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0/23 14:02:36수정됨
Name   kpark
Subject   인공지능, 고용 없는 성장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1


    Beer Inside
    이미 다가온 미래이지요. 펼쳐지지 않아서 일 뿐이지.
    마르코폴로
    자동화도 자동화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서 산업 자체가 구축화되는 영향이 크다고 봅니다.
    원자력 발전소 하나 만들면 화력 발전소 10개, 20개는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새로운 산업 중 스마트니 바이오니 하는 것들은 애초에 고용을 늘리는 것과 크게 관련없는 업종으로 보이고
    기존의 제조업을 대체할만한 전기차 산업 같은 것들은 들어가는 부품 수만 봐도 현재의 자동차 산업보다 인력이 훨씬 덜 필요 할 것 같아보입니다.
    케인즈는 2010년이 되면 주당 20시간만 일하면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는데 지금 상황을 보면 강제로 20시간... 더 보기
    자동화도 자동화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서 산업 자체가 구축화되는 영향이 크다고 봅니다.
    원자력 발전소 하나 만들면 화력 발전소 10개, 20개는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새로운 산업 중 스마트니 바이오니 하는 것들은 애초에 고용을 늘리는 것과 크게 관련없는 업종으로 보이고
    기존의 제조업을 대체할만한 전기차 산업 같은 것들은 들어가는 부품 수만 봐도 현재의 자동차 산업보다 인력이 훨씬 덜 필요 할 것 같아보입니다.
    케인즈는 2010년이 되면 주당 20시간만 일하면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는데 지금 상황을 보면 강제로 20시간만 일하게 해야 실업문제가 해결될 것 같아요.
    근데 이번 노동개혁 내용 중에 주당 60시간으로 법정근로시간을 늘리자는 안이 포함되어 있다죠.
    현실이 시궁창입니다.
    이러사우호
    원자력 발전소 하나 만들면 화력 발전소 두개에서 4개 사이로 없어집니다! 태클
    마르코폴로
    역시 사람은 배우고 봐야 하는군요!!!
    ORIFixation
    다시 러다이트 운동이라도 벌어지려나요..
    ORIFixation
    특이점이라도 와야 해결될거 같은 문제네요 흐흐
    최근에 혼자서 쓰고 싶던 글인데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전에는 최신의 기술이다 하면, 뭐가 스마트하고 삶의 편의가 좋아지는 지를 봤는데,
    실상은 정보화로 인해 한 사람의 업무 처리량이 늘어난 만큼, 정보화가 현재의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가를 보게 되더라구요.

    실 예로
    저는 테슬라가 만드는 전기자동차보다 현재의 자동차 공장 클러스터의 고용창출 효과가 훨씬 더 높다고 생각을 하는데,
    IoT 스마트로봇 무인자동차 등이 발전 하면, 인간의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거라 봐요.

    죽창을 들어서 기술을 가지고 있... 더 보기
    최근에 혼자서 쓰고 싶던 글인데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전에는 최신의 기술이다 하면, 뭐가 스마트하고 삶의 편의가 좋아지는 지를 봤는데,
    실상은 정보화로 인해 한 사람의 업무 처리량이 늘어난 만큼, 정보화가 현재의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가를 보게 되더라구요.

    실 예로
    저는 테슬라가 만드는 전기자동차보다 현재의 자동차 공장 클러스터의 고용창출 효과가 훨씬 더 높다고 생각을 하는데,
    IoT 스마트로봇 무인자동차 등이 발전 하면, 인간의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거라 봐요.

    죽창을 들어서 기술을 가지고 있는 대기업의 부를 강제 분배한다면, 2차 산업보다 몸집이 가벼운 IT회사이니 법인이 쉽게 국적을 변경할 수 있고,
    그렇다고 이대로 기술로 인해 소수의 부가 집중되자니, 일반 서민의 삶은 더더욱 힘들어지죠.

    어차피 한국에 사는만큼, 이러한 효과는 가속화될것으로 보이고,
    무리하게 40대에 자영업이나 창업 대신 알바하며 삶을 살고 싶은데, 기술이 발전하면 이마저도 쉽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IT니 공유경제 같이 고용창출을 저해할 수 있는 신기술 혹은 신이념과 노동상황을 연계시킨 고찰이 필요한데,
    쉽지는 않아 보이네요. 무엇이 정답일까요?
    절름발이이리
    http://pgr21.com/?b=8&n=56182
    예전에 pgr에 썼던 글입니당
    눈부심
    제가 이런 주제에 관심이 아주 많아요. 바로 자동화때문에라도 복지 외엔 답이 없겠더라고요. 그래서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야당이 치열하게 고민해야 하는데 다들 뭐하는지 모르겠어요..
    자동화된 일본 스시식당의 모습. https://www.youtube.com/watch?v=gXdvY0vs1b8
    Restaurant Robots and Food 'Bullet Trains'

