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09/14 19:30:16
Name   ar15Lover
Subject   게임, 영화 기록으로 병역거부자의 '양심의 진정성'을 입증하겠다는 검찰의 행태에 반대하는 이유
http://www.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959984.html


2018년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한국의 검찰과 사법부는 병역거부자들의 '양심의 진정성'을 입증하고, 이렇게 입증된 진정성의 여부에 따라 대체역 복무를 허용할지 안할지에 대해 결정하겠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특히 검찰은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 어떤 게임을 했는지, 어떤 영화를 봤는지까지 추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만약 어떤 병역거부자가 폭력성이 짙은 게임을 했거나 영화를 관람했다면 이들의 양심에 '진정성'이 부족한 것으로 보고 대체역 복무를 불허하겠다는 것인데요.

이러한 검찰의 주장은 일차원적이고, 단순하고, 유치합니다.
그 이유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병역거부자들은 마냥 착해빠진 사람들이 아닙니다.

한국사회에는 병역거부자들에 대해 일종의 편견이 있어요. 병역거부자들은 평화주의자들이기에 마냥 착해빠졌고, 파리 한마리 제대로 못죽이는 심성이 약한 사람들일 것이라는건데요. 사실 이런 편견은 실제와 거리가 멉니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무하마드 알리가 있겠네요. 무하마드 알리는 자신의 전쟁반대 신념에 따라 병역을 거부했고, 법정투쟁 끝에 최종적으로 무죄를 선고받았습니다. 그런데 무하마드 알리가 착해빠진 얼간이었습니까? 아니죠. 무하마드 알리는 싸움을 직업삼은 사람이었습니다. 그 시대 세상에서 가장 무서운 주먹을 날리는 사람이였고, 가장 시비붙기 싫은 사람이었습니다.

만약 한국 검찰식 기준을 적용하면 이런 말이 나오겠네요.
"전쟁에 반대한다고? 근데 너 직업 보니까 프로복서네? 프로복서면 싸우는게 일일텐데 어떻게 전쟁에 반대할수가 있어? 너 가짜!!"
전 위와 같은 유아적 사고방식을 단호히 거부합니다.

2. 폭력적인 게임, 영화를 했거나 봤다고 해서 반드시 폭력적인 사람이 되는건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누군가가 칼 마르크스의 저서들을 읽고 있다고 칩시다. 그 사람은 마르크스의 책들을 읽고 있으니 무조건 공산주의자 빨갱이일까요?
그럴 수도 있지만, 아닐 수도 있습니다. 철두철미한 자유시장주의자가 칼 마르크스의 사상을 비판할 목적으로 그 책을 읽고 있는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단순히 학문적 호기심 때문에 읽는 것일수도 있고요.

마찬가지로 누군가가 아돌프 히틀러의 나의 투쟁이나, 데이비드 어빙의 저서들을 읽었다고 해서 그 사람을 반드시 네오나치라고 할 수는 없습니다. 그 사람은 나치의 사상을 비판하거나, 홀로코스트 부정론을 비판하기 위해 그 책을 읽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아니면 철저한 역사적 사료로써 연구하고 있는 것일 수도 있고, 그저 지적 호기심을 만족시키고 싶은 것일 수도 있습니다.

영화의 경우, '지옥의 묵시록'이나 스탠리 큐브릭 감독의 '풀 메탈 자켓'과 같은 베트남 전쟁 영화들을 보면 폭력적인 장면들이 대단히 많이 나옵니다. 그래서 이 영화를 만든 감독, 스태프, 배우들과, 이 영화를 본 관객들은 싸그리 폭력광 호전주의자들입니까? 뭐 그런 사람이 한둘 있을지는 모르겠습니다만, 이 영화들의 제작자들은 전쟁에 단호하게 반대하는 사람들이었어요. 전쟁이라는게 얼마나 참혹한 것인지 알리기 위해 그런 영화들을 만든거죠.

