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10/06 01:14:14
Name   삼공파일
File #1   1.JPG (105.0 KB), Download : 12
File #2   2.JPG (62.3 KB), Download : 8
Subject   중국의 푸른 쑥에서 찾아낸 말라리아 치료제 [청호소青蒿素]




2015년도 노벨 생리학/의학 부문 수상자가 발표되었는데 중국이 처음으로 과학 부문에서 수상했습니다. 그것도 여성 과학자가 말이죠. 屠呦呦 Tu Youyou라는 85세의 의학자로 2011년에 이미 노벨상의 전조라고 볼 수도 있는 Lasker 상을 수상했다고 합니다.

새로운 말라리아 치료제를 개발에 공헌한 것을 인정 받은 것으로 사상충증 치료제를 개발한 서양인(?) 두 명과 공동 수상입니다. 마르코 폴로님이 쓰신 화타가 기생충 감염을 진단한 일화와도 연관이 있어서 재미있네요. 개인적으로는 학부 때 관심 있었던 유기화학, 의약화학 분야라 더 인상 깊기도 하고요. 매우 흥미로워서 이것 저것 검색하다가 2011년에 Nature medicine에 직접 투고한 commentary를 읽고 요약해봅니다.

http://www.nature.com/nm/journal/v17/n10/full/nm.2471.html

말라리아는 인류 최대의 적이라는 질병입니다. 지금도 아프리카에서 가장 많은 사망의 원인이 되고 있고 동남아시아, 북한에서도 심각한 상황입니다. 선진국에서 말라리아의 퇴치를 위해서 열대 의학이라는 개념을 창시하고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실패를 거듭합니다. 50년 대에 DDT 사용이 금지된 이후 모기 개체 수가 급격이 증가되었고 말라리아도 덩달아 많아졌습니다. 말라리아는 원래 chloroquine이라는 약제를 사용하여 치료했지만, 곧 chloroquine에 내성을 가진 말라리아가 출현하면서 인류의 수 천년 난제는 해결이 점차 요원해졌습니다. (한국은 chloroquine 내성이 가장 심한 나라 중 하나입니다.)

요요 투는 55년에 의대를 졸업하고 62년까지 트레이닝을 받고 나와서 중국 약초 의학 연구원에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67년에 연구원에서 말라리아 치료제 개발을 위한 Project 523을 시작했고 요요 투가 책임자가 됩니다. 중국 약초에서 추출물을 뽑아내 말라리아 치료제를 만들겠다는 구상으로 막연한 출발을 한 것이죠. 처음에는 2,000 종류 이상의 약초에서 추출물을 뽑아내 640개 정도에서 항말라리아 효과를 봤다고 합니다. 다시 200 종류의 약초에서 380개의 추출물로 쥐 모델 실험을 시작했는데 역시나 잘 안됐다고 하는군요. 그러던 와중에 Artemisia annu L. 이라는 식물에서 뽑아낸 추출물이 상당한 항말라리아 효과를 보이면서 연구에 터닝 포인트가 되었습니다.

그렇지만 이 효과에 재연성reproducibility이 떨어지면서 이 약초에 대한 문헌을 검색하기로 합니다. 찾던 중에, 딱 하나 동진 시대에 연금술사(?)이자 의사였던 갈홍Ge Hong이 쓴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에 기록이 있었습니다. (도교에서 신으로 모셔지는 사람 중 하나라고 합니다.) “청호青蒿를 한 주먹을 물 2리터에 잠기게 하여 달인 다음, 그 물을 모두 마시게 하라” 이 아이디어에 착상한 연구팀은 추출물을 끓여서 활성물을 파괴시킨 뒤에 식혀서 항말라리아 효과를 확인합니다. 그런데 놀랍게도 효과가 훨씬 증가합니다. 결국 71년에 쥐와 원숭이 모델에서 실험을 마치고, 새로운 말라리아 치료제를 내놓게 됩니다.