    헐.. 벌써 빨래 개는 로봇도 나왔군요. 아직은 빨래 하나 개는 데 5-10분 걸리지만 2017년에 시장에 상품을 내놓겠다는 일본의 포부.
    https://www.youtube.com/watch?v=7apeh4tjsgI
    A demonstration of “Laundroid,” the world’s first automated laundry-folding robot
    부의 재분배만 확실 하다면 고용없는 성장도 나쁘지 않을 것 같은데... 로봇을 통한 엄청난 생산 증가와 함께 이제 인류는 일 안 하고도 먹고 살 수 있다!
    바꿔 말하면 인류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기술의 발전이 아니라 정치가 아닐지...
    눈부심
    스티븐 호킹이 그랬어요. 인간이 두려워해야 할 것은 로봇이 아니라 자본주의..
    pointzz
    딥러닝의 발전으로 기계의 보고/듣는 (또는 패턴을 인식 하는) 수준은 인간에 필적 하는 상황까지 왔습니다.
    사실 현재 보고/듣는 실력은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고 봅니다. 다만, 사람이 아직 우위에 있는 이유는 지식(Context)을 디지털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음성의 극히 일부분만을 기계와 사람에게 들려주었을 때에 어떤 발음의 일부분인지 기계는 맞출껄요?)
    전후 인과 관계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기계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같은 확률로 대하기 때문에 사람보다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지식을... 더 보기
    딥러닝의 발전으로 기계의 보고/듣는 (또는 패턴을 인식 하는) 수준은 인간에 필적 하는 상황까지 왔습니다.
    사실 현재 보고/듣는 실력은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고 봅니다. 다만, 사람이 아직 우위에 있는 이유는 지식(Context)을 디지털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음성의 극히 일부분만을 기계와 사람에게 들려주었을 때에 어떤 발음의 일부분인지 기계는 맞출껄요?)
    전후 인과 관계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기계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같은 확률로 대하기 때문에 사람보다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지식을 표현/처리 할 수 있는 순간이 온다면, 진정한 인공지능(Strong AI)의 출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걱정하시는 일이 실제 일어날 것이라고 봅니다.
    (사실 이미 단순한 업무들은 계속해서 대체 되어 오고 있죠. 점점 복잡한 일들이 대체 될 겁니다...)
    J_Square
    계속 모든 것이 생각보다 빨리 닥쳐올지 모른다는 생각이 듭니다.
    우리 세대는 진짜 징검다리의 세대로 상징될지도 몰라요. 멸망의 세대가 될지도…
    삼공파일
    이 분야에 대해서 요즘 티비에 많이 나오는 김대식 교수님이 상당히 깊이가 있으시더라고요. 링크 걸어도 괜찮은지 모르겠는데...
    http://www.dailymotion.com/embed/video/x35dyu0?syndication=212325
    혹시 관심 있는 분들 보세요.
    realise
    저는 기술 발전의 결과가 전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더군요. 생산성의 비약적인 향상과 그를 전혀 따라가지 못 하는 소비로 인한 국가간 전쟁. 극소수의 부의 집중. 급진적인 사회변화. 생산성의 향상으로 인한 이득을 기득권은 절대 놓치지 않을 것이고. 비기득권의 상대적 허탈감은 폭력으로 터져 나올 것이고... 물론 생산성의 향상에 따른 이득을 모두가 누리는 유토피아가 올 수도 있기야 하겠지만 역사적으로도 그런 사례가 없고, 사람들이 사는 세상인 이상 유토피아는 말 그대로 판타지적 상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구요. 사실 ... 더 보기
    저는 기술 발전의 결과가 전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더군요. 생산성의 비약적인 향상과 그를 전혀 따라가지 못 하는 소비로 인한 국가간 전쟁. 극소수의 부의 집중. 급진적인 사회변화. 생산성의 향상으로 인한 이득을 기득권은 절대 놓치지 않을 것이고. 비기득권의 상대적 허탈감은 폭력으로 터져 나올 것이고... 물론 생산성의 향상에 따른 이득을 모두가 누리는 유토피아가 올 수도 있기야 하겠지만 역사적으로도 그런 사례가 없고, 사람들이 사는 세상인 이상 유토피아는 말 그대로 판타지적 상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구요. 사실 제가 죽을 때까지 폭력적 죽음과는 전혀 무관하게 평화롭게 살다 죽을 거다 라는 사실을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막상 한국역사만 돌아봐도 100년 남짓한 기간에 많은 전쟁이 일어났고 제 윗대들은 직접 겪었고 말이죠. 사실 한국 지정학적 위치도 좀 지나치게 위험한게, 제 후손들이 과연 평화롭게 살 수 있을까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라. 그런데 과연 그 특이점이라는 게 올까요 흠...
