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20/12/02 10:04:51수정됨
Name   Velma Kelly
Subject   체스에 대해 배워봅시다! [행마와 규칙]
안녕하세요, 주로 탐라에 서식하는 벨마 켈리라고 합니다.

탐라에 잠깐 설문을 한 결과, 부족한 제 글을 읽어주시겠다는 분들이 계셔서 체스 관련 글을 능력이 되는 대로 연재(?)해보고자 합니다.

“그러는 당신은 뭔데 우릴 가르치느냐!” 라는 당연하고도 정당한 의문에 대답을 하자면, 미국 고등학교 주(state) 레벨에서 입상을 한 경력이 있다 정도만 알려드리겠습니다. 그러므로 저보다 더 잘하는 분이 계시면 귀엽게 봐주세요 ㅎㅎ

체스를 둘 줄 아는 사람은 많겠지만, 간단하면서도 중요한 기초를 제대로 잡은 사람은 그닥 많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닌텐도 월드와이드 게임에서 체스를 두다보면...) 그래서 이 시리즈는 각 말의 행마부터 시작해서 수읽기, 오프닝, 엔드게임 등을 포함한, 제 머릿속에 있는 체스 관련 지식의 총집합이 될 예정입니다.

그러면 이번 편에서는 기초 중의 기초, 체스 말들부터 시작해서 규칙들에 대해 설명하고자 합니다..


[폰] (1점)

폰은 장기로 치면 졸과 같습니다. 8개나 있고 움직임이 제한된 만큼 말 중에서 가치는 가장 떨어지지만, 쪽수에 장사 없다고 당연히 엄청나게 중요합니다.

폰은 기본적으로 앞으로밖에 전진할 수 없으며, [시작점에서 전진할 때에 한해] 두 칸을 움직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상대 말을 공격할때는 정면의 대각선으로만 가능합니다. 그러니까 폰 둘이 머리를 맞대고 있으면 서로 움직이지도, 공격하지도 못하게 됩니다.

앙파상, 진급 같은 특수 룰에 대해선 나중에 설명하겠습니다.



[나이트]kNight (3점)

나이트는 장기의 마와 거의 같습니다. 한칸 전진-대각선 한칸의 행마를 합니다. 장기와의 차이점이라면, 경로에 다른 말들이 있어도 자유롭게 뛰어넘을 수 있습니다. 이는 체스에서 나이트만이 가진 특수성입니다.

나이트와 비숍은 마이너 피스(Minor piece)라고 불립니다. 퀸과 룩은 메이저 피스(Major piece)고요. 큰 의미는 없고, 편의상 되어 있는 구분입니다.


[비숍]Bishop (3점)

비숍은 거리 또는 앞뒤 제한 없이 대각선으로 움직입니다.

간혹 거리제약이 없다는 점을 들며 나이트<비숍 이라는 의견을 보곤 하는데, 그닥 동의하기 힘든 의견입니다. 체스판이 텅텅 비는 후반부에는 어느 정도 맞는 말이지만, 초중반의 나이트는 종종 비숍보다 더 위력적입니다. 후반부라고 비숍이 무조건 유리한 것도 아니고요. 결론은 비숍 = 나이트라고 생각해도 별 상관이 없습니다.

예외적으로, 내가 비숍을 둘 다 갖고 있으면 나이트-비숍 또는 나이트-나이트 조합에 확실한 우위를 가진다고 평가됩니다. 자기가 있는 색의 칸만 공격/방어할 수 있다는 단점이 사라지기 때문이죠.


[룩]Rook (5점)

룩은 거리제한 없이 상하좌우로 움직입니다. 사실상 비숍의 상위호환인 셈이죠. 나름 의견이 갈리는 비숍/나이트와는 달리 룩은 확실히 더 중요한 기물입니다.


[퀸]Queen (9점)

퀸은 비숍과 룩을 합친 것과 같습니다. 사실 말이 9점이지, 말 하나가 여러 지역을 커버한다는 점에서 때로는 점수 이상으로 중요해집니다.


[킹]King

킹은 퀸처럼 움직이지만 한 턴에 한 칸씩 움직입니다. 킹이 잡히면 (체크메이트) 게임이 끝나기 때문에 점수 같은건 없습니다. 굳이 그 위력에 점수를 주자면 보통 4점 정도로 평가됩니다.
캐슬링에 대해선 특수 룰 부분에서 따로 설명하겠습니다.



