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 15/10/23 14:02:36수정됨 |
Name | kpark |
Subject | 인공지능, 고용 없는 성장 |
작성자가 본문을 삭제한 글입니다. 1
이 게시판에 등록된 kpark님의 최근 게시물
|
자동화도 자동화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서 산업 자체가 구축화되는 영향이 크다고 봅니다.
원자력 발전소 하나 만들면 화력 발전소 10개, 20개는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새로운 산업 중 스마트니 바이오니 하는 것들은 애초에 고용을 늘리는 것과 크게 관련없는 업종으로 보이고
기존의 제조업을 대체할만한 전기차 산업 같은 것들은 들어가는 부품 수만 봐도 현재의 자동차 산업보다 인력이 훨씬 덜 필요 할 것 같아보입니다.
케인즈는 2010년이 되면 주당 20시간만 일하면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는데 지금 상황을 보면 강제로 20시간... 더 보기
원자력 발전소 하나 만들면 화력 발전소 10개, 20개는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새로운 산업 중 스마트니 바이오니 하는 것들은 애초에 고용을 늘리는 것과 크게 관련없는 업종으로 보이고
기존의 제조업을 대체할만한 전기차 산업 같은 것들은 들어가는 부품 수만 봐도 현재의 자동차 산업보다 인력이 훨씬 덜 필요 할 것 같아보입니다.
케인즈는 2010년이 되면 주당 20시간만 일하면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는데 지금 상황을 보면 강제로 20시간... 더 보기
자동화도 자동화지만 기술 발전에 따라서 산업 자체가 구축화되는 영향이 크다고 봅니다.
원자력 발전소 하나 만들면 화력 발전소 10개, 20개는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새로운 산업 중 스마트니 바이오니 하는 것들은 애초에 고용을 늘리는 것과 크게 관련없는 업종으로 보이고
기존의 제조업을 대체할만한 전기차 산업 같은 것들은 들어가는 부품 수만 봐도 현재의 자동차 산업보다 인력이 훨씬 덜 필요 할 것 같아보입니다.
케인즈는 2010년이 되면 주당 20시간만 일하면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는데 지금 상황을 보면 강제로 20시간만 일하게 해야 실업문제가 해결될 것 같아요.
근데 이번 노동개혁 내용 중에 주당 60시간으로 법정근로시간을 늘리자는 안이 포함되어 있다죠.
현실이 시궁창입니다.
원자력 발전소 하나 만들면 화력 발전소 10개, 20개는 사라지는 것처럼 말이에요.
새로운 산업 중 스마트니 바이오니 하는 것들은 애초에 고용을 늘리는 것과 크게 관련없는 업종으로 보이고
기존의 제조업을 대체할만한 전기차 산업 같은 것들은 들어가는 부품 수만 봐도 현재의 자동차 산업보다 인력이 훨씬 덜 필요 할 것 같아보입니다.
케인즈는 2010년이 되면 주당 20시간만 일하면 될 것 같다고 예상했다는데 지금 상황을 보면 강제로 20시간만 일하게 해야 실업문제가 해결될 것 같아요.
근데 이번 노동개혁 내용 중에 주당 60시간으로 법정근로시간을 늘리자는 안이 포함되어 있다죠.
현실이 시궁창입니다.
최근에 혼자서 쓰고 싶던 글인데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전에는 최신의 기술이다 하면, 뭐가 스마트하고 삶의 편의가 좋아지는 지를 봤는데,
실상은 정보화로 인해 한 사람의 업무 처리량이 늘어난 만큼, 정보화가 현재의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가를 보게 되더라구요.
실 예로
저는 테슬라가 만드는 전기자동차보다 현재의 자동차 공장 클러스터의 고용창출 효과가 훨씬 더 높다고 생각을 하는데,
IoT 스마트로봇 무인자동차 등이 발전 하면, 인간의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거라 봐요.
