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11 11:11:45
Name   Leeka
Subject   주택문제로는 가장 성공한, 싱가포르의 주택제도 이야기

이러니 저러니 해도. 현 정부정책의 목표이자
현 국토부장관 내정자가 추구하고 있는 환매조건부 주택.


이 개념이 성공적으로 적용된 전세계 유일한 나라가 싱가포르인데요.


사실 싱가포르는 '주택 문제' 만 따지면 전세계 넘버원급의 나라긴 합니다.

저도 전문가는 아니지만 아는 선에서 짧게 쓰면



-> 싱가포르 국민의 약 85%는 국가의 환매조건부 주택. 에서 살고 있습니다.

환매조건부 주택이란

[나라에서 정해둔 정가에 집을 사고 -> 살고 싶은 만큼 살다가 -> 팔때는 다시 나라에 되팔아야 합니다. ]


-> 그럼 뭐가 좋나요?

겁나 쌉니다... 레알..

얼마나 싸길래.. 하시는데

'30평 아파트가 2500만원의 현금' 이 있으면 매매가 가능합니다

?!?!?!!?....


이유라면. '집 원가의 20%만 내면 살 수 있고, 나머지 80%는 나라에 살면서 분납하면 됩니다'
그리고 나갈때는 낸 돈만큼 다시 돌려받고 나갑니다.



-> 제한은 어느정도있나요?

: 외국인 이용 불가
: 돈 많이 버는 사람은 이용 불가 (민간이 공급하는 15%를 사면 됩니다.)
: 일생에 사용 가능한 횟수가 제한되어 있음 (이사를 자주 할 수는 없습니다.)




이게 엄청나보이긴 하는데.  사실 싱가포르 같은 도시국가만 사용할 수 있는 정책이긴 합니다.


왜냐면 '사람들이 이동하지 않는다'  라는건 바꿔말하면

제가 부산에서 태어났어요.

NC소프트에 들어가고 싶어서 공부해서 취업했습니다.

그럼 NC소프트가 있는 판교 근처에 집을 구해야 되는데

'다 실거주 중이라 들어갈 수 있는 집이 없어요'

?!?!?!?!?!

그럼 부산에서 출퇴근 해야 합니다.



농담같지만 이게 싱가포르식 제도를 도입했을때 생기는 최대 단점인데요.


그럼 싱가포르는 이걸 어떻게 해결했을까요?


정답은.. 애초에 싱가포르 전체 크기 = 서울 크기.  수준이라...

대중교통으로 1시간 이상 걸리는 곳이 없는 수준이라..  거주지 이동을 안해도 직장, 학교등 다니는데 엄청난 지장이 없습니다.. ㅠㅠ...



싱가포르라는 도시 국가에 맞게, 60년대부터 해서 적절한 시점에 나라가 모든 토지를 가지고.  잘 진행한..
부동산만 놓고 보면 엄청나게 좋은 정책이고. 대단한 정책이긴 한데

(실제로 같은 도시 국가인 홍콩의 살인적인 집값을 보면......   리콴유의 최대 업적이 부동산 정책이긴 하죠..)

이 정책은 도시국가에서나 단점이 거의 없지..  한국같은 구조에서는.......




1
  • 사람들이 피상적으로만 알고 있는데 구체적으로 장단점을 제시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적용 공간의 크기는 해결 가능한 기술적 문제로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원시적 불능은 아니라고 봐요.
오히려 더 극복 불가능한 건 토지 및 주거 공간의 사적 소유에 대한 개념 차이죠.
그건 미래에 해결이 가능한거지. 지금 당장 해결 가능한건 아니다보니...

