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회원들이 추천해주신 좋은 글들을 따로 모아놓는 공간입니다.
- 추천글은 매주 자문단의 투표로 선정됩니다.
Date 19/10/16 22:05:25수정됨
Name   메존일각
File #1   1200px_나주향교_대성전_04.jpg (386.9 KB), Download : 41
Subject   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나주향교 대성전 전경> 출처: 위키피디아

* 타임라인에 쓰려다 보니 내용이 약간 길어져서 자게로 옮깁니다.

조선시대에 향교가 서원에 비해 기피되는 교육기관으로 인식되었다는 얘기는 여기저기서 한 번쯤 들어보셨을 겁니다. 하지만 그 이유에 대해 들어보시거나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이 글에서 그 배경을 가볍게 언급해 볼까 합니다.

향교는 고려와 조선에 걸쳐있던, 지금의 국립 고등학교 수준의 중등교육기관이었습니다.

조선이 개창하며 유교적 소양을 가진 관리들이 많이 필요해졌습니다. 그래서 이성계는 즉위 원년에 고을마다 반드시 하나씩 향교를 두도록 명합니다.(一邑一校) <세종실록지리지>에는 전국 329개 고을 모두에 향교가 건립된 것으로 나옵니다. 또한, 각 도의 감사에게는 향교 교육을 감독할 의무가 있었고, 향교 교육의 성과를 고을 수령의 치적에 반영하였습니다.

향교는 기본적으로 과거를 준비하기 위한 곳이었습니다. 각 향교에는 교관인 교도가 필요했는데요. 중앙에서는 큰 고을인 주(州)·부(府)에 종6품 교수를, 작은 고을인 군(郡)·현(縣)에는 종9품 훈도를 파견하였습니다.

이제 향교가 점차 위세를 잃는 과정은 간략히 두 가지 정도로 나눠볼 수 있습니다.

첫 번째로는 교도의 질적 저하입니다.

교도를 파견할 향교 수가 너무 많았습니다. 교도 중 교수는 주로 과거 급제자들에서 임명되었는데, 조선시대 과거는 3년에 한 번 치러졌고 대과 급제자 정원은 33명이었습니다. 하지만 향교의 수는 전국에 300개가 넘었고 교수가 파견될 주(州)·부(府) 고을만도 조선 전기 기준 70개가 넘었습니다.

또한, 과거 급제자들은 가급적 중앙 관료로써 출세하고 싶었기 때문에 향촌 파견이 썩 달갑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교관 확보가 여의치 않았고, 조정에서는 경범죄를 지은 관리들을 면책하는 대신 교도로 임명하는 수법도 사용하였습니다. 더 치명적인 것으로 방학 동안에는 녹봉이 지급되지 않았다는 점도 빼놓을 수 없습니다.

때문에 교도는 세종대에 벌써 소과에 급제한 생원과 진사 중 뽑기도 하였고, 관찰사가 지방유생 중 학식있는 자들을 학장으로 선발하기도 하였습니다. 참고로 이들은 정식 품계가 없으므로 봉록도 나가지 않았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서 교육의 질이 보장되기를 바라는 것은 어불성설이었겠죠.

두 번째로는 계유정난입니다.

명분 없이 등극한 세조의 영향 탓에 낙향하는 관리들이 늘어, 학문보다 출세 지향적인 과거만을 위한 향교는 인기가 뚝 떨어졌습니다. 성균관과 향교는 정원을 채우지 못했고, 연산군 대에는 성균관을 연회장소로 사용할 정도로 격이 떨어졌습니다.

조정에서도 이를 알고 있었기 때문에 관찰사에게 수시로 향교를 감독하게 하였고 수령의 인사고과에 향교 교육의 성과를 반영케 하였지만, 나날이 교관 경시 풍조는 나날이 심해졌습니다.