게임의 영역을 살펴보죠. 'This war of mine'이나 '스펙 옵스: 더 라인' 같은 게임들은 어떤가요?
This war of mine에서는 생존물자를 얻기 위해 노부부의 집에 침입해 죽일 수 있고, 스펙 옵스: 더 라인에서는 민간인들을 무려 백린탄으로 학살하는 미션이 나옵니다. 이 게임을 플레이한 게이머들은 전부 천인공노할 미치광이 호전광 폭력광 전쟁광 잠재적 살인마들인가요?
아니죠. This war of mine은 전쟁터 한복판의 민간인으로써 플레이해 게이머들로 하여금 전쟁의 참상을 실감하게 하려는 의도를 갖고 만들어졌고, 스펙 옵스: 더 라인은  [당대의 폭력적인 게임들을 비판]하려는 의도를 갖고 나온 겁니다.

한국의 검찰이나 보수 언론들의 주장대로라면 저 게임들을 한 사람들은 "게임 내용상 노부부를 살해하고, 민간인들을 백린탄으로 학살하는 부분이 있는 게임을 플레이한 피고인의 양심의 진정성에 의심이 갈 수 밖에" 없겠군요.

그러나 이들의 주장과는 반대로, [오히려 이런 게임들을 통해 전쟁의 참상을 간접적으로 겪었기에 전쟁에 반대하고, 병역을 거부할 수도 있는 겁니다.]

이건 여담이지만, 양심의 진정성을 게임으로 검증하겠다는 검찰의 주장은 [게임은 사람을 폭력적으로 만든다, 게임을 하는 사람들은 폭력적인 사람이다.]와 동일한 맥락에서 나옵니다. 저런 주장을 들으면 불편해할 사람들 많을 게임 관련 커뮤니티에서 유독 게임으로 양심의 진정성을 검증하겠다는 검찰의 주장에는 찬동하는 사람들이 많으신 것을 보면 그저 안타까울 따름입니다.

3. 반드시 극단주의자가 되어야만 진짜인가?

병역거부자의 평소 행실을 통해 양심의 진정성을 입증하겠다는 검찰의 입장에도 문제가 많습니다.
여호와의 증인 신도가 병역거부를 할 경우, 평소 교회 출석 여부, 세례 여부 등을 따져서 이 사람이 찐 여호와의 증인인지 검증하겠다는 것이고,
평화주의자가 병역거부를 할 경우, 위에서 나온 게임이나 영화 관련 기록을 살펴서 찐 평화주의자인지 검증하겠다는겁니다.
하지만 이런 주장에는 문제가 많습니다. 이와 관련해서는 홍차넷에서도 과거 몇몇분들이 괜찮은 비유를 들어주셨는데요.

"기독교인이 문명 하다가 종교로 불교를 선택하면 가짜 기독교인인가?"
"사회주의자가 부루마블을 즐겼으면 그 사람은 가짜 사회주의자인가?"
"(궁중음모가 게임플레이의 핵심인)크루세이더 킹즈2를 즐긴 사람들은 비도덕적이므로 공직에서 제외해야하는가?"

또한 폭력적인 게임, 영화를 즐기는 사람들은 폭력적인 사람이라는 검찰의 주장을 인정한다고 해도 문제가 발생합니다.
어떤 신념을 가진 사람이든 어디까지 허용할지, 어디까지 양보할지에 관한 기준이라는게 있습니다.

채식주의만 해도 종류가 다양하죠. 극단적으로 일체의 육류와 육류로부터 비롯된 유제품들까지 거부하는 입장,
육류는 거부하지만 유제품은 허용하는 입장, 육상 동물의 고기는 거부하지만 어류는 허용하는 입장 등등이요.

