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양한 주제에 대해 자유롭게 글을 작성하는 게시판입니다.
Date 15/09/24 14:32:09
Name   MANAGYST
File #1   frb3.JPG (38.4 KB), Download : 15
File #2   캡처.JPG (34.1 KB), Download : 11
Subject   연준은 작년에 돈을 얼마나 벌었을까?




요즘 연준에 대해서 계속 공부하는 중입니다.

여러가지 재미있는 이야기가 있지만,

오늘은 2014년 그러니까 작년 한 해동안 연준이 얼마나 많은 돈을 벌었는지에 대해서 소개합니다.

여럽게 찾은 건 아니구요, 그냥 연준 홈페이지에 나와있습니다.

http://www.federalreserve.gov/newsevents/press/other/20150109a.htm

소감은 "아~ 너(연준), 갖고 싶다"
만약 제가 돈이 정말 많은데 뭐든지 다 살 수 있다라고 한다면?
당장 연준주식부터 사겠습니다(근데 실제로는 거래가 안된다고 하니.. 쩝)

2014년 연준의 성과를 그림 하나로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돈을 많이 벌었을거라고 생각은 했지만, 정말 많이 벌었네요.

※ 2014년말 환율 기준(1100원/$)으로 환산한 우리돈으로 표현해 볼게요.

1. 먼저 이자 수익은 127.5조원($115.9b)입니다.
이건 연준이 양적완화 이후에 샀던 미국 채권 및 MBS 등 에서 나온 이자수익입니다.
쉽게 말하면, 정부에 돈 빌려주고, 이자 받은 겁니다. 이자 치고는 좀 많긴 하네요
이유는 워낙 많은 돈을 빌려줬기 때문이겠죠?

2. 그럼 비용은 얼마나 들었나?
여러가지 비용이 있지만 가장 큰 건 은행에 주는 이자입니다.
은행에 왠 이자? 연준이 미국 정부에 돈을 빌려주는 과정(美국채 매입)에 은행들이 끼어 있습니다.
미국채권은 은행을 통해서 연준으로 가고,찍어낸 돈은 은행을 통해서 미국 정부로 가지요.
암튼 은행은 들어온 돈은 너무 많고, 어디 대출할 곳도 없고 하니 다시 연준에 맡깁니다.
이게 대략 2조달러정도 됩니다. 여기에 대한 이자를 0.25%이하로 주는데 그 금액이 7.6조원($6.9b)입니다.

3. 기타 비용
나머지 옐런 할머니 월급 등을 포함한 연준을 운영하는데 드는 비용 3.9조원($3.6b)
그리고 많은 분들이 공짜로 돈 찍는다고 하시는데, 아닙니다. 돈이 드네요.. 7800억원($711M).
물론 아주 미미한 수준이긴 합니다.

흔히 은행에서 예금을 받아서 대출을해줄때 금리차이를 NIM이라고 합니다.
Net interest margin 이죠. 근데 연준은 대출(美국채 매입)은 해줘서 이자는 받는데,
조달비용이 없는 겁니다!!! 조달비용이 지폐 찍거나 폐기처리하거나 하는데 드는 돈인데,
0.8조원 정도 밖에 되지 않아요. 대출은 4000조 넘게 해줬는데 말이죠.

4. 배당?
마지막으로 주주에게 배당을 합니다. 대략 1.9조원($1.7b) 정도인데요.
이게 저도 좀 궁금합니다. 우선 주주가 누구인지 궁금해요.
홈페이지에는 일단 이렇게 나와 있습니다.

it is not "owned" by anyone and is not a private, profit-making institution

누군가에서 소유된 것도 아니고, 돈버는 기관도 아니다..

근데, 어쨌든! 아무튼! 연준은 매년 정말 많은 돈을 벌고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이것저것 비용쓰고, 이자 내고 해서 남은 순이익이 111.6조원입니다($101.5B).
참고로 우리나라 기업 전체 순이익이 100조가 되는게 우리 모두의 5년째 지속되고 있는 소망이랍니다.

5. 정부에게 상납?
연준에서는 당당하게 그래서 우리가 그중에서 무려 97.2%인 108.5조원(&98.7B)이나
재무부에 돌려줬다라고 이야기하고 있는데, 흠... 정부 기관이라면, 그냥 다 주는게 맞지 않나요? 하하하
그리고 아까 이야기했던 배당.. 이건 또 누구에게 가는 건지.. 그래서 찾아봤죠...

Who owns the Federal Reserve?

너무 길어지니.. 이건 다음 기회에 말씀드리겠습니다. 뿅~!



5


    아 재무부에 돌려주는군요. 저 많은 돈이 어디로 가나 했습니다. 허허
    realise
    연준관련 음모론은 항상 재밌더군요. 빨리 써주세요 크크.
    그나저나 말이 배당이 2조지 2조면 엄청난 금액인데 누가 정말 배당을 받을까요. 그것도 꽁으로.
    세계구조
    100조를 넘게 벌면서 돈 버는 기관이 아니라고?
    눈부심
    앗. 끊기신공. 배당금이 있다면서 누구의 소유도 아니라니!
    도대체 저 돈은 누가 가져가는 것일까요. 화닥화닥
    ArcanumToss
    음... 연준은 강도 아닌가요?
    돈을 찍어냄 -> 화폐 가치를 떨어뜨림 -> 국민들 통장의 돈 가치가 떨어짐 but 지들은 돈을 벎.
    Beer Inside
    그건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

    경제를 이야기할 때 나오는 이야기인데...