죽창을 들어서 기술을 가지고 있... 더 보기
예전에는 최신의 기술이다 하면, 뭐가 스마트하고 삶의 편의가 좋아지는 지를 봤는데,
실상은 정보화로 인해 한 사람의 업무 처리량이 늘어난 만큼, 정보화가 현재의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가를 보게 되더라구요.
실 예로
저는 테슬라가 만드는 전기자동차보다 현재의 자동차 공장 클러스터의 고용창출 효과가 훨씬 더 높다고 생각을 하는데,
IoT 스마트로봇 무인자동차 등이 발전 하면, 인간의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거라 봐요.
죽창을 들어서 기술을 가지고 있... 더 보기
최근에 혼자서 쓰고 싶던 글인데 정리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예전에는 최신의 기술이다 하면, 뭐가 스마트하고 삶의 편의가 좋아지는 지를 봤는데,
실상은 정보화로 인해 한 사람의 업무 처리량이 늘어난 만큼, 정보화가 현재의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가를 보게 되더라구요.
실 예로
저는 테슬라가 만드는 전기자동차보다 현재의 자동차 공장 클러스터의 고용창출 효과가 훨씬 더 높다고 생각을 하는데,
IoT 스마트로봇 무인자동차 등이 발전 하면, 인간의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거라 봐요.
죽창을 들어서 기술을 가지고 있는 대기업의 부를 강제 분배한다면, 2차 산업보다 몸집이 가벼운 IT회사이니 법인이 쉽게 국적을 변경할 수 있고,
그렇다고 이대로 기술로 인해 소수의 부가 집중되자니, 일반 서민의 삶은 더더욱 힘들어지죠.
어차피 한국에 사는만큼, 이러한 효과는 가속화될것으로 보이고,
무리하게 40대에 자영업이나 창업 대신 알바하며 삶을 살고 싶은데, 기술이 발전하면 이마저도 쉽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IT니 공유경제 같이 고용창출을 저해할 수 있는 신기술 혹은 신이념과 노동상황을 연계시킨 고찰이 필요한데,
쉽지는 않아 보이네요. 무엇이 정답일까요?
예전에는 최신의 기술이다 하면, 뭐가 스마트하고 삶의 편의가 좋아지는 지를 봤는데,
실상은 정보화로 인해 한 사람의 업무 처리량이 늘어난 만큼, 정보화가 현재의 실업률 상승에 영향을 주는게 아닌가를 보게 되더라구요.
실 예로
저는 테슬라가 만드는 전기자동차보다 현재의 자동차 공장 클러스터의 고용창출 효과가 훨씬 더 높다고 생각을 하는데,
IoT 스마트로봇 무인자동차 등이 발전 하면, 인간의 일자리는 점점 줄어들거라 봐요.
죽창을 들어서 기술을 가지고 있는 대기업의 부를 강제 분배한다면, 2차 산업보다 몸집이 가벼운 IT회사이니 법인이 쉽게 국적을 변경할 수 있고,
그렇다고 이대로 기술로 인해 소수의 부가 집중되자니, 일반 서민의 삶은 더더욱 힘들어지죠.
어차피 한국에 사는만큼, 이러한 효과는 가속화될것으로 보이고,
무리하게 40대에 자영업이나 창업 대신 알바하며 삶을 살고 싶은데, 기술이 발전하면 이마저도 쉽지 않을지도 모릅니다.
IT니 공유경제 같이 고용창출을 저해할 수 있는 신기술 혹은 신이념과 노동상황을 연계시킨 고찰이 필요한데,
쉽지는 않아 보이네요. 무엇이 정답일까요?
제가 이런 주제에 관심이 아주 많아요. 바로 자동화때문에라도 복지 외엔 답이 없겠더라고요. 그래서 먹고사는 문제에 대해 야당이 치열하게 고민해야 하는데 다들 뭐하는지 모르겠어요..
