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3/10/17 09:26:56
Name   moqq
File #1   doc.jpg (162.7 KB), Download : 3
Subject   개원의들은 얼마나 버나.


http://dentalnews.or.kr/news/article.html?no=38531
재밌는 기사네요.
의원, 치과의원, 한의원의 2010,2020 영업이익 비교.

대충 중간값으로 개원의들의 매달 평균 영업이익은 2600만원.
이게 세전이니까 40%쯤 세금 낸다치면
세전 연봉 3.12억. 세후 1.87억. 매달 수입 1500만원.
의사라는 직업이 매달 1500씩 정년도 없이 30-40년 번다치면
평생 기대소득은 65.5억. 이건 많긴 하다.

대한민국 1%부자평균이 63세 자산 기준이 30억임.
의사는 버는 돈의 반만 모아도 쌉가능.
현재의 경제적 보상은 매우 좋은 편이라고 봐야함.

근데 지금은 좋아도 미래에 나쁘다면 별로임. 미래는 어떨까?
영업이익은 지난 10년간 85% 증가
이는 매년 6%정도의 상승.
인플레이션보다 살짝 높은 듯.
고령화가 더 진행될 거라고 생각하면 의료비는 더 증가할 것이고
마켓이 더 커지는 걸 생각하면 약간의 인원 충원은 괜춘할지도.

다만 인원 충원이라는 것이 뒤늦게 효과를 보는 채찍효과가 있고
한 번 늘리면 줄이기 어려우니 좀 더 데이터를 고려하고
롤백할 수 있는 수단을 만드는 게 맞지 않나 싶음.

본인은 의사충원에 대한 특별한 의견은 없음.
뭐 솔직히 엄청 충원해서 다들 공무원 만들고 영국, 캐나다처럼 한다고
인세의 지옥이 되는 것도 아니고
다들 적응해서 사는 거지 뭐.

근데 단순히 충원만 하는 걸로 다른 문제들이 해결될 것이라고 생각되진 않음.
병원 스탭들에 대한 처우는 개선되면 좋은데
구조적으로 그러기가 힘들 듯.
개원의는 자기가 벌어서 자기가 챙기는데
스탭은 벌어서 병원이랑 나누어야 하니까.

번외.
치의, 한의는 확실히 의느님보단 못함.
역시 입결이 말해주는 것.




3
  • 담백한 글 추천합니당


저는 의사가 잘 버는 것보다 다른 직종과의 심각한 차이가 크게 우려됩니다. 결국 의사라는건 내수인데....

제조 수출해서 먹고 사는 나라에서 공대를 저거보단 못해도 잘 버는 직종으로 만들어야 할텐데...
1
산업의 층위를 보면 결국 미국에서 잘나가는 애플, 마소 등의 4차산업이 한국에서 가능한가?
그건 쉽지 않고 한국은 결국 제조공장이죠.
다만 해자가 있는 기업들은 대기업 중소기업 할 거 없이 잘나가는 거고
해자가 없는 기업들은 마진이 박하고, 인건비를 아끼는 수 밖에 없는 거라서
이게 나라에서 어케 할 수 있는 일인가 싶긴 합니다.
서포트벡터
제가 공대 박사 중 한 사람이라는 점을 염두에 두고 들어주시면 좋을 것 같은데요...

개인적으로는 그거는 그렇게 걱정 안 하셔도 될것 같습니다. 선진국 중에 뭐 특별히 잘나가는 CEO라든지 창업자라든지 이런 사람들 빼면, 평범한 공학박사가 평범한 의사보다 잘 버는 나라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당장 미국만 해도 박사급 엔지니어랑 의사 중위소득이 3배쯤 차이난다고 하더군요. 위에 표 보니까 우리가 그것보단 차이가 좀 적어 보이네요.

일단 의사가 돈을 잘 번다는 것 자체가 사람값이 비싸다는 얘기잖아요. 선진국에서 피할 수 없는 숙명입니다.
7
서포트벡터
그리고 우리나라 공대생들 불쌍하게 안 보셔도 괜찮아요...
저도 엔지니어지만 주변에 공대나와서 돈 못 버는 친구 한명도 없습니다 ㅎㅎ
4
박사까지 해야지 그렇다는걸까요.

글쎄요. 그렇다면 상위권 의치한 쏠림 현상이 설명이 안되죠.