규칙
1. 백의 선수로, 흑백이 번갈아가며 [반드시] 한 수씩 둡니다. 어떠한 경우에서든 자신의 턴을 넘길 수 없습니다.
* "한 수 한 수 두기도 바쁜데 수를 넘길 이유가 뭐가 있어요?" 라는 의문이 생긴다면, 아래 장면을 보시면 됩니다.

이 상황에서 흑의 차례라면, 흑이 움직일 수 있는 말은 b6의 폰 또는 킹밖에 없죠? 근데 어떤 수를 두든간에 백에게 폰을 잃게 됩니다. 하지만 좋든 싫든 흑은 수를 둬야 하고, 백에게 게임을 내주게 됩니다.

2. 킹은 공격받는 칸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킹이 직접 공격받으면 반드시 그 공격을 피하거나 막아야 합니다. 만일 그럴 수 없다면 [체크메이트]가 되고, 게임이 끝납니다.

흔히 나오는 체크메이트 장면입니다. 흑의 킹이 퀸에 의해 공격받고 있고, 정상적인 상황에서 움직일 수 있는 칸(빨강)도 퀸의 공격범위 안입니다. 퀸을 잡아버리면 좋겠지만, 퀸은 바로 옆의 백 킹에게 보호받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 체크메이트입니다.
* 체스에서 킹은 절대 잡히지 않습니다. 상대가 혹시 실수로 공격받는 칸으로 킹을 움직인다고 덜컥 잡는(…)게 아니라, 그 전으로 무르는 게 룰입니다. 킹이 공격받는 칸으로 움직이는 건 게임을 지는 게 아니라 아예 선택지에 없는 수입니다.


훌륭한 폐인양성게임답게(?) 큰 틀에서의 룰은 이정도가 다입니다. 간단히 말해 상대의 킹을 궁지에 몰아넣어서 포위하면 이기는 겁니다.


특수 룰에 들어가기 전에, 이 시리즈에 있어서 필수적인 체스 기보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체스판의 칸은 소문자 알파벳(가로)과 숫자(세로)로 명명됩니다. 이를테면 색칠된 칸은 d4입니다.


그리고 말이 움직이면 (말을 나타내는 알파벳)(말이 이동한 칸) 을 씁니다. 백의 퀸이 칠해진 칸으로 이동하면 Qg7이라고 쓰는거죠. 폰은 예외로 굳이 P라 쓰지 않고 이동한 칸만 씁니다. 나이트는 K로 시작하지만 킹과 혼동되지 않기 위해 (그리고 발음상 편하니까 ㅎㅎ) N으로 씁니다.


만약 기물이 상대 말을 잡아먹는다면 x로 표현합니다. 위 상황에서 비숍이 백의 폰을 잡으면 Bxc3이라고 씁니다.

체크 (킹을 직접 공격함)는 +, 체크메이트는 ++로 표현합니다.

처음엔 알파벳과 숫자만 보면서 헷갈리겠지만 그닥 어렵지 않으니 익숙해질 거에요 ㅎㅎ


그러면 이제 특수 룰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무승부]
체스에서 무승부는 네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1. 상호간 동의

바둑과는 달리 체스에서는 내가 체크메이트를 당하지 않지만 상대도 당하지 않는, 서로 못 이기는 상황이 왕왕 나옵니다. 그러면 괜히 시간 낭비하면서 기싸움(?)을 하는게 아니라, 서로 이길 수 없음을 인정하고 무승부로 끝이 납니다. 물론 이건 동의하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한쪽이 무승부라 생각해도 상대가 승산이 있다고 생각하면 게임이 그대로 진행됩니다.

2. 3수 반복
정확히는, [같은 체스판이 세 번 만들어지면] 자동으로 무승부가 됩니다.
  
예시입니다. 백이 비숍을 c4에 올리자 흑이 Na5로 비숍-나이트 교환을 청합니다. 근데 백 입장에선 그게 싫어요. 
            
그래서 Be2로 도망을 갑니다. 흑은 Nc6으로 원상복귀. 근데 백이 여기서 다시 Bc4를 두면…
Bc4 Na5
Be2 Nc6
Bc4 Na5
이 시점에서 게임은 무승부로 끝이 납니다. 무승부가 싫으면 싫은 한 쪽이 다르게 두는 수밖엔 없습니다.

3. 여타 게임을 끝낼 수 없는 경우
* 체크메이트는 되지 않지만, 한 쪽이 상대를 계속 체크 상태로 몰아넣을 수 있으면 (perpetual check) 무승부가 됩니다.