병역거부도 마찬가지인데, 각자 마음 속에서 허용할 수 있는 '폭력'의 선이 다를 수 있어요. 어떤 이는 '누가 날 때려도 맞아 죽을지언정 때리진 않겠다' 수준으로 극단적일 수 있겠지만, 누군가는 "날 때리면 맞서 싸우겠다. 하지만 그렇다고 상대를 죽이지는 않겠다."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데 검찰은 극단적으로 일체의 육류, 유제품을 거부하는 채식주의자만 찐 채식주의자고 나머지는 다 가짜 채식주의자고, 극단적인 비폭력주의자만 찐 병역거부자고 나머진 다 가짜 병역거부자 취급하겠다는겁니다.

검찰이나 보수언론들이 흔히 말하는 그 무시무시한 "전쟁게임"은 말 그대로 게임, 즉 시뮬레이션에 불과합니다. 게임 속에서 사람을 죽인다고 하더라도 그 사람은 컴퓨터 AI거나, 다른 사람이 조종하는 아바타에 불과합니다. 게임 캐릭터가 다루는 총기들도 물리적 실체가 없는 데이터일 뿐이죠. 게임플레이 역시 실전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닙니다. 사실 장기, 바둑, 체스와 같은 놀이들도 전쟁게임의 일종입니다. 장기, 바둑, 체스는 두 군대가 서로 맞부딫히는 모양새를 추상화했죠. 과거 사람들에게 있어서 장기, 바둑, 체스가 바로 오늘날의 리그오브레전드, 문명이었던 겁니다. 무시무시한 살인 시뮬레이션 '콜 오브 듀티', '스페셜포스', '서든어택'과 같은 게임들도 사실 어린이들이 하는 물총 놀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하지만 군사훈련은 얘기가 달라져요. 물리적 실체가 존재하는 총기를 다루며, 그 훈련은 실전을 가정합니다. 실제로 전쟁이 일어나고, 실제로 윗선으로부터 적을 향해 사격하라는 지시가 내려오면, 그 지시를 따른다는 가정하에 이루어지는 훈련입니다.

어떤 사람에게 있어서, 게임 속에서 가상의 총기로 가상의 인물을 살상하는건 허용 선에 있지만, 실제의 인물을 살상하는 것은 비허용의 선에 있을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가 평소 게임을 즐겼다는 이유로 "실제의 총기로, 실제 상황을 전제로 한 군사훈련"을 거부하는 것에 진정성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비논리적입니다.

설령 누군가가 군말없이 군에 입대하고, 집총훈련을 받았다고 해도 그가 한국군의 결정에 무조건 따르리라고 보기는 힘듭니다. 적군을 죽이는 것까지는 허용해도, 포로나 민간인을 살상하라는 지시는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적군에게 포격을 하라는 명령은 따를지라도, 적군에게 생화학무기를 살포하라는 지시는 거부할 수도 있습니다. 실제로 한국이 이라크 전쟁 파병 결정을 했을 때, 이를 사유로 군복무를 거부한 현역병들의 사례도 있죠. '이 사람은 게임을 했으니 양심에 진정성이 없다, 전쟁영화를 봤으니 양심에 진정성이 없다' 이런 주장은 위와 같은 사례들을 깡그리 무시한 단세포적 사고방식에 불과합니다.


위의 세 가지 이유로, 전 지금 양심의 진정성을 게임과 영화로 판단하겠다는 검찰의 행태가 잘못되었다고 생각합니다.