삼성전자의 21년 초임연봉이 4800만원이고, 10년차는 8천이라는데 넉넉하게 1억언저리로 잡아봅시다. 그럼 실수령액이 월 600만원 조금 넘죠. 평균보다 높은데도 비교 수준은 안되죠. 게다가 의사는 평생 일할 수 있지만 대기업은 요즘 완화되어 50대부터 어렵죠. 연구기관은 다를 수 있겠지만 의사라는 직업의 연봉, 안정성과 일반 직장인은 너무 차이가 커요.
바라스비다히
전문의 연봉이랑 비교하자면 삼전 박사입사랑 비교해야 좀 결이 맞을듯 하구요, 대다수의 개원의들은 주 6일 근무를 하죠.
서포트벡터
전문의랑 비교하는데 당연히 박사랑 비교해야죠. 대졸이랑 비교하는건 결이 안 맞습니다. 대졸은 4년, 일반의도 6년, 전문의는 10년+@입니다.

제가 말하는건, 해외 선진국도 의치한 쏠림 똑같이 일어난다는 겁니다. 여기서 어떤 게 설명이 안 되나요? 제가 공대랑 의대 차이없다고 한건 아니구요.
11
스노우
미국에 한해서 medicine/law 위상이 한국의 의대/로스쿨보다 더 높으면 높았지 결코 더 낮지 않습니다. 저도 엔지니어에요.
1
괄도네넴띤
개원의는 사실상 의사라기보다는 자영업잡니다.
1
https://n.news.naver.com/article/009/0005200086?sid=102
회사원보다 7배 더 버는 한국의사

이런 기사도 있습니다
당근매니아수정됨
어제오늘 이 문제 생각을 계속 해보고 있고 조만간 글도 하나 써보려고 하는데, 의사 판검사 이외에 이렇게 자식에게 같은 직업 물려주려고 애 쓰는 직업이 몇이나 더 있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사실 페이닥터인 경우에도 의사 임금은 다른 근로자들과 달리 net 계약으로 체결해서 소득세율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는 점, 소득이 2배가 된다는 건 가처분소득이 2배 이상으로 늘어난다는 걸 의미한다는 점 등을 고려하면, 통상적인 근로자들과의 소득 격차는 훨씬 더 벌어질 거라고 보구요. 당장 문과 최고아웃풋이라고 할 만한 자격사들도 월급 700 대 넘어가면 증가분 중 세금 내고 남는 게 보잘 것 없으니까요.
페이닥터라는 건 net계약이든 아니든 결국 개원의에게 고용되는 형태라서 개원의들의 수입에 딸려가는 형태 아닐까요? 계약 형태를 따로 고려하는 게 중요한 요소가 될까 싶습니다.
세모셔츠수세미떡
거기에 소득 집계 안되는 현금도 있다보니 격차는 훨씬 큽니다.
ORIFixation
아 요새도 현금받고 탈세하나요?
물론 현금수입도 있고, 경비처리도 있고 할텐데
보험진료등은 몇천몇백원 이런 식이라서 카드 계산 비중이 높지 않을까 싶습니다.
그리고 다른 자영업에도 해당하는 사항이라서 의사들 통계에만 그걸 고려해야할까 싶은 부분도 있구요.
세모셔츠수세미떡
대부분의 고소득이 비보험 영역이라는점을 고려하면 할인을 통한 현금 결제유도가 자영업자에 비해 훨씬 비중이 높습니다.
Echo-Friendly
실손보험과의 환장의 케미 덕분에 그런 일은…
whenyouinRome...
그럴리가요?
몇백 넘는건 직장인이고 자영업자고 다 카드 긁어요. 비용처리나 소득공제 때문에요.
생각보다 굉장히 투명해지고 있습니다.
당장 저도 삼백 현금 할인 어쩌고 씹고 카드 긁었습니다
우리나라는 의사들이 본인 돈 들여서 병원 짓고 의원 창업하고 영리추구하는 시스템을 구축해놓고는, 의료 자체는 또 공익을 추구하는 성격을 띠니까 입장에 따라 욕먹기 좋은 포지션 아닌가싶네요.
Echo-Friendly
아 근데 기사 제목 좀 ㅋㅋㅋ
아니 자식들 교육 시키고 비싼 집 깔고 앉고 좋은 인프라 누리려고 서울 사는 선생님들이 수입까지 더 좋아야되겠냐고!
2
켈로그김
얼마나 버는가보다는 어떻게 버느냐가 더 중요할겁니다.
365의원 하면서 빡세게 사느냐...
빨간날 다 쉬고 주4.5일 하면서 널널하게 사느냐...
2
[매달 평균 영업이익 2600만원] -> 오늘 월급날인데 이 수치 보니 음...
1
You can do it!