예시입니다. 딱 봐도 흑이 엄청나게 유리해 보이지만, 백은
Qe8+ Kh7
Qh5+ Kg8
Qe8+
이렇게 계속

흑의 입장에선 억울하겠지만 어쩌겠습니까. 이것도 실력인데…

* 굳이 무한체크가 아니더라도 양쪽이 (각각)50수를 두는동안 아무 말도 잡히지 않으면 자동으로 무승부가 됩니다.

4. 스테일메이트 (stalemate)
이쯤에서 규칙의 2번 항목을 다시 봅시다.
“킹은 공격받는 칸으로 이동할 수 없으며”
이건 그렇게 하면 게임을 지기 때문에 그런게 아니라, 아예 규칙상 공격받는 칸으로 움직이는게 불가능한 겁니다.

백의 차례인데, 딱 봐도 흑이 개유리한 상황이죠? 하지만 이 상황은 무승부입니다. [백의 킹이 공격받지 않고 있는데], 킹이 갈 수 있는 칸 (g1, g2, h2)은 흑의 나이트, 폰, 퀸에 의해 공격받고 있습니다. 체크메이트와 정말 비슷한 상황이지만 무승부가 되는, 흑의 입장에선 어이가 털리는 상황인거죠.



그러면 마지막으로, 기타 특수한 룰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1. 캐슬링 (castling)
원상태:
1)        2)


캐슬링은 두 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킹 사이드, 2) 퀸 사이드. 두 경우 모두 킹이 안쪽으로 두 칸을 움직이고, 그 쪽의 룩이 자리를 바꿔 킹의 옆에 붙습니다. 기보에는 0-0 (킹 사이드)와 0-0-0(퀸 사이드)로 표기합니다.

캐슬링에는 두 가지 제약이 있습니다.
• 킹과 (캐슬링을 하는) 룩이 한번이라도 움직인 적 있다면 캐슬링을 할 수 없고,
• 캐슬링 경로의 칸들이 공격받으면 캐슬링을 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까 킹이 체크 상태일때 위험을 벗어나는 용도로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사실 말이 특수 룰이지, 캐슬링은 거의 모든 수준급 체스 게임에 필수적으로 활용되는 수입니다. 그 정도로 장점이 큰데, 첫째는 킹 보호, 둘째로 룩의 진출입니다. 킹은 초중반에 중앙에 있으면 공격받아 걸리적거리기만 하지만 캐슬링을 하면 얌전히(?) 구석에 안전히 박혀 있게 됩니다.

가치 있는 기물 치고는 룩은 초중반에 생각보다 활용이 어려운 기물입니다. 모퉁이에서 시작하는데다 폰과 다른 기물에 막혀서 그런데, 캐슬링을 하면 일단 그 룩 하나는 비교적 쉽게 교전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2. 진급 (promotion)
폰이 엉금엉금 기어서 반대쪽 끝에 도착하면 그와 동시에 킹과 폰(?)을 제외한 기물로 원하는대로 변하게 됩니다. 제한 따윈 없습니다. 잘만 하면 퀸이 세 네 개씩 있을 수도 있는거죠.

그러므로 당연히 멀리 나가서 자리를 잡은 폰은 가치가 엄청납니다. Passed pawn이라고 부르는데, 앞에 상대 폰이 없는 폰은 존재 자체만으로도 엄청난 어그로를 끄는 존재입니다. 가만 놔두면 뚜벅뚜벅 걸어가서 퀸이 될 수도 있으니 당연한 거죠!


3. 앙파상 (En passant)
앙파상은 불어로, “지나감”이라는 뜻입니다. 적용되는 빈도는 낮지만 모르고 당하면 "버그X망겜!" 소리를 하게 됩니다

백이 한창 흑 진영에 압박을 가하는 장면입니다. 근데 여기서 흑의 f폰을 보시면, 얘가 한 칸 앞으로 나가면 백의 g폰에게 잡히게 됩니다. 그러므로 흑이 그 폰을 두 칸 앞의 빨간 칸으로 움직인다면 이론상 백의 폰이 공격할 수 없겠죠?

앙파상은 여기서 적용됩니다. 백의 g폰이 [이번 턴에 한해서] 흑의 f폰을 잡을 수 있습니다.
->  

주의할 점은, 흑이 f5를 둔 직후에만 앙파상이 가능하다는 점입니다. 백이 손을 빼고 다음 턴에는 할 수 없습니다.



이번 글은 여기서 마치려고 합니다. 다음 글에서는 체스를 포함한 모든 보드게임의 기본기이자 꽃, 수읽기에 관련해서 쓰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로 피드백이나 질문 뭐든 많이 써 주세요!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18
  • 좋은 글 감사합니다.
  • 재밌어요!!
  • 춫천
  • 감사합니다 ^^!
  • 좋은 글 정말 감사해요!!!!