결국 향교는 15세기 후반에 들어서며 교육 기능은 쇠퇴하고 문묘에 제사지내고 사회 교화를 담당하는 곳으로 역할이 바뀌게 됩니다. 임진왜란 이후에는 아예 교관 파견이 중단되고 그 지방에서 자체적으로 교임을 뽑아 운영과 교육을 맡게 할 정도였습니다.

사정이 이러다 보니 16세기 중엽 들어, 명망있는 스승에게서 제대로 된 교육을 받을 수 있는 사설 교육기관 서원이 들어서자, 그 위세는 급격히 커지게 됩니다. 학자 연구에 따라 다르지만 전성기 서원의 수는 600여 개에서 900여 개로 향교의 2~3배였을 정도니 더 말할 필요가 없겠죠. 서원이 붕당의 후방기지 역할을 했음도 물론이고요.



* Cascade님에 의해서 티타임 게시판으로부터 게시물 복사되었습니다 (2019-10-29 14:08)
* 관리사유 : 추천게시판으로 복사합니다.



19
  • 좋은 글에는 추쩐!


AGuyWithGlasses
고려 때부터 유구한 즈언통이 된 공교육 붕괴...주륵
7
메존일각
이쯤 되면 과학 아닙니까?
Darker-circle
사교육 우세는 호모 사피엔스 종특이라서 뭐...
메존일각
이건 어떻게 못하나봐요. ㅠㅠ
자공진
와아아 나주향교다... 곰탕 먹고 싶다...(?)
5
메존일각
곰탕 말고도 맛난 게 많습니다!?
1
자공진
나주 처음 내려갔을 때는 회식할 일 있으면 고기 안 구울 경우 주로 한정식집(예*, 사*채)이나, 아주 가끔 보리굴비(!)라거나, 홍어 먹으러 영산포로 가기도 했었습니다만ㅋㅋㅋ 구도심 탐방이 끝나기도 전에 혁신도시에 식당들이 생기기 시작했죠.
쓰다 보니 점점 더 나주 놀러가고 싶어지네요 흑. 저는 아무래도 나주곰탕이 좋아요(그 중에서도 노*집). 그리고 사실 제일 가고 싶은 곳은... 나주역 근처의 황태설렁탕집ㅠㅠㅠㅠ 제 인생맛집인데ㅠㅠㅠㅠ

너무 주절주절 썼는데, 메존일각님의 추천 맛집도 알려주세요! ㅋㅋㅋ
1
메존일각
동신대 근처 <나주 볼테기>
봉황면 봉황농협 근처 <불수성풍천장어>
추천합니다.

나주시청 근처 식당들이 전반적으로 수준이 높고요.
1
자공진
아 볼테기집 하나 있었죠! 어르신 한 분이 좋아하셔서 두어 번 갔던... 그러고 보니 장어도 한 번 먹으러 간 기억이 나요. 되게 맛있었는데 사진 찾아보니 저 집 맞는 것 같네요!
나주시청 근처는 물회집 생각나고, 게장집도 하나 있었던 것 같은데... 금성산 위 포차도 생각나는군요ㅋㅋㅋ 참 회식 잘 따라다니고 맛있는 거 많이 먹던 시절... 떠올리게 해 주셔서 감사합니다ㅋㅋㅋㅋㅋ 정작 써주신 향교 얘기는 안 하고 먹는 얘기만 해서 죄송합니다ㅠㅠ
1
메존일각
아닙니다. 크크크크크.
저도 나주 먹거리여행 가고 싶네요. ㅠ_ㅠ
Darwin4078
동신대 근처면, 송현불고기 한번은 드실만 하구요... 예전에는 쓰러져가는 집이라고 불렀는데, 건물 올리고 맛이 좀 변한듯도 하지만, 학생때 먹었던 기억이 좀 미화되었다는 생각도 듭니다. 학군단 뒤쪽 산길을 올라가면 숲속의 작은 농장이라고 있었는데, 지금도 있을지는 모르겠네요. 비빔밥에 된장찌개 많이 먹었었죠. 굳이 찾아갈 정도는 아닌듯 하지만, 가볍게 비빔밥에 된장찌개 먹고 금성산 한바퀴 돌고 오면 좋았습니다.