그런데 70년대 중국은 문화 혁명 중이라서 임상 시험을 할 형편이 아니었습니다. 그래서 어느 훌륭한 의학자들의 일화에도 있듯이 연구팀과 요요 투는 자기들이 직접 투약하여 인체 안전성 시험을 통과한 셈칩니다. 그리고 하이난 지방으로 가서 직접 환자들에게 임상 시험을 시작합니다. Chloroquine이 듣지 않는 환자들에서도 뛰어난 치료 효과를 보였고 이 결과에 힘입어 본격적으로 분리와 정제를 연구합니다.

72년에 추출물의 분자 구조를 밝히고 중국어로 청호소青蒿素, 영어로는 artemisinin이라는 이름을 붙입니다. (여기서부터 외계어를 좀 쓰겠습니다.) 282Da 짜리 작은 분자로 colorless crystalline 인 이 물질은 sesquiterpene lactone입니다. Sesqui-는 1.5배라는 뜻의 라틴어이고 terpene은 isoprene을 기본 단위로 하는 분자를 뜻합니다. 친숙한 예를 들면 Steroid는 생체 내에서 triterpene인 squalene으로부터 합성되는 물질이죠. 비슷하게 sesquiterpene이 lactone ring을 형성한 것이죠. 그런데 이 분자 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peroxide bridge입니다. 이게 바로 약리 작용의 핵심이 된다고 하는군요. 말라리아의 원인인 Plasmodium와 같은 원생생물을 타겟으로 할 때 oxidative damage를 주는 것은 기본적으로 알려진 전략입니다. 그래서 부작용도 심한 것이고요. 자연계에서 안정적인 형태로 peroxide bridge가 발견되는 경우가 흔하지 않은데다가 유기화학적 관점으로 봤을 때 이렇게 불안정해 보이는 물질을 합성하려는 상상을 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그리하여 79년에는 중국으로부터 승인을 받게 되고 81년도에 베이징에서 열린 WHO 등이 주재한 Scientific Working Group on the Chemotherapy of Malaria의 회의에서 공식적으로 말라리아 치료제로서 인정됩니다. 이후 80년대에는 널리 사용되기 시작하여 지금 제 책상에 있는 Harrison 내과학 책에도 severe malaria에서 treatment of choice로 이름을 올려 놓았습니다.

이후에는 hydroxylation을 시켜서 만든 dihydroxyartemisinin이 더 안정하고 효과가 좋다는 것을 알아냅니다. Esterification이 가능해지면서 발전 가능성이 증가한 것이죠. 유도체인 Artesunate를 만들어 2005년에는 WHO에서 인정한 combination therapy를 확립합니다.

요요 투는 중국 전통 의학에서 이러한 사례들을 열거하면서 국뽕(?)에 취하는 이야기를 후술했습니다. 중국 최초의 과학상 수상자에, 여성 과학자이고, 중국 약초에서 열대 지방의 질병이고 인류 최대의 적이라는 말라리아 치료제를 개발했다는 점 등이 정치적으로도 매우 흥미로울 뿐만 아니라, 의학이란 무엇인가 또 한 번 생각해보게 하는 지점을 발견하고, 항생제를 비롯하여 신약 개발에 난항을 겪고 있는 의약학 연구 방향에 대해서 정말로 중국 고대 의학이 새로운 길을 개척한 것인지 신기하기도 하네요.



2


    Azurespace
    원래 말라리아 치료제로 쓰이던 키니네도 원주민들이 쓰던 처방에서 온 것이니, 있을 법하다는 생각도 듭니다. 어쨌든 아열대 기후에서 살아온 중국인들도 많았잖습니까? 한방 자체는 수많은 사람들의 경험의 집합체이므로 이처럼 과학적인 방법으로 검증하여 의학 발전에 공헌할만한 사례가 앞으로도 나올 것 같습니다. 그러나 철저한 검증 끝에 인정받은 치료법들만을 쓰도록 해야 할 것이고요. 국내엔 아직도 사상의학이 어쩌고 기가 어쩌고 하는 한의원이 많으니...
    기아트윈스수정됨
    저게 쑥 호蒿 이니 청호소라고 읽어야할 것 같습니다.