켈로그김

좋은 글 잘 읽었읍니다.
체스에 관심있으신 분들은 본격 체스만화 포프의 대모험도 재미있게 보실 수 있읍니다
4
불타는밀밭
저도 캐슬링이란 단어를 첨 들어본게 버언의 대사 [하지만.... 체크메이트 상황의 캐슬링은 반칙이야]라고 말하면서 룩의 시체를 폭파시켜 버리는 장면이었네요.
1
듣보잡
오 요즘 애니 리메이크도 괜찮아 보이던데 ㅋㅋ
프랄린
설명 넘모 친절하십니다. 재밌어요!
1
파란아게하
우왕 체스 글 춫천용
혹시 체스 예제를 플레이하고 정답확인할 수 있는 레슨사이트가 있을까요?
1
Velma Kelly
잘 모르겠읍니다...찾아보고 알려드릴게요!
1
chess.com 한번 가보세요. 무료는 하루에 몇번 횟수가 정해져있긴 할텐데 일단 한글이 지원되는지라 ㅎ
1
파란아게하
헐 감사합니당 복받으셔요
Velma Kelly
https://chesspuzzle.net/
요런 게 있네요?
1
파란아게하
우와 감사합니다
Velma Kelly
글을 먼저 쓰고 스샷을 찍는 관계로 오타가 많을 수 있습니다. 주저 말고 지적해 주세요!
곰곰이
퀸스 갬빗 보고 이번 주에 처음 체스 시작한 생초보입니다.
이 글 덕분에 벌써부터 궁금했던 부분을 정말 많이 알게되었습니다.
앙파상이나 캐슬링은 모르고 있었으면 상대방(컴퓨터)이 버그/사기 친다고 했을 번 ㄷㄷ
앞으로도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1
체스 둘 줄 알고 어렸을 때 학교에서 둬봤던 정도인데, 앙파상은 아직도 햇갈립니다 ㅎ
1
에피타
체스닷컴 2000판 뉴비입니다. 재밌어요!
1
호라타래
재미있어요! 다음 글도 기대하겠습니다~
1
듣보잡
체스 관심은 늘 있는데 중수로 가는 길 진입장벽이 생각보다 높다고 느낍니다.. 왠지 모르겠는데 장기는 그럭저럭 둘 만한 수준까지 금방 올라오는 것 같은데 체스는 초반부터 뭔가 답답한 느낌... 다음 글에서 많이 배워보겠습니다.
1
Velma Kelly
장기에 대해 잘 몰라서 비교는 어렵지만 체스는 오프닝 같은 기초이론을 아는지 여부가 중요해서 그런거 같습니다
조지 포먼
중딩때 체스왕으로 불렸습니다
Velma Kelly
저도 앙파상도 진급도 모르던 그때 체스 주구장창 뒀었읍니다 ㅋㅋ
고기덕후
초심자 입장에서 볼만한 체스 경기 해설 유튜브 채널 있을까요? 영어도 상관없습니다. 체스인사이드님 해설은 아직 저한테 좀 어려워서 재미가 덜하더라고요.
Velma Kelly
저는 thechesswebsite라는 유튜브 채널을 많이 참조합니다. 초심자들을 위한 영상도 꽤 있을거에요
헌혈빌런
오오 저도 퀸즈겜빗 보고 체스에 관심 가지게 됐었는데 이런 글이!!!

잘 읽었습니다

근데 양파상이라는 룰은 왜 생긴건가요?
Velma Kelly
앙파상은 무승부를 줄이기 위해 만들어졌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예시로 든 상황은 백이 폰을 앞으로 밀면서 흑의 킹을 공격하려는 상황인데, 저 상황에서 앙파상이 없다면 흑이 f5를 둬서 공격을 쉽게 막을 수 있거든요.
헌혈빌런
답변감사합니다