사실, 그 부근 전통 맛집은 주유소 옆에 있는 손짜장일번가입니다. 98년쯤인가 개업해서 동신대 앞 상가가 2번은 천지개벽을했는데 지금까지 쭈욱 버티고 있죠. 살아남은 자가 강자인 법입니다.
1
메존일각
감사합니다! 제 글을 스크랩해야 할 모양입니다!?
1
호라타래
방학 동안 월급 없는 건 대학원생인데 ㅠㅠㅠㅠㅠ 교관 확보 문제만 해결되면 향교도 괜찮았을까요?
메존일각
그게 안 됐으니 아예 교관 파견을 끊어버린 거겠죠?
향교 재정도 시대가 지나면서 점차 나빠져가서... 큰 고을 향교인 대설위도 늠전(교육재정) 50결, 위전(제향재정) 6결이었던 것이 조선 후기가 되면 늠전 위전 합쳐서 7결로 줄어듭니다.;;;
그냥 양민들이 재물과 노역을 제공해야만 운영될 수 있는 수준의 읍내 네트워크 공간으로 변해가죠. 양민들은 그 대가로 군역을 면제받고요.
호라타래
아, 여쭤보고 싶었던 것은 서원 > 향교인 이유 중 계유정난이 일시적인 충격이자 향교의 기존 가치를 저하시킨 요인이라 하더라도, 교도의 질적 저하가 장기적으로는 더 크지 않았을까 해서요. 교도의 질적 문제가 계속 유지되었으면 계유정난 없이도 서원이 향교를 추월하지 않았을까? 하는 그런 것이요 ㅎㅎ 거기서 자연스레 향교 교도의 질을 유지할 방안이 있었으면 (ex: 월급 인상 + 방학 동안 월급 보장) 어땠을까 하는 if 질문으로 나왔어요. 답변해주신 바를 보니 그게 안 되었을 거라는 뜻이신 듯한데... 그러면 서원이 어떤 식으로 재정을 충당하고, 교도의 질을 유지했는지도 궁금하네용
서원에는 치트키가 하나 있었는데 바로 사액이었습니다.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에 명종이 소수서원 현판을 사액한 것이 그 시작인데, 당연하겠지만 국왕이 친필로 사액해주면 면세, 면역 등 특전도 특전이거니와 서원의 격이 확 오르게 되죠. 이는 서원에 배향된 선현의 명성이 오르게 되는 것이기도 해서 지방 양반 자제들이 사액사원으로 몰리고, 양민들도 사액서원에 의탁하고 등등... 경제적 기반이 확 커지게 됩니다.