1


    맥주만땅
    검찰인들 양심을 판단하고 싶어서 그러겠습니까. 국가에서 양심없는 놈들 감옥보내라고 하니 그러지...
    revofpla
    검찰도 검찰이지만 그 이전에 대법 판례에서 단편적인 부분이 아닌 생활 전반적이 신실할 것을 요구하니 검찰의 입장에서도 무결점이 아님을 찾을 수 밖에 없는것이겠지요....
    그리고 게임, 영화 기록 등은 하나의 참고자료일뿐 그것이 절대적인 기준이라는 내용도, 기준도 확립되지 않은 상태이니 검찰로써는 일단 법원이 그럴싸하게 들어줄만한 자료는 모두 다 찾아서 내고자 하는게 아닐까 싶습니다.
    윤지호
    이렇게까지 징병제를 해야만 하는지..
    게임만큼은 다른 잣대를 들이대도 착한 차별이라고 생각하는 게임까들이 많아서...
    ebling mis
    양심이 Conscience가 아니고 Free will 이란걸 나라에서 명확히 밝혀서 '나는 양심없어서 끌려가냐'소리가 안 나오게 하는게 양심적 병역거부에 대한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는 첫걸음이죠
    6
    최근의 사법부 판결들을 보면 여호와의 증인 위주로만 병역거부를 인정하고, 이외의 평화주의 등의 신념에 의한 병역거부는 인정해주지 않는 모양새입니다. 이쯤되면 사실상 국가가 나서서 병역거부는 여호와의 증인 신도들만 누리는 특혜라는 편견을 조장해 대중이 자신의 권리에 대해 무지하게끔 만드려 드는 것 아닌가 싶습니다.
    1
    ebling mis
    저도 이건 정부 가리지 않고 고의적으로 회피하고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모두가 free will에 따라 징병을 거부하려 하지 않을까요?
    뭐가 됐든 현재 속한 공동체 내의 의무인데 하는 사람이 안하는 사람을 좋게 봐주긴 어렵겠죠..
    2
    ar15Lover
    그만큼 현역병의 복리후생을 챙겨주면 됩니다.
    심심하면 올라오는 주제가
    군대 다시가기 VS 10억받기 뭐 이런 건데..
    이만큼 챙겨주지 못하는 이상은 불가능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항상 버프보단 너프가 쉽구요.
    어려운 일이긴 하겠지만, 불가능하지는 않다고 봅니다. 병역거부를 허용했다고 해서 너도나도 군대 빼는 일은 전세계적으로 단 한차례도 벌어진적이 없고, 그게 정 두려우면 한 해 대체복무자의 숫자를 제한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그리고 10억이 아니라 병사 연봉 2천~3천정도만 되어도 현역병들의 불만은 많이 사라지리라 생각합니다.
    근데 솔직히 양심적 병역거부를 가능케하고자 현역병들에게 급여를 많이 줄 자원이 있다면 다른 곳에 쓰고 싶네요. 소방관이라든가 지방병원?
    병역 혜택도 그래봐야 적은 돈보다는 다른 혜택을 받고 싶구요.
    1
    ar15Lover
    그만큼 moqq님이 현역병의 군복무와 양심적 병역거부 문제를 하찮게 여기고 있다는거죠.
    적나라하게 표현하면 그렇죠.
    근데 굳이 그렇게 표현하실 이유가 있었을까요? 제가 양심적 병역거부자들이나 님을 비하하지 않았는데 말이죠.
    그리고 현역복무는 하찮게 보지 않습니다 연봉 2,3천으로 보상이 될 수 있다 생각치않아요.
    ar15Lover
    위에서 "현역병들에게 급여를 많이 줄 자원이 있다면 다른 곳에 쓰고 싶네요"라고 말씀하시지 않으셨나요?
    ar15Lover 님// 현역병에겐 최저시급에 가까운급여가 아닌 다른 혜텍을 주고 싶다고 했죠. 군가산점같은 방식으로요..(이건 차별적 요소가 좀 있긴 합니다만)
    제 얘기는 현역병들에 대한 대우는 최저시급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보상이 되어야한다는 뜻이구요.
    님 얘기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해 현역병의 대우를 더 하라는 건데
    그건 근본적으로 현역병에 대한 대우를 높이는게 거부자를 위해서 높이는 거라고 읽었기 때문에
    그런 방식으로 현역병에 대한 대우를 원하지 않는다는 뜻이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그런 표현을 했다하더라도
    그게... 더 보기
    ar15Lover 님// 현역병에겐 최저시급에 가까운급여가 아닌 다른 혜텍을 주고 싶다고 했죠. 군가산점같은 방식으로요..(이건 차별적 요소가 좀 있긴 합니다만)