    또 말라리아는 남중국, 특히 광동과 광서지방의 최대사망원인이었습니다. 현지인들은 그래도 좀 형편이 나았지만 북중국인들이 이 지방에 가면 열에 서넛은 죽어나갔었지요. 이 지방과 북쪽을 나눠주는 천연 경계선이 산고개였고 그래서 이지역을 영남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전통시대 중국 정치계에서는 영남유배가 곧 사실상의 사형선고였었지요.

    중국 의원들은 이 풍토병의 원인을 습기와 열기에서 찾았습니다. 뭐 습고 덥한 지역이니 뭔가 거기에 원인이 있을거라 생각했던 것도 당연하지요. ... 더 보기
    저게 쑥 호蒿 이니 청호소라고 읽어야할 것 같습니다.

    또 말라리아는 남중국, 특히 광동과 광서지방의 최대사망원인이었습니다. 현지인들은 그래도 좀 형편이 나았지만 북중국인들이 이 지방에 가면 열에 서넛은 죽어나갔었지요. 이 지방과 북쪽을 나눠주는 천연 경계선이 산고개였고 그래서 이지역을 영남이라고 불렀습니다. 그래서 전통시대 중국 정치계에서는 영남유배가 곧 사실상의 사형선고였었지요.

    중국 의원들은 이 풍토병의 원인을 습기와 열기에서 찾았습니다. 뭐 습고 덥한 지역이니 뭔가 거기에 원인이 있을거라 생각했던 것도 당연하지요. 이 습기와 열기에서 뿜어져나오는 독을 장독瘴毒 이라고 불렀습니다. 영어로는 보통 miasma라고 번역하는 장독은 아지랑이처럼 스멀스멀 올라오는 독기운이라는 뜻입니다. 삼국지에서 제갈량이 남만원정가서 무슨 독극물이 흐르는 강 같은 걸 건너고 뭐 그런 장면이 나오는데 그것도 아마 장독일 겁니다.

    주후비급방은 안읽어봐서 모르겠고, 여튼 이상과 같은 이유로 여러가지 약초가 장독치료에 동원됐었고, 그래서 이게 좋다느니 저게 유효하다느니 하는 기록들은 꽤 많이 있습니다. 그 중 하나가 잘 얻어걸린게 아닌가 싶은데... 저걸로 안그래도 환빠급 국뽕중독인 중국친구들이 더 중독되지나 않을까 걱정이 되네요 ㅡㅡ;
    사나운나비
    뭔가 어려워서 천천히 조심스럽게 읽다가 (여기서부터는 외계어)를 보는 순간 갑자기 자동으로 눈이 슈우우웅하고 자동스킵을 한 문과생 1인...
    수동이 아닙니다. 자동으로 슈우웅 하게 되어서 자꾸 돌아가서 다시 읽어보려고 해도 슈우웅 하고 눈이 미끄러지는 기분이네요.^^
    어쨌든 멋지고 신기합니다.
    눈부심
    크크크. 저도요. 아마 저런 글씨체를 트랜스포머체라 하지 않나 마 그리 생각합니다.
    Beer Inside
    보통 저런 삽질의 끝은 사기로 끝이나는 것이 대부분인데 노벨 의학상까지 가다니.....

    대단합니다.
    darwin4078
    청화소가 아니고 청호소...