자동화된 일본 스시식당의 모습. https://www.youtube.com/watch?v=gXdvY0vs1b8
헐.. 벌써 빨래 개는 로봇도 나왔군요. 아직은 빨래 하나 개는 데 5-10분 걸리지만 2017년에 시장에 상품을 내놓겠다는 일본의 포부.
https://www.youtube.com/watch?v=7apeh4tjsgI
자동화된 일본 스시식당의 모습. https://www.youtube.com/watch?v=gXdvY0vs1b8
Restaurant Robots and Food 'Bullet Trains'
헐.. 벌써 빨래 개는 로봇도 나왔군요. 아직은 빨래 하나 개는 데 5-10분 걸리지만 2017년에 시장에 상품을 내놓겠다는 일본의 포부.
https://www.youtube.com/watch?v=7apeh4tjsgI
A demonstration of “Laundroid,” the world’s first automated laundry-folding robot
딥러닝의 발전으로 기계의 보고/듣는 (또는 패턴을 인식 하는) 수준은 인간에 필적 하는 상황까지 왔습니다.
사실 현재 보고/듣는 실력은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고 봅니다. 다만, 사람이 아직 우위에 있는 이유는 지식(Context)을 디지털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음성의 극히 일부분만을 기계와 사람에게 들려주었을 때에 어떤 발음의 일부분인지 기계는 맞출껄요?)
전후 인과 관계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기계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같은 확률로 대하기 때문에 사람보다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지식을... 더 보기
사실 현재 보고/듣는 실력은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고 봅니다. 다만, 사람이 아직 우위에 있는 이유는 지식(Context)을 디지털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음성의 극히 일부분만을 기계와 사람에게 들려주었을 때에 어떤 발음의 일부분인지 기계는 맞출껄요?)
전후 인과 관계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기계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같은 확률로 대하기 때문에 사람보다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지식을... 더 보기
딥러닝의 발전으로 기계의 보고/듣는 (또는 패턴을 인식 하는) 수준은 인간에 필적 하는 상황까지 왔습니다.
사실 현재 보고/듣는 실력은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고 봅니다. 다만, 사람이 아직 우위에 있는 이유는 지식(Context)을 디지털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음성의 극히 일부분만을 기계와 사람에게 들려주었을 때에 어떤 발음의 일부분인지 기계는 맞출껄요?)
전후 인과 관계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기계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같은 확률로 대하기 때문에 사람보다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지식을 표현/처리 할 수 있는 순간이 온다면, 진정한 인공지능(Strong AI)의 출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걱정하시는 일이 실제 일어날 것이라고 봅니다.
(사실 이미 단순한 업무들은 계속해서 대체 되어 오고 있죠. 점점 복잡한 일들이 대체 될 겁니다...)
사실 현재 보고/듣는 실력은 사람보다 더 뛰어나다고 봅니다. 다만, 사람이 아직 우위에 있는 이유는 지식(Context)을 디지털로 표현하지 못하기 때문이죠...
(예를 들어 음성의 극히 일부분만을 기계와 사람에게 들려주었을 때에 어떤 발음의 일부분인지 기계는 맞출껄요?)
전후 인과 관계 등에 대한 지식이 없는 상태에서 기계는 모든 경우에 대해서 같은 확률로 대하기 때문에 사람보다 떨어지는 것이죠...
그래서 지식을 표현/처리 할 수 있는 순간이 온다면, 진정한 인공지능(Strong AI)의 출현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걱정하시는 일이 실제 일어날 것이라고 봅니다.
(사실 이미 단순한 업무들은 계속해서 대체 되어 오고 있죠. 점점 복잡한 일들이 대체 될 겁니다...)
이 분야에 대해서 요즘 티비에 많이 나오는 김대식 교수님이 상당히 깊이가 있으시더라고요. 링크 걸어도 괜찮은지 모르겠는데...
http://www.dailymotion.com/embed/video/x35dyu0?syndication=212325
혹시 관심 있는 분들 보세요.
http://www.dailymotion.com/embed/video/x35dyu0?syndication=212325
혹시 관심 있는 분들 보세요.