    제 얘기는 현역병들에 대한 대우는 최저시급이 아닌 다른 방식으로 보상이 되어야한다는 뜻이구요.
    님 얘기는 양심적 병역거부자를 위해 현역병의 대우를 더 하라는 건데
    그건 근본적으로 현역병에 대한 대우를 높이는게 거부자를 위해서 높이는 거라고 읽었기 때문에
    그런 방식으로 현역병에 대한 대우를 원하지 않는다는 뜻이었습니다.
    그리고 제가 그런 표현을 했다하더라도
    그게 님이 저를 타인의 의무를 하찮게 여기는 사람이라고 대놓고 표현해도 되는 건 아니라고 생각합니다.
    제가 거부자를 의무를 하찮게 여기는 프리라이더라고 표현하는게 무례한 것 처럼요.
    ebling mis
    그렇지요.. 그렇게 되지 않기 위한 대책을 강구하는게 이 문제를 진지하게 다루기 시작하는거라 생각합니다
    단어의 해석을 교묘히 이용한 기만으로 상황을 넘기는것 보다는요
    어떻게 진지하게 다룰 수 있나요? 개인 주관에 따른 병역거부는 제3자가 보기엔 그냥 하기 싫어서 안하는거나 똑같아요. 그걸 피하려는 사람은 그 이상을 행동으로 보여줘야죠. 지뢰제거반같은 걸 한가든가..
    2
    ebling mis
    일단 사람취급을 해줘야죠
    자본주의 사회에서 사람취급은 최저임금이고
    그리고 법률적인 양심이라는것 자체가 "그냥 하기 싫어서"도 포함할 수 있지 않을까요?
    남들도 하기 싫은데 참고 하는 거잖아요.
    왜 저들의 하기 싫음이 특별한가를 이야기하셔야죠. 그냥이라고 하시면 그게 어떻게 설득력이 있나요.. 다른 방식의 행동으로 의무를 다하는게 어떠한지도 제시했는데 그얘기도 없으시고..
    그러면 인정해주고 싶어도 못해주죠..
    ebling mis
    이 지점에서 더 얘기가 안될것같네요.. 저는 하기 싫은데 정당하지 못한 대우를 받으면서까지 억지로 해야되는것 자체가 잘못됐다고 말하고 싶은거에요. 억지로 시키고싶으면 대가를 정당하게 주든지 아니면 억지로 안 할 수 있게 해주든지 둘 중 하나를 마련해줘야죠
    저들의 하기 싫음을 특별하다고 생각하지도 않습니다. 하기 싫은건 보편적인데 억지로 그냥 가냐 바득바득 안 가냐 정도의 차이만 있을 뿐이죠
    제 개인적으로는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합니다.
    사회에서 정해놓은 룰을 따르지 않는 것 자체가 용기가 필요한 일이라는 거 알죠.
    다만 그게 사회에서 받아들여지려면 설득력있는 논리가 있어야죠.
    주장1. 사람취급받고 싶다.
    이런 얘기도 너희들은 사람취급 못받는 거 괜찮을지 몰라도 나는 못해먹겠다.
    이렇게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거죠.
    거부자들은 손에 금테라도 둘렀냐? 그러면 할 말이 없잖아요.
    주장2. 누구나 가기 싫은 것이고 정당한 대가를 달라.
    이건 현재 통용되는 양심적 병역거부라기 보다는
    파업에 가까운건데 파업은 파업에... 더 보기
    제 개인적으로는 양심적 병역거부 인정합니다.
    사회에서 정해놓은 룰을 따르지 않는 것 자체가 용기가 필요한 일이라는 거 알죠.
    다만 그게 사회에서 받아들여지려면 설득력있는 논리가 있어야죠.
    주장1. 사람취급받고 싶다.
    이런 얘기도 너희들은 사람취급 못받는 거 괜찮을지 몰라도 나는 못해먹겠다.
    이렇게 받아들여질 수도 있는거죠.
    거부자들은 손에 금테라도 둘렀냐? 그러면 할 말이 없잖아요.
    주장2. 누구나 가기 싫은 것이고 정당한 대가를 달라.
    이건 현재 통용되는 양심적 병역거부라기 보다는
    파업에 가까운건데 파업은 파업에 동참하자 라는 식으로 이야기를 하셔야하구요.
    그리고 정당한 대가를 달라는 건 반대로 얘기하면 돈 더주면 가겠다.는 거나 마찬가지니까
    양심적 병역거부라고 부르기엔 좀 어려울 것 같기도 합니다.
    ebling mis
    1. '너희들은 사람취급 못받는 거 괜찮을지 몰라도 나는 못해먹겠다' 라고 생각할 수 있죠. 이걸 듣는 입장에서는 그냥 같이 사람취급 못받자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모두 사람취급을 받자고도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도저도 아니면 그래 난 간다 넌 가지마라고 할 수도 있고, 이걸 지금 해결하기엔 지난하니 지금 처우도 그냥 감수하고 빨리 해 치우겠다고 할 수도 있고. 굳이 안 가겠다는 사람을 금테두른 사람으로 볼 필요가 있는지