사적 소유는 사실 싱가폴이 60년대에 했던것처럼.. 초기에 나라가 다 사버렸으면 몰라도.
지금 시점에선 이미 글르지 않았나..
2
맥주만땅
그리고 말레이시아라는 식민지.... 심지어 하우스메이드는 캄보디아에서....
2
그저그런
환매조건부 주택 도입 -> 이직을 했는데 집이 없어요 -> 그게 다 전정권과 투기꾼들 때문입니다.
어휴 보기만 해도 빡치네요
지나가던선비
거긴 육아문제도 외국인 가정부 고용하면 되는 나라죠?
2
손나은
이거 재밌게 읽었었어요ㅎㅎ
https://blog.naver.com/santa_croce/221103982652
과객A
싱가폴 친구가 그러더군요. 우스갯소리로 자기네는 청혼할때 '우리 같이 HDB들어갈까?'라고 한다고 크크크크크
개인적으로 부러운 시스템입니다만 (저같은 서민은 제 등 따숩고 배부르면 독재건 군사정권이건 상관없죠) 우리나라 규모에선 감당이 안되는 시스템이라 아쉽습니다 ㅠㅠ

P.S.항상 옆동네에 부동산 관련 좋은 글 감사드립니다. Leeka님께서 좋은 글을 써주셔서 제가 얄팍한 사명감과 알량한 지식으로 부동산글을 올리던 걸 그만해도 되게 되게 되었습니다. 꾸벅꾸벅 (^_^)(_ _)(^_^)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253 사회우리 시대를 위한 혁명가 5 ar15Lover 20/12/20 5139 5
11242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9) - 성추행, 젠더 표현, 그리고 권력 (1) 3 호라타래 20/12/17 4548 9
11226 사회발전 vs 자유 4 ar15Lover 20/12/14 5848 1
11213 사회주택문제로는 가장 성공한, 싱가포르의 주택제도 이야기 8 Leeka 20/12/11 4091 1
11212 사회가장 맛있는 족발에서 살아있는 쥐가 나왔다고 합니다. 4 Leeka 20/12/11 4109 0
11197 사회판결을 다루는 언론비판 ㅡ 이게 같은 사건인가? 4 사악군 20/12/06 4156 16
11195 사회체제는 어떻게 우리를 속이는가? 25 ar15Lover 20/12/03 6689 12
11189 사회[펌] 최근 위안부 문제 관련 회담의 결과와 그 평가에 대하여 Fate 20/12/01 4731 6
11181 사회코로나시대, 아이폰으로 방문시 입장 QR코드 손쉽게 불러오기 8 Leeka 20/11/29 5566 4
11128 사회또다른 조두순, 출소 8일만에 재범. 12 Leeka 20/11/13 4820 0
11119 사회현 시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_ 관심에 대해서 9 Edge 20/11/09 4793 9
10987 사회재난지원금 신청/지급이 오늘부터 시작됩니다 7 Leeka 20/09/24 5224 5
1097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8) - 염소와는 가능 개와는 불가능 20 호라타래 20/09/22 9577 10
10960 사회티타임에 무슨 글을 써야 할지 고민되네요 14 꿈꾸던돼지 20/09/16 5881 3
10957 사회게임, 영화 기록으로 병역거부자의 '양심의 진정성'을 입증하겠다는 검찰의 행태에 반대하는 이유 26 ar15Lover 20/09/14 6157 1
10914 사회전광훈 퇴원(한국사회대한 작은 잡설) 8 유럽마니아 20/09/02 5663 0
10899 사회직업 공개 이야기 하니까 생각난 것 하나 4 불타는밀밭 20/08/30 5007 0
10898 사회공장식 축산과 동물에게 주어져야 할 최소한의 권리 93 최우엉 20/08/30 8009 7
1086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7) - 마이 리틀 섹시 포니 26 호라타래 20/08/18 5969 21
10828 사회경찰청 “로스쿨 경찰, 직무유기 문제없다”…사준모, 감사원 감사 청구 8 다군 20/07/30 5320 2
10800 사회검언유착? 한동훈과 이동재는 무슨 대화를 나누었나. <녹음공개> 32 DX루카포드 20/07/21 4944 4
10782 사회[펌] 사장님 vs 직원 24 Groot 20/07/15 5695 0
10772 사회서울시장에 의한 위력 성추행 사건 기자회견 “그저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꿈꿉니다” 67 다군 20/07/13 8425 6
10756 사회위력을 보았다. 84 맥주만땅 20/07/07 9645 11
10719 사회선생님들은 정의로운가? 12 쿠쿠z 20/06/27 5807 1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