    대략 20쌍 이상의 부부가 서로가 필요할 때 다른 부부가 자신의 아이를 돌보아 줄 수 있도록 아이를 돌보는 쿠폰을 발행했습니다.

    처음에는 서로 아이를 돌보는 대가로 쿠폰을 서로에게 양도해 가면서 즐겁게 사용했는데,

    어느 순간 아이를 돌보는 쿠폰이 유통이 되지 않아서 서로 아이를 돌보아 주는 제도가 사라질 지경 인 것 입니다.

    그 이유를 알아보니 다들 유사시에 그 쿠폰을 사용하려고 쿠폰을 집에 쌓아만 놓고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 더 보기
    그건 좀 다른 이야기입니다.

    경제를 이야기할 때 나오는 이야기인데...

    대략 20쌍 이상의 부부가 서로가 필요할 때 다른 부부가 자신의 아이를 돌보아 줄 수 있도록 아이를 돌보는 쿠폰을 발행했습니다.

    처음에는 서로 아이를 돌보는 대가로 쿠폰을 서로에게 양도해 가면서 즐겁게 사용했는데,

    어느 순간 아이를 돌보는 쿠폰이 유통이 되지 않아서 서로 아이를 돌보아 주는 제도가 사라질 지경 인 것 입니다.

    그 이유를 알아보니 다들 유사시에 그 쿠폰을 사용하려고 쿠폰을 집에 쌓아만 놓고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이지요.

    그래서 그들은 그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새로운 쿠폰을 발행해서 쿠폰의 유통량을 늘립니다.

    자본주의에서 발권은 기본적으로 화폐의 유통을 위해서 이루어집니다.

    유통량이 충분하지 못하면 화폐의 기능을 상실하니까요.
    난커피가더좋아
    제가 좋아하는 폴크루그먼 아재가 좋아하는 사례죠
    Beer Inside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있는 블로거 폴 크르그먼이지요.
    MANAGYST
    크루그만 형님의 말씀이네요 ^^
    난커피가더좋아
    으잉? 크루그먼 아재 답글 달았더니 이미 작성자님이 먼저...흐흐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174 경제Has the world reached its credit limit? 11 MANAGYST 15/10/05 8152 2
    1145 경제'기업발 경제위기'론 11 난커피가더좋아 15/10/01 8875 0
    1133 경제한국형 시장경제체제 6 MANAGYST 15/09/30 11502 1
    1128 경제23년만의 새 은행 허가, 전쟁의 시작 14 난커피가더좋아 15/09/30 7596 0
    1100 경제연준의 주인은 누구일까? (주의: 정답없음) 3 MANAGYST 15/09/25 9164 2
    1094 경제연준은 작년에 돈을 얼마나 벌었을까? 10 MANAGYST 15/09/24 7788 5
    1073 경제디젤 게이트에 대한 폭스바겐의 공식 성명이 나왔습니다. 15 수박이두통에게보린 15/09/23 7839 0
    1066 경제폭스바겐의 디젤게이트가 발생했습니다. 21 Beer Inside 15/09/22 7647 0
    1056 경제집은 시장리스크, 전세는 신용리스크 19 MANAGYST 15/09/22 7621 5
    1023 경제9월 FOMC회의 Review 9 MANAGYST 15/09/18 6708 0
    1017 경제버냉키 형님이 들려주는 연준 이야기 8 MANAGYST 15/09/17 7314 1
    963 경제국내 수출부진에 대한 소고 10 MANAGYST 15/09/10 4542 2
    936 경제점점 더 중요해지는 돈 버는 능력 7 MANAGYST 15/09/07 7652 0
    908 경제큐이괴담 - QE를 또! 해야 한다는 이유가 또! 나오는 이유 19 MANAGYST 15/09/04 5675 3
    710 경제롯데의 분쟁.. 현재 상황 13 Leeka 15/08/03 5607 0
    696 경제중국 증시 붕괴에 대한 폴 크루그먼의 기고문 7 기아트윈스 15/08/01 5269 0
    675 경제롯데, 드라마보다 더한 현실 9 난커피가더좋아 15/07/29 5713 0
    631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최종편) 17 난커피가더좋아 15/07/22 7418 0
    626 경제여러분의 국민연금이 사라지고 있습니다. 11 케토톱 15/07/21 6483 0
    608 경제"재벌의 승리", "기업왕조의 강화" 34 난커피가더좋아 15/07/17 7873 0
    602 경제삼성물산-제일모직 합병안 통과 외 10 kpark 15/07/17 6720 0
    600 경제경제인 사면 검토..... 18 솔지은 15/07/16 6824 0
    599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3편) 5 난커피가더좋아 15/07/16 8324 0
    591 경제국내 유료 영상시장의 판도는? 18 Toby 15/07/15 8277 0
    581 경제그리스 위기 즈음에 돌아보는 한국의 IMF(2편) 11 난커피가더좋아 15/07/13 8408 0
    목록

    + : 최근 2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4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