저는 기술 발전의 결과가 전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더군요. 생산성의 비약적인 향상과 그를 전혀 따라가지 못 하는 소비로 인한 국가간 전쟁. 극소수의 부의 집중. 급진적인 사회변화. 생산성의 향상으로 인한 이득을 기득권은 절대 놓치지 않을 것이고. 비기득권의 상대적 허탈감은 폭력으로 터져 나올 것이고... 물론 생산성의 향상에 따른 이득을 모두가 누리는 유토피아가 올 수도 있기야 하겠지만 역사적으로도 그런 사례가 없고, 사람들이 사는 세상인 이상 유토피아는 말 그대로 판타지적 상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구요. 사실 ... 더 보기
저는 기술 발전의 결과가 전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더군요. 생산성의 비약적인 향상과 그를 전혀 따라가지 못 하는 소비로 인한 국가간 전쟁. 극소수의 부의 집중. 급진적인 사회변화. 생산성의 향상으로 인한 이득을 기득권은 절대 놓치지 않을 것이고. 비기득권의 상대적 허탈감은 폭력으로 터져 나올 것이고... 물론 생산성의 향상에 따른 이득을 모두가 누리는 유토피아가 올 수도 있기야 하겠지만 역사적으로도 그런 사례가 없고, 사람들이 사는 세상인 이상 유토피아는 말 그대로 판타지적 상상이 아닐까 싶은 생각도 들구요. 사실 제가 죽을 때까지 폭력적 죽음과는 전혀 무관하게 평화롭게 살다 죽을 거다 라는 사실을 너무 당연하게 생각하고 있었는데. 막상 한국역사만 돌아봐도 100년 남짓한 기간에 많은 전쟁이 일어났고 제 윗대들은 직접 겪었고 말이죠. 사실 한국 지정학적 위치도 좀 지나치게 위험한게, 제 후손들이 과연 평화롭게 살 수 있을까에 대해서도 회의적이라. 그런데 과연 그 특이점이라는 게 올까요 흠...
결국 계급투쟁과 기본소득이거나, 다수의 멸종이거나. 그렇게 흘러가겠죠.
혹은 극단적으로 인간의 위치가 다시 재계급화 될수도 있고요. 서비스업종도 단계가 세분화되고, 더 몰인간적인 서비스가 \'당연하게\' 전환되는 가능성이 있고요.
아주 거칠게 뭉뚱그려 말하긴 한겁니다만..
본문같은 사회에서도 결국 \'로봇\'을 만드는 곳은 존재할거고, 그래서 정말 소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노동자로 남겠지만 그쯤되면 자본주의가 비효율적이 되는 상황이올거라..
그 상황에서 자본의 헤게모니를 지닌 사람들이 과연 차별이 사라지는 것을 받아들일수있을까 하면 오히려 더 비극적일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피 몇 방울로는 끝나지 않을거에요.
혹은 극단적으로 인간의 위치가 다시 재계급화 될수도 있고요. 서비스업종도 단계가 세분화되고, 더 몰인간적인 서비스가 \'당연하게\' 전환되는 가능성이 있고요.
아주 거칠게 뭉뚱그려 말하긴 한겁니다만..
본문같은 사회에서도 결국 \'로봇\'을 만드는 곳은 존재할거고, 그래서 정말 소수의 사람들은 여전히 노동자로 남겠지만 그쯤되면 자본주의가 비효율적이 되는 상황이올거라..
그 상황에서 자본의 헤게모니를 지닌 사람들이 과연 차별이 사라지는 것을 받아들일수있을까 하면 오히려 더 비극적일거라는 생각이 듭니다. 피 몇 방울로는 끝나지 않을거에요.
목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