저희는 저 금액이 불가능합니다
전문과목은 피부에 양보하세요.
whenyouinRome...
세금 다 까고나면 비슷해질지도요...
카리나남편
선생님 저는 저기에서 0하나 뺍니다.
whenyouinRome...
설마요....
Mandarin
통계의 오류가 약간 있는게, 의원이라고 의료인이 항상 1명인것은 아니기 때문에..
명상의시간
평균의 함정이 좀 있기는 해요. 물론 대박의원은 있는데, 개원하면 휴가 없이 몸 갈아서 유지하는 분들이 대부분이긴 한데, 물론 일반 직장인들이 보기에는 아주 높은 수준이기는 하나 다들 나름의 고민은 있어서 정리하고 봉직 다시 가고 싶어하시는 분들도 많이 있읍니다 ㅎ

많이 뽑아서 저게 해결 될 것 같냐면 글쎄요 라고 생각하고 그렇다고 뭐 부족하다는데 못 뽑게 할 필요는 없는데, 플랜을 잘 세워서 적정 수준을 유지해야지 무리해서 왕창 뽑으면 공멸의 길로 가게 될 것 같읍니다 ㅎ
당근매니아
사실 개업이라는 선택지 자체가 보통 근로자들에게 있느냐 문제, 자영업자로 개업했다가 다시 돌아갈 자리가 있느냐 하는 문제, 요식업을 비롯한 엔간한 자영업자들의 근무시간 역시 개업의들과 크게 다르지 않다는 문제 등등이 있죠.
3
Paraaaade
결국 그들과 의사의 차이점, 라이센스를 통한 지대추구를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가의 문제가 되죠. 현상 자체는 담백한 사실이고.
3
당근매니아
동의합니다.
사실 피부 미용만 개방 시켜도 좀 달라질거 같은데
Paraaaade
받고 개원을 수련 과나 연관 과에 한정시키면 어떨까도 생각해봤습니다. 국시도 수련 후에 치거나, 기존 국시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자격을 좀 제한하구요. (GP는 수련용 면허 느낌으로)

다들 말씀하시는 병원/바이탈과 먹고사는 문제(수가)도 좀 조정하고...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5246 의료/건강[정보/뉴스] OAI 직원 암진단 후기 트위터 스레드 번역 7 공기반술이반 25/02/05 731 0
15161 의료/건강코로나19 실험실 유출설 11 토비 24/12/27 1099 0
15146 의료/건강일종의? 의료사기당해서 올려요 22 블리츠 24/12/21 1510 0
15048 의료/건강고혈압 치료제가 발기부전을 치료제가 된 계기 19 허락해주세요 24/11/18 1590 1
15011 의료/건강치매 예방을 위한 노력들 4 인생살이 24/10/31 1321 2
14919 의료/건강바이탈 과의 미래 25 꼬앵 24/09/12 1988 0
14894 의료/건강어느 큰 병원 이야기 12 꼬앵 24/09/03 1880 0
14870 의료/건강우울증을 치료하는 중 19 mighty 24/08/26 2020 10
14818 의료/건강불안장애? 8 셀레네 24/08/03 1787 2
14779 의료/건강[모집]이대론안된다N연차 소확운(소소하지만확실한운동) 단톡방 모집합니다. 마감! 38 24/07/06 2793 3
14754 의료/건강[PD수첩] 의료비상사태 – 누가 병원을 멈추게 하나 5 cummings 24/06/19 2071 2
14738 의료/건강응급실 이용 경험 인터뷰 연구 참여자 모집하고자 합니다. 13 saint 24/06/11 2006 0
14732 의료/건강신체(근골격) 밸런스, 발목에 대하여 5 블리츠 24/06/07 2012 0
14634 의료/건강환자 곁을 지키는 의료진에게 아끼지 않는다는 합당한 보상 9 꼬앵 24/04/30 2023 0
14625 의료/건강SOOD 양치법 + 큐라덴 리뷰 7 오레오 24/04/26 1933 0
14544 의료/건강불면증 개선에 도움되는 멜라토닌 효능 11 후랑키 24/03/19 3257 1
14511 의료/건강첫 담배에 관한 추억 3 똘빼 24/03/06 1975 10
14416 의료/건강나의 헬스 루틴 - 운동 편 25 치즈케이크 24/01/26 2698 10
14384 의료/건강환자의 자기결정권(autonomy)은 어디까지 일까? 6 경계인 24/01/06 2252 20
14228 의료/건강골 때리는 논문이 나와버렸습니다... 21 Echo-Friendly 23/10/26 3745 1
14205 의료/건강개원의들은 얼마나 버나. 35 moqq 23/10/17 4877 3
14204 의료/건강의대 증원 논쟁에 대한 잡상 42 meson 23/10/16 3686 1
14058 의료/건강지루성 두피염에 샴푸도 아주 중요하군요... 15 희루 23/07/22 2930 0
13857 의료/건강비염에 굉장히 효과 있었던, 개인적인 방법과 습관 12 인생은서른부터 23/05/15 3051 2
13787 의료/건강미 의회 보고서 - 코로나팬데믹의 원인 10 은머리 23/04/26 3196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