그럼 흑 입장에서는 한칸가도 죽고
두칸가도 죽는데 어떻게 해야하나용?
Velma Kelly
몇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저 다음 백의 수는 높은 확률로 f5거든요? 그러니까 내가 폰을 움직이는 대신 백의 공격에 대한 대책을 세워두거나
2. 설령 저 폰을 (한칸이든 두칸이든)움직인다 해도 당장 큰 문제는 아닙니다. Bxf6으로 1대1 교환이 되니까요
자세히 설명해주셨는데도 양파상 룰은 왜 만들어졌는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ㅠㅠ
Velma Kelly
앙파상이 없다고 가정하고 첫 장면을 보세요. 저 상황에서 흑이 f5를 두고, 백이 h4를 두고 흑이 (비슷하게) h5를 두면 흑백 양쪽 다 폰이 아무것도 못하게 되죠? 그런 장면이 자주 나오다 보니 체스가 노잼이길래 앙파상이란 걸 만들었다고 들었어요
1
kaestro
연재물 첫 글 정독했습니다. 선생님께선 체스둘 상대는 어떻게 구하셨나요?
저 같은 경우는 초등학교때 바둑, 체스 이런걸 좋아는 했는데 요즘 시대에 온라인은 스타보다 큰 고인물들 뿐이라 접근을 못하겠더라구요
Velma Kelly
전 체스를 초1때 고모가 체스 세트 사준걸로 독학했는데, 엄마한테 두는 법 가르쳐드리고 같이 뒀습니다. 엄마가 그때부터 고모를 싫어했다는 카더라가...

그러고 나서는 학교 친구들이랑 많이 뒀습니다. 물론 오프닝도 뭣도 모르고 뒀지만 주구장창 많이 두기는 한 덕에 미드게임 수읽기는 엄청 늘었습니다. 퀸즈갬빗 드라마 때문에 뉴비들이 꽤 늘은 덕에 온라인도 나쁘진 않을거 같습니다. 체스닷컴 같은 곳은 봇 난이도를 설정할 수도 있고요. 저도 지금은 체스닷컴에서 두고 있습니다
kaestro
저는 어릴 때 바둑이 지능 발달에 좋다고 학교 바둑부 같은것도 엄마가 등록하게 시켰는데 사람마다 다른가보네요 ㅋㅋ
아직 체스 매력에 빠져들은 정도는 아니라 나중에 기억날때 찾아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Velma Kelly
네 심심풀이로라도 제 글들 재밌게 읽으시길 바래요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공지 티타임 게시판 이용 규정 2 Toby 15/06/19 33029 7
15433 사회중대재해처벌법은 악법인가 17 + 당근매니아 25/05/08 886 18
15432 방송/연예백종원 사태에 대한 생각 16 Daniel Plainview 25/05/07 1133 17
15431 정치덕수옹은 대체.. 16 Picard 25/05/06 1476 0
15430 방송/연예2025 걸그룹 2/6 15 헬리제의우울 25/05/05 533 15
15429 음악오늘 유난히도 다시 듣게 싶어지는 곡들 이이일공이구 25/05/05 414 0
15427 육아/가정광명역에서 세 번의 목요일, 그리고 어머니 22 그런데 25/05/05 696 48
15426 정치운석은 막을 수 없다: 정상성(Normality)의 관점에서 8 meson 25/05/05 639 13
15425 정치내각제와 대법원 4 당근매니아 25/05/04 554 13
15424 정치한국현대사에 파시즘 정권이 존재했는가? 10 meson 25/05/04 528 2
15423 스포츠[MLB] 김혜성 LA 다저스 콜업 김치찌개 25/05/04 286 0
15422 정치당연히 이재명이겠거니 하는 공유된 태도 29 명동의밤 25/05/03 2143 19
15421 일상/생각옛생각에 저도 suno로 하나 만들어봤어요. 1 큐리스 25/05/02 492 0
15420 정치양비론이 가소로워진 시대 1 meson 25/05/01 772 11
15419 게임(ChatGPT게임) 2025 콘클라베 - 루이스 안토니오 타글레 시뮬레이션 똘빼 25/05/01 363 0
15418 도서/문학백종원과 신창섭 사이에는 무슨 관계가 있을까? 2 구밀복검 25/05/01 718 6
15417 정치오늘의 일에 부쳐 영원한웬디 25/05/01 627 3
15416 오프모임서양근대사 세미나에 참여하실 회원을 모집합니다 3 영원한웬디 25/05/01 568 1
15415 창작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MV 13 수퍼스플랫 25/05/01 674 11
15414 기타노트북LM으로 만들어본 팟캐스트 16 토비 25/04/30 638 9
15413 일상/생각나아가고 있겠죠? 9 골든햄스 25/04/29 758 28
15412 음악탐라를 지키는 100명의 회원들 68 토비 25/04/29 1694 38
15411 오프모임(급벙)칡이 광주에 내려온다 4.30 22 25/04/29 776 8
15410 도서/문학쳇가씨 답정너 대담 백치 1 알료사 25/04/28 425 2
15409 요리/음식옛 중국집에 관한 환상? 15 당근매니아 25/04/28 989 8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