    한의학 서적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한의학 서적에서 방법론을 얻어서 좋은 결과물을 얻어내고 노벨상까지 탔으니 개인적으론 참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고, 짱깨라고 헐뜯지만 중의학이나 본초 분야의 연구는 따라가려면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이 들고(임상실험할 돈도 없고, 관련법규도 미비하고, 한의사가 음양오행이나 하지 무슨 실험은 실험이냐고 비아냥대고...) 여러가지 생각이 듭니다.

    갈홍이 도교의 연단수련법에서 중요한 책이라고 일컬어지는 포박자를 쓰기는 했지만, 신...까지는 아니고 관제성군 미만잡...정도의... 더 보기
    청화소가 아니고 청호소...

    한의학 서적에서 아이디어를 얻고 한의학 서적에서 방법론을 얻어서 좋은 결과물을 얻어내고 노벨상까지 탔으니 개인적으론 참 대단하다는 생각도 들고, 짱깨라고 헐뜯지만 중의학이나 본초 분야의 연구는 따라가려면 아직도 멀었다는 생각이 들고(임상실험할 돈도 없고, 관련법규도 미비하고, 한의사가 음양오행이나 하지 무슨 실험은 실험이냐고 비아냥대고...) 여러가지 생각이 듭니다.

    갈홍이 도교의 연단수련법에서 중요한 책이라고 일컬어지는 포박자를 쓰기는 했지만, 신...까지는 아니고 관제성군 미만잡...정도의 느낌이구요,
    주후비급방은 팔꿈치 주, 뒤 후 해서 팔꿈치 뒷쪽에 넣어두고 급박한 상황에 쓰는 처방집이라는 의미입니다. 당시 농촌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약들과 경험방들을 모아놓은 책인데, 당시 인도에서 공부하고 돌아온 서역 승려들이 가져온 인도의학의 영향을 받은 책이기도하고, 갈홍 이냥반이 원래 도교 연단술에 심취해있는 양반이라 책을 보면 좀 뜨아한 부분이 많긴 합니다.

    그런데, 갈홍의 주후비급방은 진나라, 즉 AD 300년에 쓰여진 책인데요, 후대에 금의 의가 양용도가 증류본초라는 책의 간단한 처방을 골라 뽑아 덧붙이고 부광주후방(附廣肘後方)이라는 이름을 붙였는데, 이게 현재 통용되고 있는 주후비급방입니다. 요요투 교수가 참조한 책은 갈홍 저작의 주후비급방이 아니라 아마 이 부광주후방일 가능성이 높지만, 갈홍의 주후비급방이 중국의학사에서 도교, 불교, 유교, 3교를 통합한 의학 서적이라는 네임밸류가 있는 터라 이쪽을 택하지 않았나 싶고...

    요요투 교수가 주후비급방에서 참조한 내용은 이렇습니다.

    중의연구원에서는 학질(=말라리아)을 치료한다고 기록된 처방 752수를 수집하여, 이들 처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된 상산으로 연구를 시작합니다. 그런데, 상산의 문제는 높은 항말라리아 효과가 있었지만 부작용으로 구토가 극심했죠. 이때 투유유 교수가 등장힙니다. 고서중에서 학질을 치료하는 단방 처방만을 따로 수집하여 웅황, 청호, 오두, 오매, 별갑 등의 약재를 선별하고 실험을 진행했죠. 웅황은 효과가 매우 우수했으나 맹독성이기 때문에 폭넓게 사용하기에는 어려웠고, 청호를 통한 시험에서 60-80%의 억제효과가 있음을 발견했고, 청호의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방법론으로,《肘后备急方·治寒热诸疟方》에 기록된 “青蒿一握, 以水二升漬, 絞取汁, 盡服之\"라는 내용을 참조합니다. 기존의 전탕법, 즉 고온추출법이 아닌 저온추출법을 사용한 것입니다.

