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0/21 11:41:07
Name   MANAGYST
File #1   Commodities___what_china's_rebalancing_means_for_commodities.pdf (692.1 KB), Download : 60
Subject   내가 낸 축의금은 돌려받을 수 있나?(Opex Commodity)


지난주 중국의 수출입 데이터가 또 한번 시장의 관심을 받는 모습이었습니다.
반면, 원자재 가격은 문제가 되었던 글렌코어의 감산 발표 이후 바닥권에서 비교적 강하게 반등하고 있네요.
원자재 중에서 오늘은 Capex commodity와 Opex Commodity의 차이에 대해서 설명을 해보겠습니다.

< Capex vs. Opex >
Capex 는 Capital expenditure의 약자이고, Opex는 Operation Expenditure의 약자입니다.
우리말로는 자본지출과 운영비용정도로 해석이 가능할 것 같은데, 감이 잘 안옵니다.

예를 들어보죠. 최근에 주변에서 결혼을 많이 하는데요.
결혼하기 전에는 축의금을 낼때마다 (그러면 안되는데)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내가 돌려 받을 수 있는 돈인가?"

이 질문은 회계상으로는 비용으로 처리를 해야 하는지 아니면, 투자로 보고, 일종의 자산으로 인식해도 되는지에 대한 문제가 되겠습니다.

(친해서) 만약, 돌려받을 수 있는 돈이라면, Capex 투자가 되겠습니다.
그냥 5만원이 비용으로 떨어지는 것이 아니라, 내가 받을 돈(?)이라고 딱지가 붙어서 자본계정으로 들어가거든요.

반면에 결혼한 이후에는 돌려받기 어려워집니다. (재혼을 하지 않는다면...)
그래서 이럴 경우 5만원은 바로 I/S로 가서 비용으로 처리됩니다.

정리하면,
Capex는 미래를 위한 투자, Opex는 현재를 위한 소비 라고 할 수 있겠네요.
그리고 Capex는 나이 어릴때 많은 반면, 나이가 들면 Opex가 많아진다는 겁니다.
이건 나라나 기업도 비슷해요. 처음에는 나중에 돌려받기 위한 투자를 많이 하지만,
시간이 지나서 성장을 할 수로 비용으로 처리될 수 밖에 없는 Opex가 많아진다는 것입니다.

그런 의미에서 최근에 나왔던 골드만삭스의 레포트 제목을 하나 소개합니다.

and China demand rebalancing
– where we see that a shift from “Capex” towards “Opex” consumption has started

네.. 중국 이야기네요. 맨날 나오는 이야기지만, 중국의 성장의 축이 투자에서 소비로 바뀌었다는 겁니다.
그러니, 투자에 필요한 원자재(Capex commodity)보다는 소비에 필요한 원자재(Opex Commodity)의 성과가 좋을 수 밖에 없고,
이제 막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는 내용입니다. 앞의 예와 연결해보면, 중국이 결혼을 했다는 거죠.

그래서 실제로 Opex 관련 원자재(가솔린, 알루미늄, 커피 등등)은 올해 강한 수요를 보여주고 있지만,
Capex 관련 원자재(시멘트, 석탄, 철강)의 수요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습니다.


p.s1 혹시 필요하신 분을 위해 황금양말의 레포트를 첨부해봅니다.
p.s2 저작권에 문제가 있다면, 이야기해주세요.



3


    소노다 우미
    그렇다면 중국의 성장추세는 다소 둔화되고, 중국경제가 완만한 성장기에 들어섰다.. 라고 추측할 가능성이 조금이나마 올라가겠군요?
    위의 리포트는 받아는 놨지만 1-2주는 있어야 읽을 시간이 날 것 같습니다..
    스트로
    저는 결혼 생각이 없습니다만 그럼 제가 넣은 축의금들은 현재 그 지인들과의 관계를 위한 Opex로 처리되는 건가요?
    마르코폴로
    잘 읽었습니다. 중국현실을 축의금에 비유하신게 재밌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977 1
    15663 일상/생각등대 4 + Mandarin 25/08/12 167 1
    15662 요리/음식맥주랑 꿀조합 발견!!! 12 + 송꽃분 25/08/11 598 1
    15661 생활체육조깅에 대해서 26 Omnic 25/08/11 557 6
    15660 영화F1 더 무비의 스토리가 그렇게 나온 이유 2 Leeka 25/08/09 434 2
    15659 의료/건강디지털 치료제는 과연 효과가 있을까? 2 azureb 25/08/09 453 3
    15658 정치이번 주 발의/표결 주요 이슈 법안 요약 9 후천적평발 25/08/08 573 5
    15657 일상/생각댄스 학원 정기 공연의 주인공은 누구여야 하는가? 8 메존일각 25/08/07 683 7
    15656 꿀팁/강좌한국 대학생도 구글 잼민이 pro 12개월 무료가 됩니다. 10 세모셔츠수세미떡 25/08/07 788 1
    15655 문화/예술서구권 애니매이션도 고난의 행군이었나봅니다. 19 닭장군 25/08/07 895 0
    15654 오프모임8/10 일요일 저녁 F1더무비 영화 같이봐요 22 다람쥐 25/08/06 735 1
    15653 일상/생각그게 뭔데 씹덕아 2 사슴도치 25/08/06 633 9
    15652 기타요즘 보고 있는 예능(18) 김치찌개 25/08/06 513 0
    15651 경제주식에 대한 과세체계와 주식시장의 성격 5 택시기사8212 25/08/05 586 18
    15650 사회교통체계로 보는 경로의존성 - 2 1 루루얍 25/08/05 387 7
    15649 문화/예술OTT 서비스별 이용 후 감상 8 당근매니아 25/08/04 757 2
    15648 영화승리호 간단한 추가 감상 1 닭장군 25/08/03 561 0
    15647 도서/문학『편안함의 습격』- 절대반지의 운반자는 왜 호빗이어야 했는가 10 kaestro 25/08/02 588 7
    15646 일상/생각돈과 아파트와 첨밀밀과 인스타 공개설정과 법철학 사이에. 혹은 그 위에 6 골든햄스 25/07/31 886 11
    15645 일상/생각사랑이가 죽었다 10 kaestro 25/07/27 1300 16
    15644 영화소마이 신지의 영화 '이사'를 보고 azureb 25/07/27 736 5
    15643 음악[팝송] 저스틴 비버 새 앨범 "SWAG" 김치찌개 25/07/27 258 0
    15642 일상/생각취향이시겠지만 딥하게 이야기 좀 해봅시다 20 호미밭의파스꾼 25/07/25 1793 11
    15641 일상/생각갓 태어난 피해자는 악마와 다름이 없다 17 골든햄스 25/07/25 1556 11
    15640 일상/생각에너지젤 나눔 20 dolmusa 25/07/24 795 1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