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23/02/28 19:40:55 |
Name | 커피를줄이자 |
Subject | 살인하지 말라-에 대한 최초의 합의? |
우리는 “사람을 죽여서는 안된다.”는 사회에서 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사람을 죽여도 된다,가 규범인 사회는 왜 없을까요? 전세계 어디를 찾아봐도 그런 가치 판단 기준을 가진 문화권은 없지요.. 그래서 도대체 왜 그 반대가 아닌 사람을 죽이면 안된다,로 처음 합의가 이뤄졌을까? 혼자 질문해보게 됩니다. 원래 저는 법률과 같은 강제성을 띤 상위 개념의 규범으로부터 일상의 규칙처럼 하위 규범이 나왔다고 생각했는데요 이제는 그런 상위 규범에서> 하위 규칙들이 태어난게 아니라, 거꾸로 도덕,질서 등 하위 규범에서> 헌법이 연역된 거라고 생각이 바뀌었습니다. 그건 선악의 문제가 논리나 이성으로 생각하기에 앞서 그냥 인간이라면 응당 마음이 먼저 반응하는 어떤 정서적인 영역이기 때문에 그런 것 같습니다 사람은 누구나 선한 것이나 정의로운 걸 보면 흐뭇해하고 마음이 따뜻해지는 반면, 악한 것이나 옳지 못한 일엔 나도 모르게 분노를 느끼니까요. 계속 상상해보게 됩니다. 인류 최초의 살인 사건에 대해서요. 누군가가 어떤 이를 내리쳤거나 찔렀을 거에요. 고통에 울부짖고 피해자가 신음하며 죽어갑니다. 그리고 가족들의 가슴은 찢어지는 듯 하겠지요. 지켜보는 주변인들의 마음이 아픕니다 그러는 가운데 사람들의 마음 속에 어떤 감정이 일어납니다. ‘사람을 죽이면 안된다'는 감정이 생겨요. 그 감정이 윤리를 만든게 아닐까요. 그리고 그 윤리가 법의 토대가 되고요. 태곳적부터 헌법이 있다거나 해서 나의 생명권을 보장해주는 것이 아니라 먼 옛날, 처음으로 사람이 사람을 죽이는 걸 볼 때 느낀 고통스러운 마음 바로 그 마음이 ‘살인을 하지 말자’라는 모두의 합의를 이끌어 내었고 더 나아가 헌법의 생명권 개념까지 생기게 하였다고 말이지요 정리하자면 최상위 규범인 법률은 윤리나 도덕처럼 굳이 강제하지 않아도 지켜지는 하위 규범에서 나왔으며 그리고 그 윤리라고 하는 최초의 사회적 합의는 아주 먼 옛날 인간의 감정으로부터 탄생했다는 것, (그래서 저는 때때로 규범의 윤리적 타당성을 막 논리로 따지기보다는, 그 사람의 솔직한 마음, 개인의 양심에 기대어 판단하는게 어쩌면 가장 정확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