이건 제 생각인데, 향교에는 성현들의 위패를 모시는 데 반해, 서원들은 선현의 초상화를 보관하는 경우가 많거든요. 저는 이 영향도 크다고 생각해요. 얼굴이 보이지 않는 위패와 보이는 초상화.
2
호라타래
그건 무척 흥미로운 주제네요. 이미지의 대량 생산이 시작되기 이전 시대에 이미지가 가지고 있던 파급력이라... 세세한 답변 감사합니다 :)
메존일각
본문에는 추가하지 않은 것인데 사화의 영향도 컸지요. 이를 테면 지역 유생들이 존버하면서 학문에만 뜻을 키우게 되는데 어차피 벼슬길에 안 나갈 거니까 향교 입교에는 관심이 없고 자발적으로 공부할 장이 필요했던 것도 큰 영향을 미칩니다. 16세기 서원의 설립 계기이기도 하고요.
호라타래
생각해보니 뭔가 무협지의 한 장면 같기도 하네요. 은거기인들의 모임이라...
메존일각
또, 근본적으로 차이가 있는 것이 공무원이기 때문에 의무적으로 파견을 나가느냐 자발적으로 설립했느냐의 차이도 있는 것 같아요. 서원이 학덕과 명망이 높은 대학자를 배향인으로 모시려고 노력했던 것도 학맥의 정통성을 위한 것이었으니까요. 문중에서 사사로이 자기 선조를 높이려고 서원을 짓는 것 때문에 서원의 격이 점차 떨어지기는 했지만 이 역시도 자발적인 것이었고, 나름 지방에서 자기 문중의 권위를 높일 수 있었던 것도 있어서 결국 서원의 위세가 커질 수밖에 없었다고 생각합니다.
1
중간고사 끝나고 향교 한 번 구경가봐야겠군요 좋은 글 감사합니다!
메존일각
네엡.
즐겁게
막연하게 이럴거야, 라는걸 구체적으로 알게되니 재밌어요! 감사합니다!!
메존일각
구체적 수준은 아니고... 대략적인 과정이죠. 세세하게 들어가면 훨씬 많습니다. ㅠㅠ
와 재미있게 잘 봤어요 :-)
메존일각
넵 감사합니다.
목록
번호 제목 이름 날짜 조회 추천
1367 역사 AI를 따라가다 보면 해리 포터를 만나게 된다. 4 코리몬테아스 24/02/18 2445 11
1352 역사정말 소동파가 만들었나? 동파육 이야기. 13 joel 24/01/01 2829 24
1335 역사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알기 위한 용어 정리. 2편 6 코리몬테아스 23/10/14 2837 12
1334 역사이스라엘-팔레스타인 분쟁을 알기 위한 용어 정리. 1편 17 코리몬테아스 23/10/12 3240 27
1264 역사내가 영화 한산에 비판적인 이유 17 메존일각 23/01/04 3940 16
1232 역사홍콩의 기묘한 도로명의 유래 11 아침커피 22/08/27 4968 37
1164 역사자주포란 무엇인가? - (1) 자주포 이전의 대포 18 요일3장18절 22/01/26 5089 12
1127 역사뉴질랜드와 핵실험, 거짓말쟁이 프랑스. 6 코리몬테아스 21/09/18 5026 18
1101 역사왜 작은 어머니를 숙모라고 부를까. 24 마카오톡 21/06/30 5834 24
1076 역사왜 멕시코는 북아메리카에 속하는가? 19 아침커피 21/03/31 6297 11
1038 역사두 번째 기회를 주는 방탄복 6 트린 20/12/11 5175 22
1037 역사생존을 위한 패션, 군복 9 트린 20/12/10 5116 11
990 역사1911년 영국 상원의 탄생 2 코리몬테아스 20/07/27 4886 6
967 역사경찰사와 영국성 4 코리몬테아스 20/06/08 4877 8
949 역사도철문, 혹은 수면문 이야기 2 Chere 20/04/18 5569 16
940 역사오늘은 천안함 피격 사건 10주기입니다. 23 Fate 20/03/26 6597 39
936 역사[번역] 유발 노아 하라리: 코로나바이러스 이후의 세계 13 기아트윈스 20/03/21 8418 33
933 역사인도에 대하여 7 Fate 20/03/13 7162 20
928 역사역사학 강연에서 의용대를 자처하는 이들을 만난 이야기 13 Chere 20/02/29 5738 35
913 역사궁궐 건축물 위에 <서유기> 등장인물이? 15 메존일각 20/01/23 6106 12
905 역사역사적 유물론과 행위자 연결망 이론(1) - 아 그게 뭐요? 13 호라타래 19/12/22 5890 12
893 역사역사 교과서 속 신문들, 어디로 갔을까? 2 치리아 19/11/25 5270 6
876 역사조선시대 향교의 교육적 위상이 서원보다 낮았던 이유? 26 메존일각 19/10/16 6637 19
872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하- 10 메존일각 19/10/03 6469 17
871 역사국내 최초의 이민자, '하와이 한인'들에 대해 -상- 메존일각 19/10/03 6318 19
목록

+ : 최근 6시간내에 달린 댓글
+ : 최근 12시간내에 달린 댓글

댓글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
회원정보 보기
닫기