    결국 계급투쟁과 기본소득이거나, 다수의 멸종이거나. 그렇게 흘러가겠죠.
    혹은 극단적으로 인간의 위치가 다시 재계급화 될수도 있고요. 서비스업종도 단계가 세분화되고, 더 몰인간적인 서비스가 \'당연하게\' 전환되는 가능성이 있고요.
    아주 거칠게 뭉뚱그려 말하긴 한겁니다만..
    본문같은 사회에서도 결국 \'로봇\'을 만드는 곳은 존재할거고, 그래서 정말 소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노동자로 남겠지만 그쯤되면 자본주의가 비효율적이 되는 상황이올거라..
    그 상황에서 자본의 헤게모니를 지닌 사람들이 과연 차별이 사라지는 것을 받아들일수있을까 하면 오히려 더 비극적일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피 몇 방울로는 끝나지 않을거에요.
    이러사우호
    제가 하는 분야도 뭐든지 자동화입니다. 공장 노동자들, A/S 기사들 밥줄이 위험해요.
    개인적으로는 서비스업도 굉장히 빠르게 인공지능으로 대체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IBM이녀석들. Google이녀석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636 댓글잠금 IT/컴퓨터소라넷은 사라질 수 있을까? 110 Beer Inside 15/11/25 10289 0
    1622 IT/컴퓨터20만원대 LG모니터 h/w 캘리브레이션 논란 18 Toby 15/11/24 22115 0
    1606 IT/컴퓨터노트4 9 헬리제의우울 15/11/21 5515 0
    1590 IT/컴퓨터애플, 스마트폰 시장 수익 점유율 94% 달성 27 Leeka 15/11/18 6557 0
    1581 IT/컴퓨터지킬+깃허브+마크다운=블로그 18 damianhwang 15/11/18 16004 0
    1576 IT/컴퓨터웹 프론트엔드(front-end)란? 20 Toby 15/11/17 8710 8
    1556 IT/컴퓨터최근 IT관련 소식 몇 가지 소개. 13 April_fool 15/11/13 6887 0
    1493 IT/컴퓨터테슬라의 엘론 머스크, 인간들이 말이양 말이양 8 눈부심 15/11/08 9565 0
    1473 IT/컴퓨터엥? 딥러닝 그거 바보 아니냐? 38 Azurespace 15/11/05 17601 7
    1466 IT/컴퓨터트위터 홍차봇 계정을 만들었습니다. 5 Toby 15/11/05 10172 2
    1408 IT/컴퓨터리뉴얼 프로젝트 오픈을 완료했습니다! 2 쉬군 15/11/01 7288 1
    1398 IT/컴퓨터애플, 삼성, 엘지의 3분기 스마트폰 실적 7 Leeka 15/10/31 8566 0
    1364 IT/컴퓨터애플, 1년간 매출 265조. 영업이익 78조 달성 6 Leeka 15/10/28 10316 0
    1331 IT/컴퓨터아이폰6s의 예상 판매량이 4500만대~5100만대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4 Leeka 15/10/24 8924 0
    1326 IT/컴퓨터아이폰 6s가 출시 되었습니다. 11 Leeka 15/10/23 8777 0
    1323 IT/컴퓨터인공지능, 고용 없는 성장 19 kpark 15/10/23 11721 1
    1292 IT/컴퓨터너의 잘못이 아니었다 7 헬리제의우울 15/10/19 7279 0
    1272 IT/컴퓨터간략하게 살펴보는 웹디자인의 역사 18 Toby 15/10/16 11383 13
    1217 IT/컴퓨터엘지, 삼성, 애플의 패블릿 대결과 가격 6 Leeka 15/10/10 8548 0
    1210 IT/컴퓨터아이폰 6s, 6s plus의 한국발매 날짜 및 가격이 나왔습니다. 17 Tikas 15/10/09 7307 0
    1197 IT/컴퓨터[TED] 페이페이 리: 어떻게 컴퓨터가 사진을 이해하게 되었는가 2 Toby 15/10/07 9767 3
    1192 IT/컴퓨터통신비가 줄었다는 방통위의 현실 2 Leeka 15/10/07 7588 0
    1187 IT/컴퓨터태블릿 & 노트북 종결자. 마소의 서피스 북이 공개되었습니다 17 Leeka 15/10/07 10239 0
    1144 IT/컴퓨터LG전자 모바일 2분기 영업이익 2억의 진실 5 Leeka 15/10/01 8018 0
    1141 IT/컴퓨터하이 방통위~ SKT가 영업정지기간에 이벤트를 합니다. 6 Leeka 15/09/30 8131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