    2. 정당한 대가를 달라는게 "돈 더주면 가겠다"라기보단 "일함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라"... 더 보기
    1. '너희들은 사람취급 못받는 거 괜찮을지 몰라도 나는 못해먹겠다' 라고 생각할 수 있죠. 이걸 듣는 입장에서는 그냥 같이 사람취급 못받자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만 모두 사람취급을 받자고도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이도저도 아니면 그래 난 간다 넌 가지마라고 할 수도 있고, 이걸 지금 해결하기엔 지난하니 지금 처우도 그냥 감수하고 빨리 해 치우겠다고 할 수도 있고. 굳이 안 가겠다는 사람을 금테두른 사람으로 볼 필요가 있는지

    2. 정당한 대가를 달라는게 "돈 더주면 가겠다"라기보단 "일함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급하라"에 가깝죠. 두 가지가 비슷해보여도 분명 다르지 않을까요? 정당한 대가를 의무에 대한 강제력의 완성으로 보실 수도 있지만, 저는 그렇게 생각하지 않고 정당한 대가는 의무의 수행을 위한 전제조건으로 봅니다. 편의점 알바를 해도 최저임금은 체크하니까요

    제가 생각하는 국방의 의무는 징집에 대해 정당한 대가가 지급됨은 물론 선택권도 주어지는 것이지만, 한 번에 모든걸 얻을 수는 없으니 둘 중 하나부터 제대로 시작하자는 것입니다. 둘 중 하나를 고르면 지금은 정당한 대가를 먼저 골라야겠죠.. 선택권을 먼저 줄 수 없으니.

    그리고 위에서 현역병 임금 제대로 줄 돈으로 소방관이랑 지방병원에 투자하는게 낫다고 말씀하신걸 보니 이 이상으로 얘기해봐야 견해차가 좁혀지지는 않을 것 같네요
    할머니
    ebling mis 님// 징집에 대한 정당한 대가를 지불은 공짜가 아니죠. 모두가 사람 취급받자는 주장은 이상적이지만, 실제로는 군역 측면에서 모두가 사람 취급을 받게된다면, 그로 인해 다른 부분에서 사람취급을 못받게 되겠죠. 예산은 한정적이니까요.

    그렇다면 어느 부분에서 사람취급을 받을 것인거라는 문제로 넘어갈테니, 어떤 가치를 우선적으로 비용집행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으로 넘어갈 수 밖에 없지 않을까요?
    ar15Lover
    할머니 님// 한국 정도면 이제는 자칭 타칭 모두가 선진국으로 인정하는 나라되었고, 이쯤이면 모두가 사람 취급 받을 수 있는 나라라고 보는데요. 누가 사람취급 받으면 다른 누군가는 사람취급 못받는건 나눠줄 파이 자체가 극도로 작은 개발도상국들에게나 적용되는 말이죠.

