팀의 장점은 회전율이었고, 솔직히 그걸로 우승한 건 칭찬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지만 저 나머지 것들이 너무 역겨워서 9화는 다시 보지 않을 것 같습니다.
    3
    타는저녁놀
    눈까지 가리면서 맛만으로 모든 걸 판단하겠다는 초반의 취지와는 180도 달라져버리긴 했죠. 방출조는 특히 왜 굳이 만들어야 했는지를 설명할 수 없을 것 같기도 하고요.
    재미 자체와 인기는 그대로이긴 하지만 초반의 컨셉과 방향은 많이 무너진 것 같긴 합니다.
    근데 최현석 팀의 음식이 빠르게 회전되더라도 그 회전율의 이점을 최현석 팀이 혼자 가져가는게 아니라 모든 팀이 공유하기 때문에 - 주문은 한 번에 하나만 할 수 있다는 규칙 때문에 - 회전율이 높은게 의미가 있나 싶습니다. 사실 회전율은 박리다매를 하는 업장에게 더 중요한거라 최현석팀 회전율이 높은게 최현석팀의 승패에 준 영향은 별로 없다고 봅니다.
    먹방러들이 주문할 때 저쪽에 주문하면 빨리나오더라~ 하면서 분위기에 휩쓸린 게 있다고 봐서요. 그게 판매량의 원인이 아니었을까 생각해 봅니다.
    그르니에
    메뉴 - 가격을 아는게 큰 메리트가 아니라는 것은 저는 별로 동의하지 못하겠습니다. 다 헤비한 음식들인데 거기에 디저트류나 산뜻한 음식들 넣었으면 많이 팔렸을 것 같고 3명이 패널티라고 하기에는 11명 vs 11명 흑백 팀전에서도 6명 vs 5명인 팀도 있었고, 심지어 중간 평가도 꼴찌가 아니었어요. 후반 전략 부재 였던거죠. 기여도는 주관적인 판단이라고 하셨는데 맛과 음식에 대한 해석은 주관적인 판단이 아닌걸까요? 저는 솔직히 떨어질 사람들이 떨어졌다고 봅니다. 오히려 방출팀이 자기 시그니처 한번 더 홍보해서 더 이득이지 않을까 생각이 들기도 합니다.
    1
    그 흑백 팀전에서도 5명 팀이 전부 6명 팀한테 졌습니다. 인원수 차이는 큽니다. 심지어 여긴 5대 6도 아니고, 3대 4인 데다가 준비시간도 부족했고 체력도 떨어졌습니다.
    허윤진남편
    애시당초 300씩 줬는데 돈번 팀이 최현석 팀말고는 없지 않나 싶읍니다. 그리고 최현석정도 경력에 실력이면 원로급이죠.
    제작진도 출연진들이 어떻게 반응할지를 몰랐다는 점을 생각하고 본다면 저는 아쉬움은 남더라도 여전히 좋은 기획이고 좋은 쇼였다고 생각합니다.

    아쉬운 만큼 뒷말이 많이 나오것도 그만큼 많은 사람들이 몰입해서 즐겼다는 뜻이겠지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307 요리/음식오늘 맛있게 먹은 복 집 추천이요~ 10 12월의 바캉스 25/03/10 757 3
    15039 요리/음식칵테일 덕후 사이트 홍보합니다~ 2탄 8 Iowa 24/11/12 934 7
    14954 요리/음식흑백요리사 8~9화 팀전 우승팀 분석 (스포) 10 타는저녁놀 24/10/03 1301 3
    14948 요리/음식팥양갱 만드는 이야기 14 나루 24/09/28 1488 17
    14665 요리/음식[홍보]세상의 모든 술고래들을 위해~ 7 Iowa 24/05/10 1846 4
    14607 요리/음식드디어 쓰는 쌀국수 투어 모음집 2편 16 kogang2001 24/04/19 1859 8
    14606 요리/음식드디어 쓰는 쌀국수 투어 모음집 1편 5 kogang2001 24/04/19 1704 10
    14556 요리/음식까눌레 만드는 이야기 10 나루 24/03/23 2928 7
    14402 요리/음식수상한 가게들. 7 심해냉장고 24/01/17 2175 19
    14352 요리/음식[하루특가] 동족상잔의 희극!! 홈뿌라쓰 보리먹고자란돼지!! 26 Groot 23/12/21 2805 0
    14111 요리/음식내가 집에서 맛있는 하이볼을 타 먹을 수 있을리 없잖아, 무리무리! (※무리가 아니었다?!) 24 양라곱 23/08/19 4213 26
    13908 요리/음식다이어트 소스 리뷰 8 CheesyCheese 23/05/25 2638 5
    13623 요리/음식김치의 세계화가 어려운 이유 24 OneV 23/03/07 3844 0
    13528 요리/음식우연과 우연이 겹쳐 만들어진 역대급 돼지고기 수육 5 당근매니아 23/02/01 3250 10
    13471 요리/음식스팀 에어프라이어 사봤는데 이거 좀.. 3 인생은서른부터 23/01/09 2928 0
    13416 요리/음식차의 향미를 어떤 체계로 바라볼 수 있을까? 4 나루 22/12/20 2740 14
    13335 요리/음식주관적인 도쿄권 체인점 이미지 8 向日葵 22/11/20 4411 11
    13090 요리/음식혹시 곤약쌀 드시는분? 4 네임드 22/08/17 3621 0
    12437 요리/음식광주광역시 여행 시 맛집 찾기에 고민하시는 분들께 19 메존일각 22/01/12 4907 12
    12044 요리/음식예식장 뷔페는 왜 맛이 없을까? 60 Cascade 21/09/04 7975 1
    12024 요리/음식맥주 조금만 더 비싼 거 마셔보기 12 알탈 21/08/28 4837 3
    12023 요리/음식맥주 조금만 더 천천히 마시기 - 2 30 알탈 21/08/28 4662 7
    12022 요리/음식맥주 조금만 더 천천히 마시기 - 1 21 알탈 21/08/28 5243 11
    11978 요리/음식[정보] 와사비로 사기친 제품 목록 21 Groot 21/08/12 5803 1
    11878 요리/음식라멘이 사실은 일본에서 온 음식이거든요 41 철든 피터팬 21/07/13 6331 3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