    하여튼, 한의학적인 아이디어와 방법론이 노벨의학상까지 타게 되는 세상이 되었네요.
    삼공파일
    저도 쑥 호자를 찾아봤는데 실수로 화라고 썼네요. 기아트윈스님과 더불어서 감사합니다!
    세인트
    캬 좋은글에 좋은 리플이다
    리플 추천기능이 시급합니다
    수박이두통에게보린
    한자가 들어갔다고 문과인을 위한 글이라고 단정 지을 수 없다는 좋은 교훈을 배웠습니다.
    레지엔
    역시 실험은 졸라 많이 돌리면 걸릴 사람은 걸린다는...
    난커피가더좋아
    일겅
    천연물의 세계는 재밌네요 우주에서 가져오는 지구에 없는 물질들이 인체에 미칠 영향 같은 것도 연구해보면 재미있겠네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719 일상/생각레고 빅뱅이론(21302)이 출시됐습니다. 9 15/08/04 13011 0
    2412 영화라일리의 첫 데이트 (인사이드 아웃 외전) 4 Toby 16/03/16 13009 0
    1453 의료/건강배아파서 응급실간 이야기 in Calgary, Alberta, Canada 19 이젠늙었어 15/11/04 12997 0
    1289 생활체육U-17 월드컵 브라질 격파! 게나디 골로프킨 상대 선수 폭행! 12 Neandertal 15/10/19 12985 0
    7106 IT/컴퓨터금융권의 차세대 시스템이 도입되는 과정 34 기쁨평안 18/02/13 12979 20
    1378 정치한국시리즈 2차전 시구에 대한 짧은 생각 - 안중근 의사 후손의 시구 4 darwin4078 15/10/30 12976 5
    7073 게임문명 6: 흥망성쇠 리뷰 13 저퀴 18/02/09 12962 4
    3067 게임트위치를 다음팟으로 보기 (이미지, 2MB, 재업) 11 메리메리 16/06/19 12959 4
    632 역사한일관계보다 더 심각한 중국과 몽골의 관계 10 마르코폴로 15/07/22 12958 1
    842 요리/음식한국식 파스타는 왜 맛이 없을까? 14 마르코폴로 15/08/25 12953 1
    188 기타기생충 한마리에 숨겨져 있던 인류이야기 5 개평3냥 15/06/03 12949 0
    1480 일상/생각한 억만장자의 하소연.gisa (마인크래프트 개발자 마커스 페르손) 16 전크리넥스만써요 15/11/06 12917 0
    1148 문화/예술(야자) 이 할머니의 패션 43 눈부심 15/10/01 12908 0
    8881 게임문명 6 - 신난이도 엘레오노르 영국 정복없는 문화승리 (용량주의) 4 코리몬테아스 19/02/19 12884 6
    1271 의료/건강의심스런 엘리자베스 홈즈의 테라노스 15 눈부심 15/10/16 12864 0
    1366 꿀팁/강좌홍차를 저렴하게 구입해보자 (딜마) 21 관대한 개장수 15/10/28 12846 7
    1584 생활체육[펌] 다양한 출신을 가지고 있는 유럽의 축구선수들 5 Twisted Fate(R) 15/11/18 12844 0
    1180 과학/기술중국의 푸른 쑥에서 찾아낸 말라리아 치료제 [청호소青蒿素] 12 삼공파일 15/10/06 12841 2
    1249 음악도입부가 쩌는 음악 list5 25 darwin4078 15/10/14 12831 1
    421 기타간만에 지름...에일리언웨어!!! 19 damianhwang 15/06/24 12817 0
    387 기타축구계와 약물 17 Raute 15/06/21 12796 0
    1472 경제제네시스는 더 이상 현대차가 아니다? 21 난커피가더좋아 15/11/05 12782 6
    6093 꿀팁/강좌[커피]모카포트이야기 37 사슴도치 17/08/11 12773 8
    1412 기타와인 속에 별을 담다 - 돔 페리뇽 31 마르코폴로 15/11/01 12773 2
    1311 요리/음식두부이야기(중국편) 24 마르코폴로 15/10/21 12773 2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