    그리고 징병률이 90%를 넘어가는 상황에서 군인들 사람취급하면 다른 계층이 사람취급 못받는다고 주장하는건 좀 안맞는 것 같습니다. 거의 모든 남자가 군대가는 상황에서 군인들 사람취급해주면 누가 소외되나요? 군대 안가시는 여성분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119 사회현 시대를 어떻게 바라볼 것인가? _ 관심에 대해서 9 Edge 20/11/09 4456 9
    10987 사회재난지원금 신청/지급이 오늘부터 시작됩니다 7 Leeka 20/09/24 4885 5
    1097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8) - 염소와는 가능 개와는 불가능 20 호라타래 20/09/22 8542 10
    10960 사회티타임에 무슨 글을 써야 할지 고민되네요 14 꿈꾸던돼지 20/09/16 5435 3
    10957 사회게임, 영화 기록으로 병역거부자의 '양심의 진정성'을 입증하겠다는 검찰의 행태에 반대하는 이유 26 ar15Lover 20/09/14 5770 1
    10914 사회전광훈 퇴원(한국사회대한 작은 잡설) 8 유럽마니아 20/09/02 5071 0
    10899 사회직업 공개 이야기 하니까 생각난 것 하나 4 불타는밀밭 20/08/30 4609 0
    10898 사회공장식 축산과 동물에게 주어져야 할 최소한의 권리 93 최우엉 20/08/30 7489 7
    10869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7) - 마이 리틀 섹시 포니 26 호라타래 20/08/18 5483 21
    10828 사회경찰청 “로스쿨 경찰, 직무유기 문제없다”…사준모, 감사원 감사 청구 8 다군 20/07/30 5012 2
    10800 사회검언유착? 한동훈과 이동재는 무슨 대화를 나누었나. <녹음공개> 32 DX루카포드 20/07/21 4649 4
    10782 사회[펌] 사장님 vs 직원 24 Groot 20/07/15 5394 0
    10772 사회서울시장에 의한 위력 성추행 사건 기자회견 “그저 인간답게 살 수 있는 세상을 꿈꿉니다” 67 다군 20/07/13 8064 6
    10756 사회위력을 보았다. 84 맥주만땅 20/07/07 9200 11
    10719 사회선생님들은 정의로운가? 12 쿠쿠z 20/06/27 5442 1
    10708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6) - 좋거나, 나쁘거나, 미운 폴리아모리 33 호라타래 20/06/23 5950 11
    10699 사회 간이지급명세서 안내 못 받아…수천만원대 ‘가산세’ 폭탄받은 경리직원들 11 이브나 20/06/19 5530 1
    10695 사회어렸을 때 하던 심시티의 추억과 부동산 8 불타는밀밭 20/06/17 4696 1
    10690 사회그냥 이야기 12 Schweigen 20/06/16 5588 22
    10637 사회조지 플로이드 사망 사건과 잇따른 시위에 관한 남아공 출신 코미디언의 의견 39 ar15Lover 20/06/01 5912 7
    10623 사회섹슈얼리티 시리즈 (5), 하지만 섹슈얼리티와는 조금 다른 이야기 - 직장에서 치마입는 남자들의 이야기를 들어볼까요? 17 호라타래 20/05/26 5262 17
    10618 사회커뮤니티의 빅브라더 (수정) 15 sisyphus 20/05/25 4578 0
    10544 사회현대사회의 문제점(1) 23 ar15Lover 20/05/03 8194 9
    10522 사회[번역-뉴욕타임스] 삼성에 대한 외로운 싸움 6 자공진 20/04/22 4980 20
    10478 사회한국인의 미국의 총기소지 편견을 미국인이 직접 반박하는 영상을 소개합니다. 170 ar15Lover 20/04/09 10572 6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